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주말 특별기획드라마’라 이름붙인 ‘김수로’가 지난 주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32부작, 200억 원을 쏟아 부은 대하사극이지만, 그러나 ‘김수로’는 한 회도 빠짐없이 시청하는 내내 ‘본전’ 생각나게 한 드라마였다.
사실 ‘김수로’는 조선시대는 말할 것도 없고 고려와 고구려·신라 등 삼국시대에 가려 제대로 조명되지 못한 ‘철의 제국’ 가야의 역사라는 점에서 한껏 기대를 모았다. 하지만 5월 29일 첫 회 시청률 9.6%로 출발, 마지막 회 10.4%를 기록하는 등 기대를 저버린 채 ‘찌그러진’ 것이다.
애써 이해하자면 사료 부족도 한 요인이지 싶다. 원래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다. 그래서 신라에 정복된 가야의 역사 기록이 별로 없는 건 어쩜 당연한 일이다. 32회나 되는 ‘대하’의 분량을 미미한 사실(史實)과 작가의 상상력에만 의존했으니 ‘부실’이 될 수밖에.
그렇더라도 문제는 확연히 남는다. 초반 대하사극다운 스펙터클한 서사는 곧바로 실종되고 로맨스가 그 자리를 대신했다. 수로(지성)와 아효(강별), 그리고 황옥(서지혜)간의 삼각관계쯤이면 충분할텐데, ‘짝짓기 드라마’인가 싶을 정도로 온통 로맨스였다.
그러다보니 흥행 성공한 대하사극엔 거의 없던 불필요한 키스신, 심지어 정사신이 이맛살을 찌뿌리게 했다. 이를테면 드라마의 전반적 ‘연인화’라는 스스로의 함정에 빠져든 셈이다. 새 나라 건국사 및 그 인물 이야기라하더라도 사랑이 없을리 없지만 그 정도가 너무 심했던 것.
조금 심하게 말하면 유치해서 못 봐줄 지경이었다. 대하사극인 만큼 서사시적 전개로 흘러야 맞는데 마냥 서정시적 모드로 흘러버린 것이라고나 할까. 특히 수로와 아효의 키스신을 동반한 애정행각은 왕비가 되는 황옥과 어떤 인과적 관계도 없어 선정적 ‘보여주기’로 끝난 아쉬움이 크다.
다음 문제는 거의 모든 캐릭터의 회화화다. 새 나라 건국자인 김수로의 ‘친서민 행보’도 우습지만, 많은 주·조연 인물들이 코믹하게 설정되어 대하사극다운 진정성을 해치고 말았다. 극중 유머러스한 분위기는 약방의 감초격으로 한두 사람이면 족하다.
삐걱거리는 연기도 본전 생각나게 하는데 한몫했지 싶다. 딱히 못한 것이라기보다도 경력 26년 만에 사극 출연이 처음인 배종옥이나 타이틀 롤 지성, 석탈해역의 이필모 등의 연기가 극중 분위기에 자연스레 녹아들지 못한 건 분명해 보인다.
방송 시점도 ‘악수’였다. 월·화요일에 대하사극 ‘동이’를 방송하면서 약 5개월의 같은 시기 또 다른 사극 편성은 누가 봐도 ‘미친 짓’이 아닐까? 이래저래 ‘김수로’는 대하사극만큼은 꼭 시청해온 필자의 원칙에 찬물을 끼얹은, 시간낭비, 전파낭비의 드라마로 남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