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5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정책

학교‧마을 함께 살릴 대안 '농산어촌유학'

6개월~1년 간 농가 머물며 자연체험
춘천 송화초, 학생 4배 가까이 늘어
학교 보고 귀농하는 학부모도 상당수
마을·학교·센터·학부모 등 협력이 관건



강원 춘천의 송화초는 2009년 전교생 15명으로 폐교 위기에 처했던 학교다. 그러나 올해 이 학교 학생은 52명으로 5년 만에 4배 가까이 늘었다. 농촌유학센터를 운영하고부터 생긴 변화였다.

농산어촌유학은 도시 아이들이 농산어촌의 농가 혹은 센터에서 일정기간 생활하며 자연을 체험하는 프로그램으로 배려심과 인성, 자존감과 사회성을 길러준다는 측면에서 최근 학부모들에게 관심을 받기 시작한 제도다. 40여 년 전, 도시 아이들에게 자연체험을 주자는 의미로 일본에서 처음 시작됐고 우리나라에서는 2007년부터 본격적으로 도입됐다.

현재 매년 50여 곳에서 1000여 명 정도가 이용하고 있으며 운영을 준비 중인 예비 실행지도 20여 곳에 달한다. 보통 6개월에서 1년 정도 머물면서 사계절에 맞게 씨앗뿌리기, 모내기, 물고기잡기, 벼 수확, 김장하기 등 자연에서 할 수 있는 활동을 두루 체험한다.

송화초와 마을 주민들과 협력해 춘천 별빛 산골유학센터를 설립한 윤요왕 센터장은 “유학생도 27명으로 늘었지만 학교를 보고 귀농한 학부모들도 상당 수 있어 지역 아동도 25명으로 많아졌다”며 “일부 아이들은 2~3년씩 머물기도 할 만큼 학부모들의 만족도가 높다”고 밝혔다.

농산어촌유학은 크게 자신의 집을 활용하는 농가형, 마을 내 건물을 활용하는 센터형, 주민들과 협력해 농가와 센터를 오가며 진행하는 마을형으로 구분한다. 센터형의 경우 운영주체가 건물을 임대해 기숙사 형태로 운영하며 마을형은 센터와 농가가 결합한 것으로 활동은 센터에서 하되 숙박은 농가에서 제공한 방에서 하게 된다.

별빛 산골유학센터는 마을형 센터로 학교가 끝나면 유학생들과 지역아동들은 모두 센터로 모여 방과 후 활동을 한다. 저녁 시간이 되면 지역아동들은 각자의 집으로, 유학생들은 지정된 농가로 돌아가 숙박 한다.

농산어촌유학 관계자들은 “센터운영자와 교사, 농가 주민, 교육지원청, 학부모 등 운영주체 간 협력체계를 견고하게 구축하는 것이 성공의 포인트”라고 강조한다. 센터 운영이 민주적이고 투명하지 못하면 자칫 개인사업장화 되거나 마을과의 괴리가 발생해 마찰을 겪을 수 있기 때문이다. 센터 설립 전 지역주민과 학교, 교육청 등 관계자들의 충분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시도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얘기다.

윤 센터장은 “근 2~3년 간 전북, 강원, 제주, 충북 경북 등 각 광역시‧도에서 농산어촌유학 지원조례를 제정하는 등 관심이 높아지고는 있으나 아직 본격적으로 시행에 들어가지 않아 운영비 지원, 시설 지원 등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유학비는 보통 한 달 60~80만 원 선이다. 도시에서 자녀에게 들어가는 학원비, 생활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 부담스럽지만은 않다는 의견도 있지만 아직 저소득가구 등 경제적으로 여의치 않은 가정에서는 접근하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기 때문이다.

윤 센터장은 “단순히 학생 수를 늘려 폐교 위기를 모면하겠다는 생각으로만 접근하면 도시 학부모들도 센터를 찾지 않을 것”이라며 “보다 폭넓은 관점에서 지역과 도시의 아이들, 그리고 마을 주민들 모두가 상생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제언했다.
배너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