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부터 9일까지 일본으로 ‘2013 한국교총 하계 해외연수’를 다녀왔다. 가족과 함께한 첫 해외여행이어서 그런지 여러모로 마음이 설레었다. 아침 일찍 도착한 인천공항에서 모든 것이 낯설었지만 아이들은 해외여행에 대한 설렘 때문인지 마냥 즐거운 표정이었다.
도야마 국제공항에 도착해 점심을 먹고 첫 번째로 도착한 곳이 일본 최고의 경승지라고 하는 ‘구로베 협곡’이었다. 일본에서 가장 깊은 V자 협곡으로 전기철도가 20.1킬로미터에 이르는 협곡 구간을 운행한다. 41개의 터널과 25개의 다리를 지나면서 협곡의 뛰어난 절경을 볼 수 있었다.
이틀째 여행지인 ‘다테야마쿠로베 알펜루트’는 일본의 지붕이라고 불리는 일본 알프스의 다테야마를 관통하는 다이내믹한 산악관광 루트다. 도야마에서 나가노현까지 표고차 2400미터를 버스와 케이블카, 로프웨이 등으로 갈아타고 이동하는 전장 약 90킬로미터의 산악루트였다. 구로베강 상류에 위치한 ‘구로베댐’은 약 2억 톤의 물을 담고 있으며 일본 제일의 높이(186m)를 자랑하는 거대한 아치형 댐이다. 웅장하게 뿜어져 나오는 방수(放水) 모습과 쌍무지개는 보는 이들의 감탄을 자아내기에 충분했다. 또 해발 2450미터인 무로도의 자연호수와 8월 한 여름에도 남아있는 만년설은 찾는 사람들을 즐겁게 해주기에 충분했다.

일본에서 연수 3일째 되는 날 아주 뜻 깊은 곳을 방문했다. 윤봉길 의사가 일본군에게 총살을 당했던 역사적인 현장 ‘매헌 윤봉길 의사 순국기념비’를 방문하게 된 것이다. 일본 이시카와현 가나자와 윤봉길의사 순국기념비가 세워진 산등성 주위는 소나무가 울창하게 서있고 무궁화나무로 울타리가 조성돼 있어 무척 인상적이었다.
역사책에서만 볼 수 있었던 장소를 직접 방문하니 정말 감회가 새로웠고, 몇 십 년 전 우리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치다 돌아가신 현장에 내가 서 있다고 생각하니 마음이 굳건해지고 눈시울이 붉어졌다. 필자는 이번 하계 연수에 앞서 2012년 1월 중국 상하이를 방문한 적이 있다. 상하이는 3․1 운동을 계기로 조직된 대한민국임시정부가 1919년 4월부터 활동을 시작해 1932년 5월 일제의 탄압을 피해 항저우로 옮기기 전까지 대한독립활동의 터가 됐던 곳이다. 이러한 임시정부청사에 직접 방문해 보니 남의 땅, 남의 나라에서 오로지 내 조국의 독립만을 위해 목숨 바쳐 투쟁했을 독립투사들에게 미안함과 동시에 감사한 마음을 느꼈다. 그분들의 피와 땀으로 되찾은 소중한 조국을 위해 열심히 살겠노라고 묵념으로 약속을 대신하고 애국심을 다지며 방명록에 사인을 하고 청사를 나왔다.
건물이 매우 낡고 도로 옆에 위치해 있어서 자세히 보지 않으면 쉽게 지나쳐 버릴 수도 있을 만큼 외관이 초라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많은 한국인 관광객들이 그들의 발자취를 찾기 위해 이곳을 찾는다고 하니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이어서 방문한 홍구공원(루쉰 공원)은 1932년 4월 29일 윤봉길 의사가 폭탄을 투척해 일본 육군대장 시라카와 요시노리 등을 폭사·부상하게 만든 의거 현장이었다. 홍구공원 한 편에 ‘윤봉길 의거현장’이라고 새겨진 비석이 홀로서서 그가 목숨 바쳐 지켰던 조국의 후예를 반기고 있었다. 홍구공원 거사는 침체에 빠진 항일투쟁에 새로운 활로를 열어주었고 한국인의 독립열망에 대한 중국인의 인식을 새롭게 하는 계기를 마련해 준 중요한 역사적 현장임을 알 수 있었다.
이번 일본 연수를 통해 방문한 여러 관광지 중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을 하나 고르라면 주저하지 않고 ‘매헌 윤봉길 의사 순국기념비’를 방문한 것을 말할 것이다.
하지만 아쉬움도 없지 않았다. 일본군에게 총살당한 후 윤봉길의사의 유해조차도 찾지 못했는데 현지에 거주하던 재일동포들이 힘을 합쳐 윤봉길의사의 유해를 직접 찾아내 조국의 품으로 돌아오게 했으며, 순국하신 자리에 기념비를 건립했다는 설명을 들었을 때 정부에서 직접 해야 할 일을 아무런 대가 없이 재일동포들이 해냈다는데 경의를 표하고 싶었다.
상하이와 일본에서 본 역사적 현장으로 일제 치하에서 오로지 조국의 독립을 위해 모든 것을 바쳐 활동한 ‘매헌 윤봉길 의사’의 활동상이 눈에 선하게 그려지는 듯 했다. 더불어 역사 교육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깨닫게 됐으며 지금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가 지녀야 할 자세는 어떠해야 하는지 되새길 수 있는 의미 있는 시간이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