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1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소식

서울위례초, '위례 Re:new Festa' – 다시 피어난 우리 학교 이야기

7년 만에 열린 희망의 축제
모두가 하나 되어 미래 약속

서울 위례초(교장 박용구)가 지난 3월 1일, 긴 기다림 끝에 다시 문을 열었다. 2018년 둔촌주공아파트 재건축으로 휴교에 들어간 지 7년 만이다. 교문 앞을 가득 메운 아이들의 발걸음과 웃음소리가 교정을 다시 밝히며, 마치 멈춰 있던 시간이 한순간에 흐르기 시작한 듯했다.

 

“학교가 다시 문을 연다는 소식에 얼마나 가슴이 뛰었는지 몰라요.”

 

한 학부모의 말처럼, 이번 재개교는 단순한 개교가 아니라 교육공동체 모두에게 새로운 출발의 상징이었다. 이 기쁨과 희망을 나누기 위해 준비된 축제가 바로 『위례 Re:new Festa』다.

 

 

9월 22일부터 26일까지 이어진 ‘학교 사랑 주간’은 아이들이 스스로 학교와 관계를 맺고, 공동체의 의미를 다시 새기는 시간이었다. 아이들은 작은 종이 타일 하나하나에 자신이 느끼는 학교의 모습과 바람을 그려 넣었다. 그 조각들이 모여 하나의 대형 벽화가 완성되자, 아이들은 환하게 웃었다. 

 

복도에는 ‘우리 학교의 좋은 점’, ‘앞으로 바라는 점’이 적힌 수많은 메시지가 바람처럼 걸렸다. 작은 글씨마다 아이들의 순수한 마음이 담겨 있었고, 지나던 학부모들은 발걸음을 멈춰 글을 읽으며 미소를 지었다.

 

“아이들이 직접 쓴 글을 보니 우리 학교가 얼마나 소중한 공간인지 새삼 느껴졌어요.”

 

한 학부모의 말처럼 메시지 로드는 단순한 전시가 아니라 교육공동체의 목소리를 모아낸 길이었다.

 

‘20년 후의 나와 가족, 학교’를 주제로 쓴 편지는 곧 타임캡슐에 봉입되었다. 학생들은 미래의 자신에게 말을 걸 듯, 또 학교와 다시 만나게 될 날을 약속하듯 편지를 적었다.

 

“20년 뒤 어른이 된 제가 이 편지를 다시 읽을 수 있다니 설레고 기대돼요.” 6학년 학생의 말이 축제의 무게와 설렘을 함께 전했다.

 

 

 

9월 25일 저녁, 위례초는 낮과 전혀 다른 모습으로 변했다. 시청각실에서 열린 음악회에는 학생과 학부모 140여 명이 참여했다. 무대 위에서는 “새로운 시작, 가족, 사랑”이라는 주제로 연주와 합창이 이어졌다. 한 학부모는 “아이와 함께 무대에 올라 연주하니 평생 잊지 못할 가족의 추억이 되었다”고 말하며 눈시울을 붉혔다. 음악은 단순한 공연을 넘어, 가족과 공동체를 이어주는 끈이 되었다.

 

옥상 광장에서는 조명이 은은히 켜지고 돗자리가 펼쳐졌다. 감성적인 캠핑 분위기 속에서 부모와 아이들이 함께 책을 읽으며 대화를 나누었다.

 

“책을 별빛 아래서 읽으니까 진짜 동화 속 주인공이 된 기분이었어요.”  어느 학생의 말처럼, 그날의 시간은 단순한 학습이 아니라 꿈을 확인하는 체험이었다.

 

 

 

9월 26일, 체육관에서 열린 재개교 기념식에는 강동송파교육지원청과 강동구청, 지역 학교장 등 250여 명이 자리했다. 학생들의 공연과 기념 영상 상영, 교가 제창이 이어지면서 교정은 벅찬 감동으로 물들었다.

 

“아이들의 공연을 보니 학교가 살아 있다는 게 실감났다. 이 순간이 참 감사하다.” 지역 주민의 소감처럼, 기념식은 단순한 의식이 아니라 공동체가 다시 호흡하는 자리였다.

 

행사 후 이어진 시설 탐방에서는 지하 1층의 AI 체육 교실이 첫 공개됐다. 스마트 체력 측정 장비와 AI 건강관리 시스템이 소개되며 미래형 체육 교육의 가능성이 제시되었다. “앞으로는 운동도 AI랑 함께 한다니 신기하다. 건강해질 것 같다.” 어느 5학년 학생의 반응은 교실이 품은 미래의 의미를 잘 보여주었다.

 

 

 

9월 26일 오전 10시 40분, 위례초 체육관에서는 특별한 의식이 진행되었다. ‘타임캡슐 봉입식’이라는 이름으로 열린 이 행사는 재개교와 광복 80주년을 함께 기념하며, 오늘의 위례초를 미래와 연결하는 상징적인 시간이었다.

 

체육관 무대 한쪽에는 반짝이는 은빛 타임캡슐이 준비되어 있었고, 전교생과 교직원은 실시간 방송으로 그 과정을 지켜보았다. 이번 봉입식에는 학교장과 학교운영위원회 위원장, 강동송파교육지원청 교육장, 강동구청장, 학부모회장, 그리고 전교 어린이회장이 함께 자리해 지금의 학교와 미래 세대를 잇는 약속을 함께 다졌다.

 

봉입된 물품은 다양했다. ‘응답하라 2025’라는 이름으로 재개교식 리플릿, 학교 신문, 생활 통지표, 학교 로고 패치, 재개교식 폴라로이드 사진 등이 담겼다. 현재의 학교를 보여주는 기록물들이 그대로 미래로 건너가는 것이다.

 

또한 모든 학생과 교직원, 학부모가 함께 작성한 ‘미래 편지함’도 타임캡슐에 들어갔다. '20년 후의 나에게, 20년 후의 우리 학교와 가족의 모습'이라는 주제로 작성된 편지는 작품과 함께 스캔되어 USB에 저장되었다. 교사들은 ‘나의 교직 이야기’와 ‘교사 일기’를 기록했고, 학생들은 학급 이야기와 개별 작품을, 학부모들은 ‘우리 가족 이야기’를 담았다. 이렇게 모인 자료는 현재의 모습이자 동시에 미래 세대에 전하는 메시지가 되었다.

 

이 모든 기록은 중앙정원에 묻혀 20년 뒤, 광복 100주년이 되는 2045년에 다시 세상 밖으로 나오게 된다. 그날, 지금의 어린 학생들은 성인이 되어 자신의 글과 그림을 다시 마주하게 될 것이다. 

 

 

이번 봉입식은 단순히 물건을 묻는 행사가 아니었다. 학생·교직원·학부모·동문까지 모든 학교 구성원이 함께 참여해 새로운 출발을 축하하고 공동체 의식을 다지는 자리였다. 동시에 학생들의 꿈과 희망을 미래로 보내며, 자신의 성장을 돌아볼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20년 후 캡슐이 개봉될 때, 위례초는 어떤 모습일까. 지금의 웃음과 다짐이 그날에도 이어져, 학교와 지역사회 모두에게 긍정적이고 따뜻한 메시지가 전해지길 기대해 본다.

 

서울시교육청이 강조하는 협력교육의 가치는 이번 축제 속에 녹아 있었다. 학생 맞춤형 교육, 심리·정서적 회복 지원, 미래역량 함양, 학교자치 기반 조성, 지역사회 연계라는 교육의 핵심 과제가 자연스럽게 실천된 것이다.

 

박용구 교장은 “'위례 Re:new Festa'는 학생에게는 꿈과 희망을, 교사에게는 긍지와 보람을, 학부모에게는 신뢰와 감동을 주는 출발점”이라며 앞으로도 교육공동체가 함께 성장하는 행복한 학교 문화를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위례 Re:new Festa'는 단순한 재개교 기념행사가 아니었다. 그것은 멈췄던 시간을 되찾고,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교육공동체의 약속이었다. 아이들의 웃음과 학부모의 응원, 교사의 열정이 하나로 모여 다시 피어난 위례초는 이제 미래를 향해 걸어간다. 20년 뒤, 오늘의 편지를 열어보게 될 그 날, 위례초는 또 다른 모습으로 우리 앞에 설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