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서는 올 4월중, 약 40년만에 전국을 단위로 한 학력테스트가 예정되어 있다. 오이타현에서 열린 일본 교직원 조합의 교육연구 집회에서, 학력 향상을 목표로 해 약 20년전에 학력 테스트를 도입하였지만, 「역효과이다」라고 하여 폐지한 영국·웨일즈의 사례를 들면서 보고회를 가졌다. 여기에 참가한 교사들로부터는 일제 학력 테스트에 대한 염려의 소리가 높아졌다.
학력 문제를 테마로 특별 분과회에서 웨일즈 대학의 리처드·드에티 명예 교수가 강연하였다. 80년대 후반에 7세, 11세, 14세의 학력 테스트를 도입한 결과, 학교의 수업 내용이 출제 과목에 치우쳐 테스트 대책을 위한 수업이 반복되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같은 테스트가 학력 향상으로 과련 연결되고 있는지 의문이 나왔기 때문에, 2004년에 폐지할 것을 결정한 경위를 보고했다. 영국에서는 현재, 잉글랜드에서는 계속하고 있지만, 웨일즈, 스코틀랜드, 북 아일랜드의 각지방에서는 모두 실시하고 있지 않다는 것이다.
드에티 명예 교수는「학교는 아이나 보호자, 지역에 설명 책임을 다하지 않으면 되다. 그러나, 그것을 테스트의 수치 결과에만 의지하면 무리가 나온다」라고 지적하였다. 무엇보다도 테스트의 필요성은 인정하면서, 한 사람 한 사람의 공부 상황을 파악해 개별적으로 평가하는 것의 중요함을 강조했다.
회장에서는 학력 테스트를 실시하고 있는 도도부현의 사례 등도 소개되어 「학력 실태 파악은, 이미 있는 샘플 조사나 국제적인 테스트를 통하여 알 수 있다. 새롭게 전국 일률적으로 테스트를 실시하는 것은 의 메리트가 없다」라고 하는 신중한 의견이 눈에 띄었다. 학력 문제를 다룬 특별 분과회에서는 참가자로부터 「전국 조사가 실시 되려고 하고 있는 이제야말로, 계속하여 연구하는 것이 매우 의의가 있다」라고 하는 의견이 잇따라, 향후 검토 과제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