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7 (목)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대수술 필요한 전문계고



  전라북도 교육청 집계에 따르면 2007년 2월 전라북도내 60개 전문계고를 졸업한 학생은 8814명이다. 그중 23%인 2036명만이 취업했을 뿐이다. 각종 사유로 취업이나 진학을 하지 않은 546명을 뺀 6232명은 진학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려 70.7%에 이르는 전문계고 졸업생들이 대학에 간 것이다.

  11월말 전북교육통계연보에 따르면 고교 졸업생의 대학 진학률은  2005년 92.6%에 이어 2006년 95%를 기록했다. 일반계고야 당연히 진학을 목표로 하기 때문 95%라는 진학률이 놀랄 일은 아니지만 그 수치가 전문계고까지 합산한 것이라 할 때 심각한 문제로 받아들여진다. 

  하긴 우리나라처럼 고교 졸업생 10명중 9명 넘게 대학을 가는 나라가 또 어디 있을까 싶다. 일례로 스위스만 해도 고교 졸업생중 진학자는 30%를 웃도는 정도라고 한다.
  다종ㆍ다양의 다원성을 특징으로 하는 현대사회에 대졸자들의 일자리만 있는게 아닌 점을 감안해보면 뭔가가 크게 잘못된 기형적 구조라 아니 할 수 없다.

  그렇듯 대학진학이 대세라면 전문계고에 대한 대수술이 불가피한데도 정부당국은 요지부동이다. 기능인 양성이라는 설립취지의 정체성과 대다수 학생의 대학진학이라는 현실적 상황이 충돌하고 있는데도 정부는 나몰라라 하며 어떤 대책도 내놓지 않고 있다.
  그 점은 새 정부에서도 변함이 없을 것 같다. 낙선한 후보들을 포함하여 이명박대통령 당선자가 내놓은 교육공약을 살펴보니 그렇다. 전문계 특성화고 50개 설립 정도가 고작이기 때문이다. 언젠가부터 의붓자식 취급당하고 있는 전문계고라 하면 나만의 억측일까.

  전문계고에 대한 의붓자식 취급은 참여정부의 실정중 하나라해도 시비할 사람이 없다. 중앙정부가 전문계고 예산지원에서 발을 빼고 지자체 보고 알아서 하라고 했으니 전국적으로 고루 잘 될 턱이 없다. 재정자립도가 낮은 지자체의 경우 전문계고 예산지원이 줄어드는 것은 예고된󰡐재앙󰡑인 셈이다.

  단적인 예로 전북도의 경우를 보자. 한국교육신문(2006. 3. 7)에 따르면 2005년 전북도의 전문계고 예산은 32억 6천만 원으로 2004년의 78억 1500만 원의 42%로 줄어들었다. 2006년엔 17억 2600만 원으로 2004년 대비 22% 수준에 그쳤다.

  예산지원 축소만 문제가 되는건 아니다. 참여정부는 기능인 양성이라는 설립취지가 무색할 만큼 대입특별전형을 활성화시켜 오히려 전문계고생의 대학진학을 부추기는 정책을 폈다. 물론 대학 진학의 수요충족이라는 현실적 대안일 수도 있지만, 그러나 본말이 전도된󰡐전문계고 죽이기󰡑라는 평가를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2006년부터 3학년 학생들의 취업실습을 수능고사 이후로 나가게 한 것도 그중 하나이다. 취업 실습생들에 대한 인권침해가 심각한 수준이라는 국가 인권위원회의 권고를 받아들인 것이라지만, 이제 학생들은 거의 움직이지 않고 있다. 우리 학교만 해도 480여 명중 고작 24명만이 취업실습을 나갔을 뿐이다.

  사정이 이런데도 오후 5시만 되면 전문계고의 교육활동은 끝나버린다. 밤 11까지 보충수업이다 자율학습이다 해서󰡐공부하는 기계󰡑가 되는 일반계고 학생들이 부러워 할 교육과정인 셈이다. 그런데 우리 전문계고 학생들도 대학만 잘들 가니, 희한한 일이 아니지 않은가!

  바야흐로 결단이 필요한 시점이다. 종합고를 하나의 대안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 과거 시행되다 거의 자취를 감춘 바 있지만 취업반과 진학반을 따로 운영하여 학생과 학부모의 요구에 부응하자는 것이다. 물론 진학반은 일반계고 못지 않은 교육과정 및 활동이 필요하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