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준별 수능시험이 이번 학년도에 처음으로 시행된다. 개편된 수능의 주요 내용은 기존 수능의 언어영역을 국어 A·B형, 수리영역을 수학 A·B형, 외국어영역을 영어 A·B형, 탐구영역 세 과목 선택을 두 과목으로 변경한 것이다.
2014학년도 수능시험을 그래서 흔히들 선택형 수능시험이라고 하는데 이는 엄밀히 말하면 잘못된 표현이다. 왜냐면 수능 영역(과목)을 선택해 시험을 보는 것은 이미 기존 수능에서도 허용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A형은 기존 수능보다 난이도면에서 쉽고, B형은 어려우므로 수준별 수능시험이라고 해야 올바른 표현일 것이다.
수준별 수능시험이 불과 8개월 여 남은 지금 시점에서, 수험생들은 과연 어떤 선택을 하도록 지도해야 학생들에게 유리할까? 인문·사회계열 수험생은 국어는 B형, 수학은 A형을 선택하면 된다. 자연·과학계열 수험생은 반대로 국어는 A형, 수학은 B형을 선택하면 된다. 왜냐하면 국어와 수학은 동시에 B형을 선택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즉 자연·과학계열 수험생은 대부분의 중·상위권 대학이 지정한 수학 B형을 선택할 경우 국어는 B형을 선택할 수가 없고, A형을 선택해야만 된다. 이때 수학 B형 대신에 A형을 선택하고 국어 B형을 선택할 수도 있겠지만, 이는 가산점 측면에서 매우 불리할 수 있다는 사실을 수험생이 인식하고 충분히 검토하도록 지도해야 한다. 자연·이공계열 대학은 국어 B형보다는 수학 B형에 높은 가산점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번 학년도 대입에서는 전 학년도 보다 수학 B형 지정 대학이 약 20여 개교 증가한 43개교나 되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이는 전년도보다 수리 ‘가’형(수학 B형) 응시 인원이 많아져, 결국 수학 ‘B’형을 선택한 학생의 등급과 백분위 성적이 전년도에 비해 더 유리해질 가능성도 있다는 의미다.
인문·사회 계열의 수험생 역시 마찬가지 이치로 국어 B형을 선택했다면, 수학은 A형을 선택할 수밖에 없다. 인문·사회 계열에서 국어 B형 지정 대학은 50개교에 이른다. 이 때 인문·사회 계열의 하위권 수험생이 상위 등급 획득 기대감으로 쉬운 국어 A형을 선택하겠다고 할 수도 있겠지만, 이는 입시 전략상 유리한 선택이 아니라는 점을 알려줘야 한다. 왜냐하면 실력이 좋은 자연·과학계열 국어 A형 응시자와 경쟁해야 하기 때문이다. 인문계열 수험생의 수학 포기 여부는 수학 공부에 자신이 있느냐, 없느냐보다는 국어, 영어, 사회탐탐구가 3등급 이내이면 수학을 못해도 수학 공부를 할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국어, 영어, 사회탐구가 평균 5등급 이상이라면 수학을 잘해도 국어, 영어, 사회탐구에 집중하도록 하는 것이 정시모집에서 지원 폭을 넓혀주는 선택일 것이다.
문제는 영어 A·B형 선택에 대한 유·불리다. 영어 A·B형은 수험생의 계열과 관계없이 선택할 수가 있다.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모의고사 4개 영역 평균 3등급 대 이내에 들어가는 상위권 수험생들은 문과생·이과생을 막론하고 B형을 선택할 것이다. 왜냐하면 인문·사회계열과 자연·과학계열 모두 중·상위권 60여개 이상의 대학이 영어 B형을 지정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모의고사 4개 영역 평균 4등급 이상을 받고 있는 중·하위권 수험생은 영어 A형 응시를 고민해야 한다. 실력이 좋은 수험생들보다는 학력이 좀 부족한 수험생과 경쟁하는 것이 좋은 등급과 백분위를 획득할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탐구 영역은 최대 2과목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고교 3학년 때 개설된 과목 중에서 지원해야 할 학과와 관계가 있고, 스스로 자신 있는 과목을 선택해 집중적으로 공부하도록 지도하면 될 것이다.
제2외국어는 대부분의 중상상위권 대학에서 사회탐구과목 대체를 허용하고 있다. 제2외국어는 문항 수가 30문항이고 사회탐구 영역은 문항 수가 20문항이기 때문에 제 2외국어가 백분위나 등급에서 유리한 면이 있다. 문항 수가 적은 과목에서는 한 문항의 실수가 치명타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제2외국어에 자신이 있는 학생들은 제2외국어 공부를 하도록 지도하는 것이 좋겠다.
학생 자신의 학업 능력에 맞게 2+1, 또는 3+1방식으로 탐구 과목을 적절하게 선택하는 등 맞춤식 공부를 하는 것이 수능시험의 합리적 대비 전략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