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3 (수)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

학실련 설문, "학교불신 위험수위"

  • .
  • 등록 2000.05.15 00:00:00
학교바로세우기실천연대는 전국의 교원 818명, 학부모 821명, 중·고생 455명, 대학생 169명 등 226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설문조사에서는 학교불신과 교실붕괴가 위험수위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초·중등학교에서 가르치고 배우는 교육내용의 수준을 묻는 질문에서 응답자(2248명) 가운데 59.5%가 어렵다고 답변한 반면 2.8%만이 쉽다고 반응해 현재 학교에서 가르치는 교과내용의 수준이나 배우는 학생의 수준에 커다란 문제가 있음을 시사했다. 교육내용의 양에 대해서도 매우 많다 31.3%, 약간 많다 47.9% 등 많다는 의견이 79.0%로 압도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특히 교원의 경우 가장 높은 반응도를 보였다.

이는 자신이 현재 가르친느 수업의 양에 대한 판단도 함께 고려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집단보다 상대적으로 큰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진학과 관련 학교와 학원(가정교사)중 어느 곳에서 배우는 것이 더 유리한가를 묻는 질문에서 `학원(가정교사)'이 유리하다'고 응답한 자가 49.1%, `학교가 유리하다'고 응답한 자가 50.9%로 나타나 거의 비슷한 반응을 보였다.

현재의 교실붕괴를 초래한 가장 큰 원인으로는 `성적위주와 획일적인 교육체제'를 꼽았다. 또 교실 붕괴의 가장 큰 책임자는 누구인지를 묻는 질무에서 전체 응답자의 53.0%가 교육부와 교육행정·정책 수립가'를 지목해 잘못된 교육정책에서 비롯됐다는 인식이 각 집단에 공통적으로 팽배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학교생활과 관련한 스트레스 요인을 묻는 질문에서 교원은 `과도한 업무 및 잡무'(37.3%)를 학부모는 `자녀의 성적과 대학입시 문제'(32.9%)를, 학생은 `성적과 대학문제'(62.7%)를 지적했다. 교원의 경우 연령이 낮을수록 `과도한 업무와 잡무'에 따른 고충을 호소했고 특히 30세 미만 교원의 52.9%가 이로인해 정신적 부담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목적의 체벌에 대해 전체 응답자의 78.0%가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교원과 학생 집단간의 인식차이가 컸다. 교원은 92.4%가 찬성한 반면 중·고등학교 학생은 반대(51.9%)가 더 많아 대조를 보였다. 조기유학에 대해서는 전체 응답자 중 41.2%가 찬성, 58.2%가 반대의 입장을 보였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