이 땅의 5000년 역사에서 백제의 의미는 무엇인가? 11월 22일 ‘근초고왕’에 이어 두 번째로 백제를 다룬 MBC 대하드라마 ‘계백’이 대단원의 막을 내리면서 갖게 한 의문이다.
우선 ‘계백’은 당초 30부작을 6회 늘려 방송했다. 대박을 터뜨리면 연장되는 여느 드라마들과 달리 시청률 저조 등 조기 종영감이었는데도 후속작인 MBC창사 특집극 준비 관계로 그랬단다. ‘스파이 명월’에서의 ‘한예슬 파동’에 비하면 연기자들의 인내심이 무던했다는 칭찬도 나올 법하다.
사실 ‘계백’은 백제를 역사에서 사라지게 한 마지막 임금 의자왕(조재현)과 구국의 영웅 계백(이서진) 장군 이야기라 방송 전부터 관심을 모았다. 7월 25일 첫 회 방송은 전국 시청률 10.6%(AGB닐슨 미디어리서치 기준)로 비교적 순조로운 출발이었다.
그러나 그뿐이었다. 토요일에서 목요일까지 ‘광개토대왕’, ‘무사 백동수’, ‘공주의 남자’에 치여 MBC로선 ‘사극의 명가’라는 자존심을 구기게 되었다. 8월 22일 9회 방송에서 최고 시청률(14.3%)을 기록했지만, 마지막 회는 13%였다. 방송 내내 너무 수고한 ‘계백’인 셈이다.
‘계백’에게 너무 수고했다고 말한 것은 백제를 다룬 대하드라마여서다. 승자에 의해 기록되는 것이 역사라지만, 백제가 어떤 모습으로 되살아날지 계백이나 의자왕 캐릭터는 또 얼마나 흥미를 줄지 기대감이 컸던 때문이다.
결론은 ‘망해도 싼 나라꼴’의 재확인이다. 50대 중반인 필자가 초등학교 때부터 배운 삼천궁녀의 의자왕, 황산벌 전투의 용장 계백 등 오래 각인된 기본 이미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함으로써 시청자 관심을 견인하지 못했다. 사료 부족 등 고증이 쉽지 않기에 오히려 파격적으로 역사적 상상력이 필요 했던게 아닐까?
다시 생각해본다. 의자왕은 그렇듯 나라를 말아 먹으려고 사택비(오연수)의 수많은 위협으로부터 살아남은 것인지…. 계백·성충(전노민)·흥수(김유석)등을 거느리고서도 의자왕은 은고(송지효) 때문에 나라를 망하게 한 비운의 주인공이다. 훌륭한 인재를 거느렸으면서도 왕재(王才)는 아니었던 셈이다.
특히 23회 이후 은고를 둘러싼 치정극으로 갑자기 변질되어 대하드라마다운 ‘위용’을 스스로 포기해버렸다. 그들 아버지 세대 무왕(최종환)과 무진(차인표), 사택비 간의 멜로 라인을 반복한 것이어서 더 그런 생각이 드는지도 모를 일이다.
명심할 일은 대하 사극의 대박에 멜로라인은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주몽’·‘이산’·‘선덕여왕’·‘대조영’·‘동이’ 등 어느 대하사극을 떠올려 보아도 그렇다. 100억 대작의 ‘계백’ 실패가 백제를 TV에서 영 사라지게 하지나 않을까, 그것이 걱정이다.
그나마 다행은 아주 잠깐이지만, 신라의 반쪽통일이 김유신(박성웅)의 고뇌를 통해 어느 정도 희석되고 있는 점이다. 최초로 외세를 끌어들인 신라의 소위 삼국통일은 역사 왜곡 논란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사극 풍토일망정 오늘날 시각에서 재조명되어야 할 숙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