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아이들에게 가르칠 '규원가'를 공부하다가 경기도 광주군에 있다는 허난설헌의 묘비명을 읽게 되었습니다. 굴종만이 강요된 질곡의 생활에 숨막혀 자취도 없이 왔다가 사라져간 이 땅의 여성들 틈에서도 부인은 정녕 우뚝하게 섰구나. 이 묘비명만으로도 '규원가'의 저자인 허난설헌의 삶이 어느 정도는 짐작이 되었습니다. 허난설헌은 정승을 지낸 허엽의 딸로 태어나 어린 시절은 매우 유복하게 지냈다고 합니다. 아버지와 오빠들은 당시로써는 상당히 개방적인 사람들이어서 허난설헌을 여자라고 차별하지 않고 글과 학문을 잘 가르쳐주었습니다. 난설헌 또한 하나를 배우면 열을 깨우치는 머리가 아주 총명한 소녀였습니다. 그러나 이런 총명함이 오히려 난설헌을 불행의 늪에 빠뜨렸다는 생각이 듭니다. 당시 사회적 분위기로 봐서는 여자가 글을 배우고 시를 짓고 명석한 머리를 가졌다는 것은 큰 허물이 되었던 듯합니다. 때문에 아무리 능력이 출중해도 그 능력을 발휘할 사회적 여건이 되지 못했던 겁니다. 설상가상으로 열다섯 살에 김성립이란 남자와 결혼했는데 사이가 좋지 못했다고 합니다. 글쎄 남자가 좀 옹졸했는지 자기보다 출중한 글재주를 가진 아내를 멀리했다는군요. 그래서 거의 인생의 절반을…
2009-03-10 17:37요즘 뉴스를 보면 금값이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고 있다. 그러다보니 주변에서도 금으로 반지나 목걸이를 하고 있는 사람끼리 자주 이야기를 한다. 그런데 이 사람들이 ‘내 반지는 세 돈, 목걸이는 네 돈’이라는 말을 한다. 간혹 ‘서 돈, 넉 돈’하는 사람도 있지만, 대부분이 ‘세 돈, 네 돈’이라고 한다. 이는 표준어 규정 제17항에 보면, ‘비슷한 발음의 몇 형태가 쓰일 경우, 그 의미에 아무런 차이가 없고 그 중 하나가 더 널리 쓰이면, 그 한 형태만을 표준어로 삼는다.’라고 하고 있다. 이에 의해 ‘네/너’ 대신에 ‘너[四]/넉[四]’을 쓴다. ‘너 돈, 너 말, 너 발, 너 푼/넉 냥, 넉 되, 넉 섬, 넉 자’가 그 예다. ‘서[三]/석[三]’도 마찬가지다. ‘세 돈/세 냥’이라고 하지 않고, ‘서 돈, 서 말, 서 발, 서 푼/석 냥, 석 되, 석 섬, 석 자’라고 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현재 표준어 규정대로 한다면 금을 세는 단위는 ‘너 돈/서 돈’만 된다. ‘네 돈’과 ‘세 돈’은 바른 표현이 아니다. 문제는 같은 단위를 나타내면서도 언제는 ‘너/서’를 쓰고, 또 언제는 ‘넉/석’을 쓰는지 궁금하다. 이와 관련해서 첫소리가 ‘ㄴ, ㄷ,
2009-03-10 17:37올해는 3월 1일에 새 학년이 시작되면서 1주일이 시작되는 일요일과 국경일인 삼일절이 겹쳐 시작이 절묘하게 맞아 떨어져서 월요일인 2일부터 새 학년이 시작되었다. 1주일이 바쁘게 지나가고 어린이 회장선거를 하는 날이다. 민주주의의 기초를 배우는 어린이회장과 부회장을 선출하는 날이라 다목적강당 입구엔 아이들이 직접 쓴 선거 벽보가 붙어 있었다. 회장에 2명 부회장에 2명이 입후보하여 단상에 올라가 소견발표를 했는데 쪽지에 원고를 써와서 읽는 모습이 대견해 보였다. 자기소개에 이어 나를 선출해 주면 어떻게 어린이회를 이끌어 가겠다는 각오를 피력하는 모습이 한편으로 순진하였고 쑥스러워하는 어린이도 있었다. 성인들과는 너무 대조적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어른으로 성장하면서 선거에서 이기려고 온갖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혼탁한 선거문화를 보면서 어린이들을 보고 배웠으면 하는 생각도 들었다. 투표하는 요령에 대한 설명을 듣고 저학년부터 투표가 시작되었다. 선관위에서 대여 받은 기표소에 들어가서 투표용지에 신성한 한 표를 행사하고 나와 투표함에 넣는 모습이 너무 진지해 보였다. 어린이회장에 입후보한 6학년 남자아이가 잠시 주저하더니 나에게 귓속말로 묻는다. “교장선생님
2009-03-10 17:36- 현장학습지로 4,5학년 282명 안면도 행 예약 - 서림초등학교(학교장 조충호)는 3월 9일(월) 교무실에서 안면도국제꽃박람회측과 4, 5학년 현장학습지를 안면도꽃박람회로 정하고 5월 14일 사용할 입장권 282매에 대한 예매를 마쳤다고 밝혔다. 꽃과 바다 그리고 꿈을 주제로 2002년 국제꽃박람회에 이어 충남 태안 안면도에서 다시 열리는 2009꽃박람회에 지역 문화에 대한 이해 제고와 지역 축제의 활성화를 위해 교육과정 운영 측면에서도 지역과 연관 단원이 많은 4, 5학년 전원 282명의 현장학습지로 안면도꽃 박람회로 정해 현장학습을 진행하기로 하였다. 연초 학교교육과정 작성 단계에서는 안면도 꽃 박람회 장소가 아닌 학년 실정에 맞는 다른 지역으로 현장학습지가 결정되어졌지만 같은 지역에서 열리는 국제 행사의 성공적인 개최와 진행을 위해 학교장과 교직원 및 학부모들의 뜻이 모아져 현장학습지로 안면도가 변경 결정되게 되었다. 이날 박람회측과 예매를 마친 서림초 조교장은 “지역에서 열리는 국제적인 축제의 참여를 통해 박람회의 성공적인 운영을 바라는 학부모 및 교직원들의 뜻을 모아 교육과정 단계에 맞는 4, 5학년 학생 전원이 꽃박람회에 참여하게 되었다”며 안
2009-03-10 11:17세상의 대부분 어려운 문제들은 이해 당사자 간에 대화와 협상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처음에는 전혀 불가능하게만 보이던 문제일지라도 흉금을 터놓고 말하다 보면 해결되지 않을 일은 없다. 대전시광역시교육청을 비롯한 전국 시․도교육청에서 지금까지 난제로 여겼던 학교용지 부담금 문제를 해결한 사례가 있어서 소개해 본다. 현재 우리나라는 도시화가 급속히 진행됨에 따라 인구가 유입되어 신도시 개발이 한창이다. 물론 현재와 같은 경기침체가 지속되어 그 속도는 조금 더디어졌다고는 하더라도 진행양상은 비슷할 것이다. 대전의 경우에도 최근 가장 큰 택지개발지구라고 할 수 있는 도안지구(서남부지구)에 23,000여 세대가 2010년 9월부터 입주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문제는 학교용지 확보를 위한 교육청과 시청, 개발사업 시행자(토지개발공사, 주택개발공사, 도시개발공사, 민간개발사업자 등) 간의 이견차이였다. 개발사업 시행자는 기존 토지를 정비하여 택지로 가공한 후 이문을 남겨 넘기는데 이를 받아 학교를 설립해야 하는 교육청 입장에서 보면 과도한 학교용지매입비가 부담이 된다. 통상 대전의 경우는 지가가 서울이나 경기도 보다는 낮다고는 하지만 약 200억 원 가량 소요
2009-03-10 11:16“巧詐不如拙誠(교사불여졸성)”이란 말이 있다. “교묘한 사람의 허위는 졸렬한 사람의 진실보다 못하다”는 뜻이다. 巧詐(교사)란 교묘한 속임수란 뜻이다. 교묘한 수단 방법으로 남을 속이는 것을 말한다. 다시 말하면 거짓을 말한다. 온갖 교묘한 재주로 남을 속이는 것을 말한다. 拙誠(졸성)은 반대의 뜻이다. 졸렬한 진실이란 뜻이다. 보잘 것 없는 정성을 말한다. 속임수나 거짓이 없는 참된 것을 말한다. 비록 어설퍼 보이지만 참된 마음을 말한다. 진실한 말과 행동을 하는 이를 말한다. 그런데 요즘 세상은 巧詐(교사)가 판을 치는 것 같다. 巧詐(교사)를 더 좋아하는 것 같다. 이래서는 안 되는데. 겉으로 드러내는 것 하고 내면적인 것이 다르면 안 되는데. 안과 겉이 같아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면 오래가지 못한다. 속임수나 거짓은 언젠가는 드러나고 만다. 이럴 때 당하는 수모는 엄청날 수밖에 없다. 낭패를 당하고 만다. 학생들에게 巧詐(교사)를 가르치면 안 된다. 巧詐(교사)를 단호히 물리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교묘한 속임수로 일시적으로 얻는 것이 있다 해도 그것은 오래가지 못한다. 차라리 拙誠(졸성)이 낫다. 졸렬해 보이지만 진실이 훨씬 낫다. 진실이 오래간다.
2009-03-10 00:31교육계 최고의연수 과정!15개 시도에서 모인 중·고등학교 교장 42명이 제96기 교육행정지도자 과정에 참가,3월 9일부터 6월 12일까지 14주 600시간연수에 들어갔다. 연수생들은 3월 9일(월) 14:00 서울대 사범대학 교육행정연수원에서 개강식을 가졌다. 서울대 김신복 부총장은 개강식 축사에서 "교장의 철학과 지도력 발휘에 따라 교육의 성패와 개인, 국가 장래가 좌우된다"며 "최고의 강사진과 토론하면서탁월한 리더십과 교육 전문가적 안목을 겸비, 정상급 지도자가 되어 학교로 복귀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이 연수 과정은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행정연수원(원장 김계현)이 주관, 학교 경영과 지역 교육을 선도할 지도성과 교육에 대한 전문적 안목을 겸비한 교육지도자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연수 일정은 출석연수 10주, 원격자율연수 2주, 국외교육연수 2주로 구성되어 있다. 교육과정은 강의 및 토론 230시간, 연구활동 200시간, 현장방문 150시간, 기타 20시간이다. 이 연수는 1961년 제1기를 시작으로작년까지 614명의 교육지도자가 배출되어 각 시도에서 교육감, 장학관, 연구관, 교장, 교육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2009-03-10 00:30학생들의 입학소감문이 의외로 신선하여 다시 하나를 소개한다. 잘 쓴 학생의 글을 뽑은 게 아니라 무작위로 뽑은 것이다. 저희들도 걱정이 앞서고 어떻게 해야 할 지 확신이 서지 않아 망설이고 숙고하고 고민하고 생각을 정리해보려는 노력이 역력한 것이다. 이런 새내기 학생들을 어떻게 지도해야 할 지 교사들 또한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나의 각오는 공부를 열심히 하고 키 크기이다. 고등학생이 되었기 때문에 공부 양이 장난이 아니다. 전체적으로 중학교보다 훨씬 오래 공부한다. 고등학교에 와서 열심히 해야겠다. 거의 하루를 고등학교에서 보낸다. 대부분의 고등학교가 야자를 한다. 자기 주도적 학습이지만 하기 싫은 학생들도 억지로 한다. 그래서 그 학생은 공부가 잘 될까 하는 의문도 가지게 된다. 이제 막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올라오는 우리들한테 밤 9시까지 야자는 조금 벅차다고 생각한다. 조금이라도 약간의 학교가 학생들에게 야자를 선택적으로 하는 배려가 있었으면 좋겠다. 안되면 고 1학년은 야자를 7시 55분까지 하고 2.3학년은 9~10시까지 자기 주도적으로 바뀌었으면 좋겠다. 그래도 나에겐 공부를 3시간 한 것 같지만 시계를 보니 3분 25초밖에 안 지나갔다.…
2009-03-10 00:30새 학교로 발령받아 근무하고 있다. 이번에 간 학교는 신설학교다. 아직 3학년이 없다. 학교 설립 초기에 학교의 좋은 전통이 세워지기를 바라며 열심히 근무할 생각이다. 엊그제 1학년 학생들에게 고등학교에 입학한 소감을 적어보라고 했다. A4용지를 배부하고 한 면을 전부 채우라고 했다. 이제 입학한지 삼사일밖에 안된 학생들이 진지하게 자기들의 고충과 기대감을 기록해나갔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고등학생이 되어 변화된 학교생활에 힘들어하고 있었다. 그럼 한 면을 다 채운 학생의 글 하나를 무작위로 뽑아 옮겨보기로 한다. 고등학교라는 것은 참 힘들다. 일단 등교시간부터가 너무 이르다. 7시 50분…… 아마도 3학년 때부터는 더 일찍 등교한다고 들었다. 잠과의 싸움이다. 야자 끝나고 나면 9시인데 그래도 학원가고 이것저것 집에서 하다보면 2시쯤 잔다. 항상 아침엔 피곤하고 더 자고 싶다. 졸려서 학교에서 집중하기도 쉽지 않다. 나는 잠이 늘 많은 편인데 잠깨기만큼 힘든 일도 없는 것 같다. 그리고 공부내용도 상당히 어려워졌다. 내가 잘 할 수 있을지 참 막막하다. 솔직히 서울에 있는 대학 들어가고 싶다. 하지만 내가 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 중학교 때는 남녀공학이었는데
2009-03-09 16:51요즘 덕성여중 김영숙 교장의 '사교육 없는 학교 만들기' 실험이 공교육 살리기 한 모델이 되고 있다. 대통령께서도 방문하여 칭찬을 아끼지 않으셨고, 주요 매스컴이 앞을 다투어 '우리나라의 미셀 리'로 우리교육 혁신사례의 좋은 본보기로 보도하고 있다. 그는 덕성여고에서 30년간 국어 담당 평교사로 재직하다가 지난해 9월덕성여중 교장으로 발탁됐다. 사립 학교재단이라서 평교사가 교감도 거치지 않고 교장이 된 것이다. 이처럼 학교의 변화와 개선을 유도하고 학교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서 학교장의 역할이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최근 들어 영국, 호주, 노르웨이 등지의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성공적인’ 학교장을 선정하여 특징을 규명하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연구자들은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주로 학생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영국의 교장 평가·양성기관인 국립학교 리더십연구소(NCSL)는 보고서에서 “우수한 교장이 만병통치약이 될 수 없지만 학생들의 성적 향상에 큰 기여를 하는 것이 사실” 이라며 “국내외 사례를 보면 우수한 교육지도자가 교육 개혁을 이끌고 있다”고 평가했다. 또한 미국에서도 유능한 교장을 빈민지역 공립학교에 파견해
2009-03-09 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