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학교운영위원들의 투표로 선출하는 광주시교육감을 주민 직선제로 바꿔야 한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
이는 오는 10월 치러질 시교육감 선거와 관련, 지난달 학교운영위원회 위원 선출이 불법.타락 양상을 보였다는 지적과 함께 최근 들어서는 교육감 입지자들을 중심으로 교육계가 분화되는 양상을 보이는 등 간접선거 폐단이 적지 않다는 목소리가터져 나오가 있기때문이다.
현재 '유권자'인 학교운영위원회 위원은 학부모들의 직, 간접 선거로 뽑는 학부모위원 1천500여명, 교원들의 직접 투표에 의해 선출하는 교원위원 1천200여명, 학부모위원과 교원위원들이 선출하는 지역위원 600여명 등 총 3천300여명에 불과하다.
이에 따라 과거 일부 시.도교육감 선거에 출마한 후보들이 운영위원들을 매수하기 위해 금품을 살포했다가 사법처리 되는 사례도 있었다.
시교육감 선거를 준비중인 모 인사는 14일 "지난달 학교운영위원회 위원 선출과정에서 주윗분들이 나를 위해 운영위원에 출마한 경우도 있었다"고 토로하고, "간접선거로 인해 교육계 내부에 파당이 발생하는 등 폐해가 적지 않은 만큼 최선은 아니겠지만 직선으로 교육감을 뽑도록 해야한다"고 말했다.
시교육청 일부 사무관들도 "직.간접 교육수혜자는 학생과 학부모 등 수십만명에 달하는데 고작 학교운영위원원회 위원 3천명을 유권자로 시교육을 책임질 대표를 뽑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이라며 직선을 선호하고 있다.
국회 교육위원 지병문(광주 남구) 의원도 최근 기자간담회를 갖고 "간접선거에 대한 폐단을 없애기 위해 교육감은 직선으로 뽑아야 된다"고 말한 바 있다.
이와 관련, 국회 교육위원회는 17일 법안심사소위원회를 열고 교육감 선거를 직선으로 바꾸는 내용을 골자로 한 지방교육자치법안을 심의하기로 해 결과가 주목된다.
지 의원측은 "법안심사소위원회에서 10월 광주시교육감 선거를 직선으로 치르는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