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교육위원회는 14일 '3.1절 골프파문'과 관련한 교직원공제회의 영남제분 주가조작 의혹을 놓고 논란을 벌였다.
특히 한나라당 의원들은 김평수(金坪洙) 교원공제회 이사장을 상대로 공제회가 투자기준까지 바꿔가며 영남제분 주식을 집중 매집, 영남제분이 단기간에 큰 수익을 올릴 수 있도록 지원해준 의혹이 있다고 몰아붙였다.
진수희(陳壽姬) 의원은 "교원공제회의 투자 기준은 시가총액 500억원이었지만, 영남제분의 시가총액이 490억원대에 머물자 투자 기준을 갑자기 300억원으로 변경해 투자를 가능케 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해찬(李海瓚) 전 총리, 이기우 전 교육차관과 영남제분 회장의 골프모임 이후 취임한 김 이사장은 전임 이사장인 이 전 차관으로부터 영남제분 투자를 지시받았으나 투자기준상 불가능하다고 하니 기준을 바꾼 것 아니냐"고 추궁했다.
임해규(林亥圭) 의원은 "김 이사장은 주식매입 전후로 영남제분 회장과 골프를 최소 3차례 쳤고 특히 8월엔 내부 문건에서 '영남제분 주식동향이 좋지 않으니 관망하는 게 좋겠다'고 했는데도 8~9월 11회나 주식을 사 최대주주가 됐다"고 말했다.
열린우리당 의원들도 투자 과정이 의혹을 불러일으킬 소지가 있다면서 김 이사장의 충분한 해명을 요구했다.
유기홍(柳基洪) 의원은 "당시 주식시장 개황이 중소형주가 투자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던 시점이 아니었다면 상당히 문제가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백원우(白元宇) 의원은 "골프를 자주 쳤던 분의 회사 주식을 샀다면 의혹을 받을 수 있다"며 "특별한 지인 관계에 있는 분의 주식을 많이 매입한 데 대해 국민들께 사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김 이사장은 "그 부분은 대단히 죄송하다"고 머리를 숙였다.
그는 또 자회사인 '교원나라레저' 대표에 전임 이사장인 이기우 전 차관이 추천한 이해찬 전 총리의 고교 동문을 임명한 데 대해서도 "공고를 해서 절차를 거치지 않고 추천을 받아 오해받은 부분은 죄송하다"고 사과했다.
그러나 김 이사장은 영남제분을 지원하기 위해 투자 기준을 바꿨다는 의혹에 대해선 "그렇게 하지는 않았다"고 부인했다.
김 이사장은 이어 "그런 일련의 사건들에 대한 검찰 등 관련 기관의 조사에서 책임질 사안이 나오면 자리에 연연하지 않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