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7 (일)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감축괴담에 시달리는 학교

대한민국이 수출 3000억불(약 278조원) 시대를 맞았다. 세계 11위 수출 국가가 되게 한 3000억불은 소나타 1400만대, 휴대전화 17억개를 판 것과 맞먹는 액수라고 한다. 또한 그것은 우리 국민이 연간 내는 세금 총액 (163조 4000억)의 1.7배에 달하는 금액이기도 하다.

그뿐이 아니다. 내년에 대한민국의 1인당 국민총소득이 2만달러를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참여정부는 국민총소득 2만달러 시대가 되면 우리나라가 동북아시아 허브 국가로 부상하는 것은 물론 ‘성장과 분배’를 통해 사회양극화가 해소될 것이라는 ‘장밋빛 전망’을 내놓은 바 있다.

그러나 교사감축 현실을 보면 그것이 말장난에 불과할 뿐임을 실감하게 된다. 지난 해에 이어 올해도 학교는 ‘감축괴담’에 시달리고 있다. 예컨대 전라북도의 경우 중·고 교사 46명이 줄어든다. 내가 근무하는 학교에선 3명이 감축되는 걸로 잠정 결론이 났다.

요컨대 3명이 나가는데 후임자가 1명도 오지 않는 것이다. 감축되는 3명이 하던 주당 48시간의 수업을 기존 교사가 맡아야 될 판이다. 소위 상치교사 3명의 새로운 ‘탄생’을 예약해둔 셈이다. 아직 확정된건 아니지만, 국어과에서 도덕 수업을 맡게 될지도 모른단다.

나는 1984년 신규교사때 중학교에서 전공인 국어수업외 도덕을 두 시간 가르친 적이 있다. 그때 나의 주당 수업시수는 26시간이었다. 학급 및 특별 활동을 뺀 순수 수업시간만 그랬다. 대학을 갓졸업한 후 내 전공도 수업하기가 벅찰 때였는지라 상치과목 도덕은 그냥 교과서 읽기로 시간 때우기가 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니까 22년 전이나 하등 다를 바 없는 2007년의 상황인 것이다. 달라진게 있다면 그때 50명 남짓하던 학생수가 지금은 30명 선으로 줄어들었다는 정도이다. 세상에 이러고도 ‘수출 3000억불시대’니 ‘국민총소득 2만불시대’니 하며 떠벌여댈 수 있다니, 그리고 주5일제까지 버젓이 실시하고 있다니, 그 허구성의 수작이 놀랍기 그지 없다.

더욱 가관은 학생 수 감소나 학급 수 축소 등 교사감축 요인이 전혀 없는데도 3명의 교사가 학교를 떠나야 하고, 그 후임자가 오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해마다 교사 수를 소폭이라도 늘려 턱없이 밑도는 법정정원율을 끌어올려야 하는데도 오히려 갈수록 줄이고 있다. 이건 학교도 아니고 나라도 아니라는 생각이 떠나질 않는 이유이다.

그러나 교사의 과중한 수업부담만을 말하자는게 아니다. 고등학교에서 상치교사가 전공하지 않는 교과목을 가르칠 때의 부실함은 고스란히 학생들 피해로 남을 수밖에 없는 뻔한 실상을 지적하고자 함이다. 아, 실업계 고교니까 대충 시간 때우기로 교사감축을 메우면 된다는 뜻일까!

혹 정부는 비정규직 기간제 교사 천지인데, 그만 것도 감당못하고 엄살을 떠냐는 생각을 갖고 있는가. 그게 싫으면 아예 학교를 떠나라고? 오싹 소름이 끼치도록 그럴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스치지만, 분명 그것은 아니다.

주 5일제를 실시하는 나라에서, 수출 3000억불에 빛나고 국민총소득 2만달러 달성을 눈앞에 둔 대한민국의 학교에서 해마다 감축괴담에 시달려야 하다니, 할 말을 잃는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