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1 (일)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문화·탐방

너무 착한 역사드라마 '거상 김만덕'

KBS 특별기획 역사드라마 30부작 ‘거상 김만덕’이 13일 막을 내렸다. ‘거상 김만덕’은 전작 ‘명가’와 함께 가진 자의 사회적 봉사와 희생을 강조한 ‘노블레스 오블리주 사극’이라는 이름도 얻은 ‘너무 착한’ 드라마다.

물론 그것이 나쁠 것까지야 없다. 헌혈이 그렇듯 ‘나눔의 미학’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가진 자들의 베품은 기업이익의 사회환원처럼 어느 시대에도 찬사받는 일이긴 하다. 누구나 할 수 있는 평범한 일이 아니기에 더욱 그럴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것이 드라마, 그러니까 방송이라면 얘기가 달라진다. 아다시피 오늘날 방송의 위력은 막강하다. 과거 ‘땡전 뉴스’가 회자되던 시대까지는 아니라하더라도 KBS의 친정부적 보도 태도가 도마 위에 올라 있는 시점이기에 더욱 그렇다.

잠깐 ‘거상 김만덕’의 결말부분을 떠올려 보자. 김만덕(이미연)은 “사람을 얻어야 한다”며 전재산으로 굶주린 백성을 구휼한다. 그에 맞춰 정경유착의 표본격인 형조판서 정도웅(김병기), 심지어 악덕 고리대금업자 무맹달(정종준)까지 개과천선하고 있다. 그야말로 휴머니즘의 값진 감동이 느껴지는 대목이라 아니 할 수 없다.

악의 축이라 할 오문선(박솔미)의 변신도 그 연장선에서 지적받을 만하다. 요컨대 권선징악적 결말이 너무 싱거운 역사드라마로 전락시키고만 것이다. 일견 교과서 같고, 그리하여 뭔가 낯 간지럽고 속 보이는 역사드라마는 통속적 재미를 불러 일으키는 ‘막장 드라마’보다 더 해로울 수 있다.

물론 큰 장사꾼인 김만덕의 실재적 삶이 그랬고, 역사에 충실한 연출을 한 것이라고 우길 수는 있다. 문제는 대한민국 최대의 공영방송인 KBS가 왜 그렇듯 너무 착한 역사드라마를 기획했고, 직접 제작까지 했느냐 하는 점이다.

그 동안 광고가 딸린 2TV로 옮기는 등 우여곡절을 겪었지만, KBS 1TV의 토·일요일 밤 9시 40분대는 선굵은 대하드라마를 시청률에 구애받지 않고 방송해온 터였다. ‘대왕세종’, ‘대조영’, ‘천추태후’ 등 대하드라마가 각각 길게는 1년 가량 전파를 탔던 것.

‘거상 김만덕’ 후속작으로 6·25전쟁물 ‘전우’가 리메이크되어 방송되니 사실상 KBS TV에 역사드라마는 없어진 셈이다. 방송사 내부사정 등 사연이 있을 걸로 이해하고 싶지만, 맏형 격의 KBS로서 바람직한 자세는 아니다.

그와 다르게 눈살을 찌뿌리게 한 것들도 제법 있어 보인다. 예컨대 정홍수(한재석)는 문신(文臣)인데도 무예 솜씨가 전문 칼잡이 버금간다. 6, 7년 훌쩍 지나 애들이 어른이 되었는데, 만덕을 둘러싼 인물(가령 형조판서)은 그대로다. 지금과 달리 그때는 고위 관리가그렇듯 한 자리에 장기 근무한 것인가?

“비리란 땅 속에 묻힌 뿌리와 같은 것” 같은 ‘명언’이 공감과 함께 기억에 남지만, 오문선 출산을 처녀인 김만덕이 돕는 것(아마 할매의 죽음에 따른 어쩔 수 없는 극적 상황을 노린 듯하다)이라든가 살아 있는 자기 아버지에게 ‘아버님’이라 호칭하는 잘못 등도 눈살을 찌뿌리게 하기는 마찬가지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