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적 삶은 자신과의 관계, 그리고 타인과의 만남을 통한 관계, 주어진 일을 해결해 가는 삶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원칙을 지키는 일은 생각처럼 쉽지 않다. 때로 예상치 못했던 어려움이 생기는 등 다양한 변수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더라도 원칙은 지켜져야 한다.
원칙은 지킬 때 원칙으로서 의미가 있다. 얼마전 차분하고 조용한 목소리로 강의를 한 안철수는 자신이 세운 인생의 원칙 덕분에 힘겨웠던 시절에도 시련과 역경을 극복한 이야기를 들었다. 그는 어려움 가운데서도 안철수연구소를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벤처기업으로 성장시켰다. 그 동안의 성과와 공로를 인정받아 그는 정부로부터 동탑산업훈장도 받았다. 그리고 회사를 설립한 지 9년 만에 우리나라에서 존경받는 기업인 10위 안에 이름을 올렸으며다. ‘도덕 경영’으로 안철수연구소를 이끌어온 그는 한국에서 가장 존경받는 최고경영자로 손꼽히고 있다.
그가 타인들과의 관계에서 적용하는 인생의 원칙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나이와 성별, 학벌 등으로 차별을 두지 않는다. 중요한 것은 능력이다. 둘째,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중하고, 다양성을 인정한다. 셋째, ‘너는 누구보다 못하다’는 식으로 다른 사람끼리 비교하지 않는다. 넷째, 타인을 나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 이용하지 않는다. 다섯째, 내 스타일을 다른 사람에게 강요하지 않는다고 선언하면서 살아가고 있다.
퇴역 장교인 웨슬리 클라크는 이렇게 말했다. “계획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하나는 잘 진행될 계획, 다른 하나는 그렇지 않은 계획이다. 완벽한 계획이란 없다. 잘 진행될 계획을 세워서 그렇게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요즘 아이들의 생활을 지켜보면 원칙이 없다. 자기만 편하면 된다는 사고 방식이다. 그러다보니 남을 배려할 줄도 모르고, 실내에서도 고성을 지르는 등 무례한 행동이 쉽게 드러난다.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가정에서 그러한 원칙있는 교육을 받지 못하여 습관화 된 것들이 많으며, 생각하지 않고 막무가내로 행동하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성공하는 인생을 살고자 한다면 반드시 인생 원칙을 가져야 한다. 인생 원칙은 자신이 세워놓은 계획이 성사되도록 도울 뿐 아니라 성공으로 이끌기 때문이다. 모든 것이 편안하고 안정되어 있는 시기에는 인생 원칙의 중요성을 깨닫지 못한다. 하지만 좋은 시기가 지나가고 힘든 시기가 오면 그때는 다르다. 세상에서 믿을 것은 오로지 ‘나’밖에 없다는 것을 절실히 느끼게 된다. 이때 어떤 힘든 상황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나만의 인생 원칙이 있다면 큰 힘이 된다. 흔들리지 않고 자신의 꿈과 목표를 향해 꿋꿋하게 매진할 수 있으니까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