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학년도 전국 외국어고교의 입시에서는 내신비중이 낮아지면서 영어평가와 구술ㆍ면접이 당락을 좌우할 전망이다.
이와 함께 올해부터 서울과 경기지역 외고 전형이 같은날 실시됨에 따라 상위권학생들이 서울지역 외고로 몰릴 것으로 보인다.
23일 특목고 입시 전문기관인 하늘교육에 따르면 2007학년도 입시부터 학교내신 비중이 약화된 학교는 명덕외고의 일반ㆍ특별전형과 대원외고와 서울외고, 용인 외대부속ㆍ경북외고의 일반전형인 것으로 분석됐다.
◇ 변경된 외국어고 입시안 = 대원외고의 일반전형에서는 내신성적 최고점과 최저점간 격차가 작년 40점에서 올해 33.3점으로 축소됐다. 특별전형에서는 국제화전형이 신설된 반면 학교장 추천인원은 줄었다.
독일어와 불어, 스페인어, 중국어, 일본어 능력우수자 전형에서는 기존 해당외국어듣기평가가 없어진 대신 영어듣기평가가 실시된다.
명덕외고도 일반전형과 특별전형에서 내신등급을 기존 9등급에서 6등급으로 축소했다. 학교장 추천전형에서도 내신성적 및 경력으로 6배수 학생을 1차로 선발하던 단계별 전형방식을 올해부터 교과 및 경력, 구술면접점수를 일괄 합산해 뽑기로 해 사실상 내신비중을 줄였다.
이화여자외고도 기존 학교내신으로만 모집인원을 100% 뽑았던 방식을 변경하기로 했다. 모집인원의 40%는 학교내신으로, 나머지는 학교내신과 구술면접으로 각각 선발키로 했다.
서울외고의 일반전형 내신총점도 230점에서 200점으로 낮아지면서 내신비중이 76.7%에서 74.1%로 감소했다.
또한 외대부속외고의 특별전형 전 부문에서 영어듣기 비중이 줄었고 글로벌 학업적성검사 및 인성면접(종전의 구술면접시험) 비중이 작년보다 2배 커졌다. 지난해에는 인성면접이 점수화되지 않았지만 올해에는 점수로 반영된다. 경시대회 전형도 폐지됐다.
고양외고는 전체 모집인원을 480명에서 420명으로 줄였지만 학교장 추천인원은 20명에서 33명으로 크게 확대했으며 동두천외고는 3학년 1학기 내신성적 비중을 40%에서 50%로 늘렸다.
명지외고는 특별전형 전 부문에서 적성검사 대신 국어와 영어, 수리관련 학업적성검사를 실시한다. 일반전형에서는 내신비중이 총점대비 70%에서 50%로 줄어든 반면 학업적성검사는 25%에서 50%로 확대됐다.
김포외고는 특별전형 학교장 추천자와 외국어우수자 지원자격에서 수상과 외국어공인 시험이외에 학교내신관련을 추가했으며 대전외고는 특별전형(84명)을 신설하기로 했다.
대구외고는 특별전형 인원을 45명에서 54명으로 늘리는 한편 특별전형 지원자격 가운데 경시대회 입상자 자격을 삭제했으며 경북외고는 1학년 성적을 반영하지 않기로 했다.
김해외고는 특별전형에서 영어공인점수와 학교내신 지원자격을 상향 조정했으며 제주외고는 일반전형 지원자격을 3학년 1학기 영어 상위 15%에서 영어 '우'이상으로 변경했다.
◇ 상위권 학생 서울지역 외고로 몰릴 듯 = 올해부터 서울과 경기지역 외고 입시가 같은날 실시됨에 따라 작년과 달리 상위권 학생이 서울권 외고에 집중 지원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늘교육은 최근 초ㆍ중학생 4천297명을 대상으로 지원희망 특목고를 조사한 결과 대원외고가 선호율 13.5%로 1위를 차지했으며 민족사관고가 6.2%로 2위를 나타냈다고 밝혔다.
올해 특목고 입시를 앞두고 있는 중학교 3학년생들의 선호도에서도 대원외고(23.0%)가 수위였고 작년 1위였던 외대부속외고(15.9%)는 2위로 밀려났다.
서울지역 중학교 3학년생들의 서울지역 외고 선호율은 작년 37.1%에서 올해 50.0%로 크게 증가한 반면 경기지역 외고 선호율은 30.3%에서 24.2%로 감소했다.
작년과 비교한 서울지역 학교별 선호도 비율을 보면 서울외고(-0.4%포인트)를 제외한 모든 학교가 높아졌다.
대원외고가 5.3%포인트 증가한 것을 비롯해 한영외고 3.3%포인트, 명덕외고 2.0%포인트, 대일외고 1.9%포인트, 이화외고 0.6%포인트 등이다.
반면 외대부속외고의 선호율은 작년보다 무려 8.1%포인트 감소했으며 고양외고와 명지외고 등 다른 경기지역 외고의 선호도도 작년보다 낮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