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5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시론> 영재교육에 국가미래 달렸다

우리나라는 그동안 외국의 선진 기술을 따라잡는 노력을 열심히 해온, 소위 ‘추격형 인재’와 산업의 추구로 인해 한강의 기적을 이뤘으나 이제 그 효용이 바닥을 드러내고 있다.

2011년까지 연평균 13.6% 증가하던 제조업 매출이 2012년에 4.2%로 급감했고, 2013년에는 0%대로 떨어졌다. 2014년 3분기 미국의 애플은 영업 수익 마진이 26.5%인 반면 삼성전자는 마진 8.7%에 그쳤다. 삼성은 매년 마이크로소프트사에 1조 원의 안드로이드 로열티를 지불한다. 우리나라는 32개 OECD 국가 중 기술 수지 적자 연 5조 원으로서 최하위다. 그 만큼 원천 기술이 부족하다.

우리 기술은 중국에게도 거의 따라잡힌 상황이다. 지식재산권 시대에 하루 빨리 선도형 인재를 양성하고 그에 걸맞는 산업으로 전환하지 않으면 우리의 미래는 불 보듯 뻔하다.

지난 2000년 영재교육진흥법이 제정되면서 본격적으로 영재교육을 추진해온 우리나라는 2014년 현재 영재교육을 받는 학생 수 약 1.88%, 영재학교 25개, 교육청 영재교육원 269개, 대학부설 교육원 66개, 영재 학급 2651개로 그 양적 증대는 괄목하다. 그러나 여전히 여러 벽에 가로막혀 걸음마 단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질적 성공을 이루기 위해 해결해야 교육 내적 외적 과제가 산적한 상황이다.

일단 영재교육에 대한 올바른 인식 확산이 필요하다. 영재교육은 차별교육이나 엘리트교육이 아니다. 특수교육이 그러하듯 개별화 교육의 일환이며 교육 본연의 접근이다. 헌법과 교육기본법에 ‘능력과 적성에 따라 교육 받을 권리’를 보장하고 있고, 교육기본법에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이를 시행할 의무가 있음을 명시하고 있다. 영재교육진흥법까지 제정해 놓고 있지만 여전히 사회 일각에서는 자사고 때문에 일반고가 망한다는 식과 같은 평등논리가 비등하고 있다. 국가는 이러한 주장에 좌면우고하지 말고 미래의 세계를 내다보고 일관된 영재교육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

영재 교육을 전담하는 교사의 준비 역시 시급하다. 현재 영재교육 담당 교사는 자신의 고유 업무 외 추가로 맡고 있기 때문에 전력을 다하지 못한다. 이렇다 보니 교사들이 영재교육을 기피하고 있어 결실을 거두기 매우 어렵다. 영재 교사직이 선망의 대상이 되고 스스로 자부심을 갖도록 하는 제도의 뒷받침이 꼭 필요하다. 영재교육 전담교사제가 필요하고 이들에게는 지속적으로 영재 교육에 필요한 기본 소양을 쌓는 기회를 제공, 그리고 인사나 보수 면에서 보상을 해줘야 한다.

영재교육은 현 정부의 국정 과제인 ‘끼와 꿈을 키우는 교육’, ‘중학교 자유 학기제’, ‘창조 경제’와 그 맥락이 상통한다. 영재교육이 성공을 거둬 그 범위를 일반학생에게 확대한다면 후진국형 산업의 틀 안에서 대입, 취업에만 매달리고 있는 우리 교육현실에 큰 전환점을 마련할 수 있다.

이미 전 세계 모든 국가가 영재교육에 전력투구하는데 우리 교육은 여전히 엉뚱한 논리에 사로잡혀 한 발짝도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경쟁이 치열한 글로벌 사회에서 우수한 인재 교육의 중추인 영재교육은 선택 사항이 아니라 필수사항이며 평등과 형평이라는 미명 하에 획일적 하향평준화 교육에 현혹되면 우리의 미래는 분명히 없다. 특출한 인재를 양성하는 것은 다수를 위하는 것임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