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6,887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지난해 전면 시행된 자유학기제의 질적 제고를 위해 올해 교원 연수가 확대된다. 또 내년부터는 2개 학기 이상 자유학기를 실시하는 ‘자유학년제’가 도입된다. 하지만 도농 인프라 격차, 학력저하 우려가 여전해 보완책 마련에 대한 주문이 나온다. ◆성과와 계획=교육부는 2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2017년 자유학기제 추진계획’을 보고했다. 교육부는 보고에서 “지난해 자유학기제가 전면 시행되면서 학생 1인당 평균 8회 이상 체험활동을 경험했으며 실생활 관련 주제 수업이나 독서 연계수업, 협력 및 소통에 기반한 문제해결학습, 교과융합 수업 등 학생 중심 수업과 과정중심의 평가가 시행됐다”며 “그 결과 학생, 교사, 학부모의 학교생활에 대한 행복감과 만족도가 향상됐다”고 평가했다. 또한 자유학기제 경험 학생의 국어, 영어, 수학 과목의 학업성취도가 미경험 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중학교의 학교폭력 피해응답률이 감소하는 성과가 있었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교육부가 교사, 학생, 학부모 15만 2440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학생의 학교생활 행복감운 5점 만점에 3.69에서 4.10으로, 교사의 역량강화 정도는 3.99에서 4.18로 각각 높아졌으며 학부모의 학교 만족도도 3.90에서 3.94로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또 한국교육개발원(KEDI)의 종단분석 결과, 자유학기제 미경험학생 대비 경험학생의 주지교과 점수는 국어 213.3점/214.4점, 영어 222.4점/223.2점, 수학 213.4점/214.8점으로 나타났다. 교육부는 이 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올해 전체 중학교에서 약 45만명의 학생이 자유학기제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기존 중학교 1학년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했던 교원연수를 중학교 전체 교원으로 확대한다. 또 교원의 자발적인 수업연구와 역량개발을 위해 전국 700여개 중학교 교사 연구회를 지원하고 자유학기활동 평가 매뉴얼과 주제선택활동 자료집 등 관련 교육자료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밖에 자유학기-일반학기 연계 운영학교를 80개교에서 406개교로 늘리고, 2018년부터 희망 학교에 자유학년제 도입이 가능하도록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개정 작업을 병행하기로 했다. ◆과제와 해법=그러나 학교 현장에서는 자유학기제 시범운영과 전면시행 1년 실시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들이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한다. 그 대표적인 사항이 인프라 부족과 도농격차다. 학교와 기업, 지자체 간의 다각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자유학기제의 취지에 맞는 소규모 체험활동 공간이 부족한데다 프로그램 수도 부족해 학생들이 제비뽑기를 하거나 가위바위보 등으로 우선순위를 정하고 있다는 것이 학교 현장의 설명이다. 이러다 보니 학생이 원하지 않는 직업체험 프로그램을 듣게 된다는 것이다. 서울 송파구의 한 중학생은 “자유학기제 프로그램을 만들 때부터 학생들이 무엇을 원하는지에 대한 조사가 제대로 되지 않았다”며 “체험하고 싶은 프로그램이 없다고 말하는 학생들이 많다”고 밝혔다. 지방의 상황은 더 열악하다. 농어촌지역의 경우 인프라가 부족해 다양한 직업을 체험하기 어려운데다 프로그램 참가를 위해서는 장거리 이동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강원도교육청 관계자는 “도내 학교 특성상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어려워 지역 문화 견학이나 부모님 직업체험 등으로 특화해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 학기 동안 지필고사가 없다는 점에서 학생의 학력저하를 방지할 해법 마련도 과제다. 이에 대해 교육부는 서울대와 카이스트(KAIST) 등 유수 대학 13곳의 진로캠프를 확대해 참여학생 수를 지난해 2060명에서 3500명으로 늘릴 계획이다. 또 원격영상 진로멘토링과 ‘찾아가는 진로체험버스’ 지원 대상도 농산어촌과 중소도시 소재 학교 1500개교로 확대할 방침이다. 또 학력저하에 대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고교 교육력 강화 예산을 지난해보다 194억원 늘린 709억원을 편성했다. 교육부 관계자는“2018년 자유학기제를 경험한 학생들이 고교에 진학하고 2015 교육과정이 적용됨에 따라 올해부터 고교 교육력 제고에 예산을 확대했다”며 “각 시도교육청이 지역 여건에 맞게 사업계획을 마련하면 교육부가 지원하게 된다”고 밝혔다.
"초등교사로 근무할 때부터 아이들 인성·진로에 관심이 많아 관련 연구를 많이 했습니다. 퇴임 후에도 지역 아이들의 꿈과 끼를 위해 도울 수 있다니 이보다 더 보람일 수 없네요." 이춘혜(65·사진) 서울 강서진로직업체험지원센터장은 ‘아이들 중심’이란 단어를 늘 입에 달고 산다. 초등교사 때부터 가슴에 품어오던 신념을 퇴임 후에도 이어가고 있는 것이다. 이 센터장은 지난 2013년 2월 서울송화초 교장으로 은퇴한 후 그해 8월부터 센터를 맡아 교육노하우를 더 폭넓게 전하고 있다. 재직시절 도덕 교과 전문가로서 교과서 집필 및 심의 위원, 시교육청 인성담당 장학관, 강서교육지원청 학무국장 등을 지내며 쌓은 풍부한 식견과 능력을 발휘해 센터를 일약 전국에서 손꼽히는 곳으로 끌어올렸다. 2015년, 2016년 연속으로 중학교 자유학기제 운영 활성화에 기여한 공을 인정받아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표창을 받았다. 지난해만도 충청, 전라, 경상, 제주 등 각 지역 교육청 관계자와 교사들이 다녀가는 등 매년 전국에서 센터를 방문해 노하우를 벤치마킹하고 있다. 이는 이 센터장이 현장과의 소통을 무엇보다 중시한 결과다. 관내 학교장·진로진학상담부장 등을 수시로 만나 무엇이 필요한지, 무엇이 문제점인지 꼼꼼히 파악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매월 초·중·고 진로진학상담교사 협의회를 통해 학생, 학교가 요구하는 프로그램을 함께 고민하고 기획한다. 그는 "우리는 학교의견을 먼저 듣고 회의를 거쳐 현장에 필요한 사업을 하고 있다"며 "답은 늘 현장에 있다"고 말했다. 이를 바탕으로 맞춤형 찾아가는 자유학기제 프로그램, 토요 상설프로그램 등을 운영하고 관내 중·고 진로진학상담교사를 주축으로 두레상담교사단을 꾸려 센터에서 상시 상담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센터는 학생들이 언제든 찾아와 진로독서나 진로보드게임 등 진로탐색 활동을 하도록 상시 개방하고 있다. 매년 가을에는 관내 자유학기제 중학생을 대상으로 지역 진로축제 ‘드림잡 페스티벌’을 개최하고 있다. 지난해 10월에 개최한 페스티벌에는 4000여 명이 참여했고 지역 내 150여 개 기관과 500여명의 재능기부자, 100여명의 자원봉사자가 나섰다. 이 센터장은 아무리 힘들어도 ‘아이들 중심’ 원칙을 지키려 노력한다. 어떤 프로그램에 신청인원이 초과하면 ‘마감됐으니 안 된다’는 답변 대신 모두 수용하는 식이다. 학교가 체험처를 방문하기 힘들다면 찾아가는 서비스도 마다하지 않는다. 이 센터장은 "내 사전에 ‘노(NO)’는 있을 수 없다"면서 "여건상 검토할 시간이 필요하면 연장할 순 있어도 아이들에게 주는 걸 멈춰선 안 된다"고 단호하게 말했다. 이어 "교사 시절 아이들을 위해 교단에 섰는데 내가 힘들다고 불평하면 안 된다고 스스로 채찍질했다"고 귀띔했다. 사실 현직 교사 때도 아이들 중심에 서서 맞춤형 교육을 해온 것으로 정평이 난 그다. ‘꿈과 끼’를 누구보다 먼저 주창하며 산파역할을 했다. 서울강신초 교장 시절에는 사교육을 받기 힘들 정도로 형편이 어려운 아이들이 많은 것을 파악하고 다양한 영어프로그램을 운영해 아이들의 자존감을 세웠고, 서울송화초에서도 매년 아이들이 자신의 자기주도학습 결과를 전하는 발표회를 가져 호평을 받았다. 이 센터장은 계속해서 현장, 아이들을 중심으로 관내 모든 에너지를 교육에너지로 전환시키겠다는 계획이다. 중학교에서 초등교, 고교까지 확대되고 있는 자유학기제와 관련한 다양한 체험처를 발굴하고 프로그램도 늘려갈 예정이다. 21일에는 서울시립화곡청소년수련관과 협약을 맺어 항공·우주전시회, 클라이밍 등 체험의 길을 열었다. 그는 "자유학기제 체험처는 교과서이자 학습 자료"라며 "아이들이 보다 다양하고 생생한 체험을 할 수 있도록 밀알이 되겠다"고 말했다.
재작년부터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 직무연수가 도입돼 동료교사들을 중심으로 수업개선에 대한 공동연구와 공동실천 노력이 학교문화를 바꾸고 있다. 교사들의 실천 의지를 담아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운영하며 형식적인 동료장학을 지양하고 ‘수업친구 맺기’ 운동을 전개하고 있는 Y중학교는 그런 사례 중 하나다. Y중은 학기 초, 전문적 학습공동체 첫 번째 연수를 한다. 본격적인 동료장학 전이라 앞으로 참관할 수업을 어떻게 보고, 어떻게 나누면 좋을지에 대해 안내한다. 선생님들은 모둠으로 앉아 15분 분량의 수업동영상을 본 후 수업자에게 수업장면 중 의미 있는 지점을 얘기해주고 궁금한 점을 물어보며 수업에 대한 피드백을 해주는 실습을 해본다. 물론 수업자의 소감을 통해 수업 의도나 수업을 준비하며 힘들었던 과정도 들어볼 수 있는 자리다. 수업자의 시선으로 수업을 바라본다는 게 쉬운 일은 아니지만 어렵게 마련된 참관 기회를 수업성장의 디딤돌로 삼으려면 수업보기의 안목과 수업친구로서의 마음가짐이 필요하다. 교사가 30명 정도인 Y중은 4월에 동료장학을 시작하면 보통 6월 중순쯤 끝을 낸다. 전문적 학습공동체 연수 때 지금까지 진행된 동료장학을 되돌아보는 시간을 가지며 경험을 나눈다. 수업동영상 촬영이 꼭 필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특히 교실 앞쪽에서 촬영한 동영상은 수업 속 학생들의 역동성을 한눈에 볼 수 있어 의미 있다. 수업동영상을 보다보면 캡처해서 다시보고 싶은 장면들이 많이 나온다. 함께 공유해볼 만한 장면을 PPT에 담아서 전문적 학습공동체 연수 때 선생님들과 나누다 보면 서로 배울 게 참 많다. 예를 들어 1학년 영어수업을 보면 학생들이 교탁 위의 작은 쓰레기통에 뭔가를 던지는 모습이 나온다. 동 교과 선생님들과 달리 수업을 참관하지 않은 교과 선생님들은 이 모습에 의아해했다. 그 선생님은 이면지에 영어로 자기 별명을 쓰게 한 후 자기가 좋아하는 것과 싫어하는 것을 영어로 적게 하고, 미리 준비한 깨끗한 쓰레기통에 그 종이를 공처럼 뭉쳐 골인시키라고 했다. 쓰레기통 내용물을 추첨해서 실물 화상기에 비추면 학생의 이름 대신 영어로 된 별명이 나오는데, 그 별명을 가진 친구가 누구인지 알아맞히는 게임이다. 선생님의 미션을 수행하기 위해 학생들은 사전을 찾아보고 친구에게 묻느라 바쁘다. 골인시키기 위해 슛 동작을 하다 보니 졸음도 달아난다. 2학년 기술 수업 장면 중에는 모둠원과 힘을 합쳐 기계 조립에 열중하고 있는 한 학생이 눈에 띈다. 담임 선생님과 몇몇 교과 선생님은 잘 알지만 그 학생을 모르는 선생님도 있었다. 작년까지만 해도 자폐 성향이 커서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하고 소통에 어려움을 겪던 도움반 학생이다. 학년이 올라가고 학교생활에 점차 적응하면서 긍정적으로 변화된 모습을 지켜보며 1학년 때 그 학생을 가르쳤던 선생님들은 가슴이 찡한 표정이었다. 연배가 조금 있는 수학선생님의 수업장면도 인상적이었다. 선생님은 수업 시작 때 흥미유발이 어렵다는 고민을 수업친구에게 털어놓았고, 학습목표를 초성퀴즈로 내며 시작해보자는 제안을 받았다. 동영상을 돌려보니 선생님은 ‘인수분해 문제를 풀 수 있다’를 초성퀴즈로 유도하기 위한 연습문제로 ‘ㄷㅇㅅㅇㅇㄹㄷㄷ’를 화면에 띄우며 수업을 시작했다. 사실 선생님은 “담임샘은 아름답다”라는 답을 기대했는데 학생들로부터 돌아온 답은 “담임샘은 오래됐다”였다. 얼굴이 빨개진 선생님과 예측불허 학생들의 기발한 상상력에 교실은 웃음바다가 됐고 수업은 신나게 시작됐다. 동료장학 되돌아보기에서 관심이 모아진 비주얼씽킹, 토론, 협동학습 등의 수업을 진행했던 선생님들은 다음 연수 때 주제별 분과의 강사로 나서 수업설계와 수업진행의 꿀팁을 소개했다.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결실은 무엇보다 수업에 관심을 가진 동료선생님들끼리 수업친구를 맺고 자발적인 수업공개와 수업나눔에 동참하게 됐다는 것이다. 수업전문가는 아니지만 학교사정과 학생실태를 잘 알고 있으니 수업친구와는 더 구체적으로, 더 집중해서 수업대화를 나눌 수 있다. 수업친구와 수업을 나눈다는 것은 내 수업을 거울로 비춰보는 작업이다. 수업친구는 내 수업의 민낯을 있는 그대로 봐줄 수 있는 안전지대이며, 제일 가까이서 나의 수업고민을 깊이 공감해주고 성찰하게 해주며 함께 성장해가는 수업코치다.
당연할거라 생각했지만 긴장했고, 결과에 묘한 안도감이 흘렀다. 21일 세종대학교, 세종사이버대와 국제통번역협회가 공동 주최한 ‘인간 대 인공지능의 번역대결’에서 번역사 4명과 인공지능 번역기 3개가 같은 과제를 번역한 결과 30점 만점에 번역사는 평균 24.5점, 인공지능 번역은 평균 10점을 기록했다. 최근 기계번역은 문장 전체 맥락을 고려해 번역하는 인공신경망번역기술(NMT)이 상용화 됐지만 ▲오역 및 누락여부 ▲심층적 의미 파악 여부 ▲어법에 맞는 표현 ▲어휘선택과 표현의 적절성 ▲내용의 논리성 ▲전후맥락 고려여부 등을 종합한 결과는 아직 미진한 단계라는 분석이다. 지난해 바둑에서 인공지능 ‘알파고’가 이세돌 9단을 누른 이후 관심이 높았지만 승패는 다소 싱겁게 갈렸다. 바둑과 달리 승패를 가리기 어려운 대결이었다는 점에서 결과보다는 인공지능 활용 범위를 확인해보는 자리였다는 평가가 나왔다. 대결은 문학과 비문학 분야로 나누어 진행됐으며, 영어를 국어로, 국어를 영어로 번역하는 4개 지문이 각각 주어졌다. 인간 대표는 한국외대 통번역대학원 출신 전문번역사 4명이 출전했고 번역에 50분의 시간이 배정됐다. 인터넷검색도 허용했다. 인공지능은 구글, 네이버파파고, 시스트란 등 3개사 번역기가 나왔다. 결과와 관련해 심사위원장을 맡은 곽중철 한국외대 교수는 “인공지능은 80~90%의 문장이 어법에 맞지 않고 고유명사와 일반명사도 잘 구분하지 못했다”며 “어순을 재구성하지 않고 단어를 순서대로 나열하는 경향이 있었다”고 밝혔다. 허명수 한동대 교수(한국번역학회장)도 “통번역의 경우 글에 담긴 감정이나 문학적인 요소 등이 고려돼야 하는데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며 “기계가 글에 실린 사람의 마음까지 알아내기에는 아직 역부족인 것 같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비문학 분야의 기사 글 일부는 완벽하게 번역해내는 등 일정한 패턴을 갖는 문장에서는 발전가능성을 보였다는 평가도 나왔다. 김대균 세종사이버대 교수는 “기계 번역이 토익 정도의 문장은 완벽하게 번역할 수 있다”며 “문학 외 업무분야에서는 활용도가 높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유석 시트스란 상무는 “NMT 기반 번역기는 현재 초등학생보다 조금 높은 수준에 있지만 시간이 갈수록 데이터가 축적되면 원숙한 수준의 번역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한다”며 “고도화 절차를 거치고 정제화나 클렌징 작업을 포함시키면 NMT 방식의 번역이 생각보다 이른 시일 내에 상용화 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일각에서는 최근 활용도를 높여가고 있는 NMT 방식이 적용되지 않은 점이나 인공지능이 유리한 번역 시간 평가가 반영되지 않은 점 등을 이번 대결의 한계로 지적했다. 실제로 네이버파파고나 구글은 지난해부터 200자 이내의 문장에 대해 NMT방식의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이번에 출제된 문제는 영한번역 220단어, 한영번역 705자 내외로 구성돼 완벽한 인공지능 방식이 아니라 일반 번역기 수준의 프로그램이 적용됐다.
최근 학교에 ‘영유아보육법 일부개정법률안’에 대한 의견검토 공문이 왔다. 개정안은 수요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국공립 어린이집을 초등교 유휴교실을 활용해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골자다. 보육과 교육의 어려움 등으로 인한 저출산이 국가적 현안으로 떠오른 상황에서 학교현장의 유휴교실을 활용해서라도 문제를 해결하려는 고육지책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초등교의 유휴교실을 영유아보육시설 확충에 변용하는 것은 재고해야 한다. 이를 논하기에 앞서 선결해야 할 과제들이 초등 현장에 산적해 있기 때문이다. 과밀학급 해소, 특별교실 확보 등 시급 먼저 초등교 유휴교실은 유아보육시설 확충 이전에 초등교육의 본래 목적에 맞게 사용돼야 하며 초등교육의 본질적 질 제고를 위해 활용돼야 한다. 이와 관련해 초등 유휴교실은 무엇보다 학급당 학생 수를 줄여 과밀학급을 해소하는데 쓰여야 한다. 서울시교육청의 2017학년도 1학급 편성기준 인원은 26명으로 이는 2014년 OECD 평균 21.3명보다 매우 높은 실정이다. 개별화, 맞춤형 교육을 위해서는 학급편성 기준인원을 낮춰야 한다. 초등 수업의 특성과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특별교실부터 확충해야 한다. 학생자치실, 음악실, 영어실, 미술실, 체조실 등은 차치하고 과학실, 실과실습실, 컴퓨터실, 상담실과 같은 필수적 시설마저도 지침이나 규정에 맞게 확보하지 못한 학교가 대다수다. 설사 유휴교실이 있어도 예산이 없어 꼭 필요한 시설을 마련하지 못하는 학교도 적지 않은 게 현실이다. 따라서 초등 유휴교실은 수업 특성에 맞게 설비된 특별교실 확충에 먼저 활용돼야 한다. 또한 현재 초등교에서는 방과후 교육과 돌봄에 필요한 교실을 기존 교실과 겸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정규수업과 방과후 수업 등 모두의 질 관리에 저해요소가 되고 있다. 이 점에서 유휴교실은 영유아보육시설에 앞서 방과후 수업 등을 위한 공간이어야 한다. 이 뿐만이 아니다. 현재 학교는 학생 교육시설부터 확보하느라 교직원과 비정규직원(교육공무직원)의 편의시설(남여탈의실, 휴게실, 복지시설 등)에 대해 최소한의 요구조차 못하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선결과제들을 생각하면 사실상 초등교 유휴교실은 온전한 의미의 유휴교실과는 거리가 멀다. 어린이집은 별도 공간에 설치해야 한 가지 더 덧붙이자면 이미 학교는 정치권이나 상부 기관에 의해 떠맡겨진 역할만으로도 포화상태다. 방과후 학교, 돌봄교실 제도가 도입․시행된데 이어 최근에는 시민들의 체육공간으로도 개방해야 할 책무가 부과됐다. 이로 인해 정작 더 시급하고 필요한 시설과 공간을 확보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고, 이에 종사하는 담당인력의 배치와 관리 등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들로 초등 본연의 교육활동에 상당한 지장을 초래하는 사례가 빈번해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또 다른 역할을 부여하고 공간의 할당을 요구하는 것은 초등교육의 본질을 도외시하거나 폄하하는 사고에서 기인한 것은 아닌지 오해를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 초등교육과 영유아 교육 양자 본연의 목적과 질 관리를 위해 어린이집은 별도의 계획에 의해 별도의 공간에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생 후 첫 18개월 동안을 제외하고 가장 많은 변화를 경험하는 시기.’ 중학교 진학을 앞둔 6학년 졸업생을 두고 하는 말이다. 초등학교 교사들이 졸업한 제자들에게 가장 빈번하게 듣는 하소연 역시 "중학교가 너무 달라 힘들어요"라는 것이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하 평가원)은 이런 현장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이달 초 발간한 연구·정책브리프 ‘통’ 4호에서 ‘초·중학교 전환기 학생 어떻게 도와야 하나?’를 다뤘다. ‘통’은 평가원이 현장 교원, 부처 등과 소통하기 위해 지난해 9월부터 발간하는 비정기 간행물로 홈페이지(kice.re.kr) 자료실 내 ‘정기간행물’에서 내려 받을 수 있다. 이번 호에서 평가원은 학생·교사 학부모 설문을 통해 전환기 학생이 왜 어려움을 겪고, 교사와 학부모가 왜 지원하기 어려운지 근거를 밝히면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도법 및 정책제안 등을 제시했다. 이는 지난 2014년 평가원이 내놓은 ‘초·중학교 교수학습 연계 지원 방안 탐색’, ‘초·중학교 교수학습 연계 지원 전략 개발’ 연구를 토대로 도출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일단 초등교에서 중학교로 넘어가는 311명을 따라가며 시기별로 5점 리커트 척도 응답 방식으로 점검한 결과 ‘영어·수학 교과태도’에서 6학년 겨울방학 직후 0.5점 정도가 하락했고 ‘학교행복감’도 비슷한 하락폭을 보였다. 그 원인을 알기 위해 초등학교 6학년 584명, 중학교 1학년 264명에게 고민을 들어보니 ‘학업과 평가에 대한 고민’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상황에서 초·중학교 교사는 교류가 거의 없어 변화의 폭을 쉽게 줄이지 못하고 있고, 학부모들 역시 어떻게 도와야 할지 모르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평가원은 사각지대에 놓인 전환기 학생을 교육해 안정감을 줄 필요성을 언급하고, 이에 도움이 될 ‘중학교 생활 및 학습 지원 자료’를 함께 공개했다. 교사용 지도 자료도 평가원 홈페이지에서 내려 받을 수 있다.
앞으로 일선 초·중·고교는 자유학기제 운영과 장애인 편의시설 현황을 별도로 분리해 공시해야 한다.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교육관련기관의 정보공개에 관한 특례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이 지난달 24일 국무회의를 통과했다. 이번 시행령 개정으로 각 학교는 ‘자유학기제 운영에 관한 사항’을 기존의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 및 평가에 관한 사항’에서 분리해 공시해야 한다. 공시 시기는 매년 4, 9월로 연 2회 공시지만 학교별 자유학기제 운영 일정(1학기 또는 2학기)에 따라 학교는 연1회 정보 입력만 하면 된다. 또 ‘장애인 편의 시설 현황’도 기존 ‘각종 지원시설 현황’에서 분리해 공개해야 한다. 연 1회, 5월에 공시하면 된다. 아울러 그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 응시대상에서 제외됐던 산업수요 맞춤형고 및 특성화고(일반고 직업과정 포함) 학생의 직업기초능력평가 응시현황 및 결과도 공시해야 한다. 공시 대상은 의사소통(국어, 영어), 수리활용 3개 영역의 5등급 중 2개 등급(기초이상, 준비)이다. 학교현장의 준비기간을 고려해 2018년 4월부터 공시하도록 할 예정이다. 학교 교육활동 일정 등을 고려해 일부 공시항목은 시기가 조정된다. 수업공개 계획은 4월에서 4, 9월로, 교과별 학업성취 사항은 2, 9월에서 4, 9월로 변경된다. 학교시설 개방, 급식 실시 현황, 방과후 학교 현황은 4월에서 5월로 공시시기를 조정했다.
외국어 교육 이대로 좋은가? 초등학교에서부터 시작되는 외국어 수업이 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독해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는지, 회화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는지 구별하기 어렵다. 초등학교 학생들이 영어 회화를 배운다고 학원에 다니다가 중학교에 입학하면서 회화 중심의 수업은 어느 새 사라지고 만다. 왜 이런 현상이 일어날까? 엄연히 중학교 영어 교과서를 보아도 회화를 하기에 필요한 정도의 어휘, 말하기, 듣기, 문법 등의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이러한 의심을 확인해보고자 학원가에서 영어를 어떻게 가르치고 있는지, 이 학원 저 학원을 방문하곤 했다. 학원마다 회화 중심으로 가르치는 학원은 찾기 어려웠다. 어학원으로 허가를 받은 곳도 회화 중심으로 가르치기보다는 원생들이 학교 시험에서 점수를 더 받기를 원하는 쪽을 선택하다 보니 독해와 문법 중심이 수업의 기본 틀이었다. 중학교 1·2학년에서는 과목마다 90점을 넘으면 A등급을 받고, 3학년이 되면 영어는 상대평가로 등급을 받게 된다. 그렇지만 등급 간의 차이도 미미한 상태라 낮은 등급을 받았다 하더라도 영어를 못하는 것이 아니다. 하지만 이들이 영어 회화에서 A등급을 받을 수 있을 정도인가에 늘 의심을 하곤 했다. 글로벌화 되어가는 현 시점에서도 영어 회화는 아직도 대학생이 취업을 하기 위해서 배우는 과목으로 보편화 되어 있는 것이 엄연한 현실인 것같다. 공교육 기관에서 영어 수업을 회화 중심으로 진행하면서 평가도 회화나 듣기로 한다면 과연 중학교 과정을 마치면 외국인과 대화에서 어려움을 겪을까? 우리의 영어 수업은 너무 대학을 위한 전초전인 느낌을 초등학교 때부터 받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심스럽기만 하다. 2018학년도에 고등학교 1학년이 되는 학생은 대학수학능력 평가에서 영어 과목이 절대평가로 바뀌어 90점 이상이면 1등급을 받는다고 한다. 현재 대학수학능력 시험에서도 영어 독해와 듣기 영역에서 거의 만점을 받는 학생들의 수가 절대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우리의 영어 교육! 정말 칭찬할 만하다. 그런데 정작 영어의 꽃이라고 할 수 있는 회화 영역에서는 절대 우수가 되지 못하는 영어 교육의 맹점을 이제는 바로잡아 가야 할 때가 아닌지 생각해 본다. 중학교 과정에서 영어 수업은 회화 중심으로 전개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야 한다. 마치 영어 회화는 사교육을 통해 배워야 하는 것처럼 인식되어 있는 현실이 안타깝기만 하다. 우수한 교사를 선발해 놓고 정작 영어 수업은, 영어 평가는, 시대의 조류에 맞지 않는 방향으로 흐르고 있는 것은 아닌지. 중학교 과정에서 영어 회화가 잘 이루어지면 고등학교 단계에서 영어 듣기 수준도 한층 강화될 수 있다. 이를 바로 잡아가기 위해서는 중학교 단계에서 수행평가를 영어 회화 중심으로 100% 돼야 하고, 제 1회 고사나 제 2회 고사를 치룰 때 영어 회화 출제를 50% 이상 하도록 하는 방안이 마련돼야 한다. 동시에 영어 교사 선발에서도 영어로 수업이 가능한 교사임을 조건으로 제시해야 하고, 지역마다 존재하는 영어마을이 영어를 공급하는 보편적인 측면보다 상업적 이익을 추구하는 측면이 더 높다는 것도 개선되어야 할 요소다. 현재 전국 15개 시도교육청에서는 영어 듣기 평가도 정기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듣기를 회화로 연결시키는 소통의 학습이 되지 못하는 것은 누구의 책임으로 돌려야 하나?
포털사이트가 무료로 제공하는 ‘가상교실’을 이용해 영어수업을 진행한 전상윤 경남 김해대청고(교장 정용옥) 교사가 제30회 한국중등영어교육연구회(KOESTA) 학술포럼 우수 수업사례 발표 경연대회에서 1위를 차지했다. 지난달 23~24일 충남 예산에서 개최된 경연대회에서 전 교사는 지난해 2학기 ‘구글 클래스룸(Google Classroom)’을 영어수업에 접목한 사례를 발표한 결과, 사례의 일반화 가능성이 높고 교실수업 개선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평가와 함께 최고점수를 받았다. 전 교사가 활용한 ‘구글 클래스룸’은 교사와 학생 간 원활한 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만든 가상교실로, 교사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수업자료를 만들어 배포한 뒤 채점까지의 과정을 손쉽게 해결할 수 있다. 특히 비영리 교육단체는 무료로 사용 가능하고 담당교사에게는 무제한 클라우드 저장 공간을 제공한다. 전 교사는 영어학습의 핵심요소인 네 가지 기술(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을 향상시키기 위해 언제든지 영문자료, 영상 등을 올려놓으면 학생들이 활용해 예습을 할 수 있고, 궁금한 점을 물어보면 바로 답할 수 있는 웹 기반 도구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던 차에 구글 클래스룸을 접하게 됐다. 이어 우리나라 고교 영어교실에서 얼마나 잘 적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양한 활동들을 구상해 지난해 2학기 수업에 적용했다. 어휘학습용 문서, 유튜브 동영상, 인터넷 뉴스 등을 올려놓으면 학생이 확인한 후 댓글을 남길 수 있고 교사는 이를 확인하고 피드백을 준다. 수업 전 관련 영상을 미리 제공해 수업참여를 유도하고, 수업에서 자연스럽게 교과서와 영상내용을 연결하면 학습 효과는 높아진다. 또한 수업 중 필요한 자료를 따로 저장해 수업 이후에도 학생들이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그는 “특별히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누구나 쉽게 이용 가능하다”면서 “모두 ‘구글앱스’가 제공하는 서비스라 호환이 잘 맞는 것도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이전에는 발표내용을 USB메모리에 담아오게 해 노트북에 연결해서 발표시키기도 했는데 파일 버전이 맞지 않아 구현할 수 없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했다. 또 이 경우 학생들은 특수효과를 써서 지나치게 화려한 자료 작성에만 치중, 교사가 의도했던 목표와 맞지 않게 해오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런 일도 상당히 줄일 수 있게 됐다. 무엇보다 영작은 물론, 한 문서를 함께 만들 수 있어 영어 대본쓰기, 북 커버 만들기 등 협력과제도 가능하고 퀴즈, 발음교정, 학생이 본문 한 페이지를 정해 분석하고 발표하는 등 수업주체가 돼 재미있는 수업을 하기에도 탁월하다. 다만 교실 밖에서도 소통할 수 있는 자유로움은 장점이자 단점이 될 수 있다. 책임감을 갖고 수업자료를 미리 올려야 하는 일이나, 학생들의 댓글에 가능한 빨리 답해줘야 하는 일은 번거로울 수 있다. 또 학생들의 참여 여부는 강제하기가 어려워 모든 학생들을 구글 클래스룸으로 이끌어내는데 현실적 한계가 따른다. 전 교사는 “학생들의 학습태도나 적극성, 성취도 등이 자료로 남기 때문에 수행평가로 활용할 수도 있겠지만 재미있는 수업을 위해 만들었는데 학생을 강제하는 건 곤란하다는 생각도 든다”며 “종이 없는 교실 구현도 가능하지만 종이교재는 어느 정도 필요하다는 입장도 있고, 같은 학년의 다른 반이 이 혜택을 못 받는다면 불만이 나올 수 있어 같은 과목 교사들끼리 소통도 필요한 점 등은 앞으로 개선할 사항”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같은 결과는 정용옥 교장선생님, 윤혜경 교감선생님께서 평교사들의 자유로운 연구를 장려한 덕분에 가능했던 것”이라면서 “인천, 대전시 등 일부 교육청은 구글을 차단해 이를 이용할 수 없다는데 스마트 교실을 위해 교육당국도 이런 작은 부분부터 신경써줬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과거 산업혁명, 기존 분배구조 강화 기여 사회가 바뀌고 있다. 사회의 근본적 구조 즉, ‘생산-분배’ 구조 그 자체가 변혁되고 있다고는 할 수 없지만, 생산 영역에서의 중요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1780년대에는 석탄이라는 새로운 에너지 발견으로 증기기관과 철도가 생활 속으로 도입되었고, 폭발적인 생산체제의 변화가 일어났다. 우리는 이것을 (1차) 산업혁명이라고 한다. 생산 영역에서의 엄청난 변화는 봉건사회를 완전히 종식시키고 예전과는 전혀 다른 새로운 계급을 출현시켰다. 생산구조의 변화가 분배구조의 변화를 가져온 것이다. 100여 년이 지난 후 1900년대 초반에는 전기라는 새로운 에너지가 발명되었다. 그리고 석유와 핵이라고 하는 에너지가 산업에 적용되면서 새로운 산업 형태, 예를 들면 대량생산체제가 확립되었고, 자본주의 사회의 황금기를 이루었다. 그러나 이런 변화가 새로운 분배구조를 만들어내는 데 기여하지는 않았다. 오히려 기존의 분배구조를 강화하는 데 더 크게 기여했을 뿐이다. 요즘 우리 모두 이야기하고 있는 ‘양극화 현상’은 새로운 생산체제가 기존의 분배구조를 강화하는 데서 비롯된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는 1970년대에도 일어났다. 컴퓨터와 인터넷의 발견으로 대변되는 디지털 문명이 그것이다. 이 변화는 새로운 에너지 체계가 새로운 생산체계를 유도해낸 지금까지의 사회 변화와는 구조적으로 다른 변화이다. 컴퓨터가 결합된 디자인(CAD)과 공작(CAM)으로 인한 획기적인 정밀도의 향상, 컴퓨터가 주도하는 경영 환경(회계나 경영정보)의 변화, 컴퓨터에 의한 공장자동화 등을 상상해보라. 뿐만 아니라 우리가 지금 보고 있는 인터넷과 같은 디지털 정보 통신에 의한 공간과 시간의 장벽이 허물어지는 현실도 마찬가지이다. 이런 변화는 사물인터넷(IoT), 증강현실(AR) 그리고 인공지능(AI)의 출현을 사전에 예고하고 있었다. 우리는 이런 생산 영역에서의 변화를 4차 산업혁명이라고 부르고 있다. 이 생산 영역의 변화가 새로운 분배구조의 변화를 야기할지 아니면 지금까지의 분배구조를 더욱 강화할지는 아직 알 수 없다. 주목할 것은 지금 우리가 4차 산업혁명이라고 부르는 엄청난 변화는 과거와 같이 새로운 에너지를 발견하거나 새로운 소재를 발명하여 생산의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아니라 인터넷을 이용하여 엄청난 양의 정보를 엮어내고 조작함으로써 생산 영역의 변화를 만들어내고 있다는 점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투입’된 생산요소보다 더 많은 ‘산출’을 달성하게 되었다. 경제학에서는 이것을 ‘수확체증의 법칙(Increasing Returns of Scale)’이라고 한다. 이처럼 디지털 문명은 흩어져 있던 생산요소를 ‘집적(agglomeration)’시키고 ‘네트워크화(networking)’함으로써 생산의 혁명을 이루어낸 것이다. [PART VIEW] 4차 산업혁명, 정보 편집 통해 변화 창출 만약 미국의 자동차 생산체제를 획기적으로 변혁시킨 H. 포드가 죽은 지 70년 만에 다시 태어나서 그가 다니던 초등학교 교실에 가 봤다면 어땠을까? 아마도 그는 “우리가 다닐 때와 꼭 같군!”이란 말을 했을지 모른다. 우스갯소리 같지만 세상은 다 변했는데 교실(혹은 교육)만은 변하지 않았다는 지적이다. 이 일화를 우리의 교육현장에 맞추어 다시 풀어보면, 우선 아이들의 육체적 발육과 지적 발달은 상당히 성숙되어 있는데 다 큰 아이들이 아직도 초등학교에 머물고 있다는 점, 주입식 교육과 서열화 교육이 여전하다는 점, 초·중·고등학교를 다 마쳤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자신의 인생설계를 하지 못하고 방황하고 있다는 점 등이 아닐까 생각한다. 디지털 문명을 접하고 있는 청소년층에 대한 교육체계는 디지털 문명과 높은 호환성을 갖출 수 있도록 재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디지털 문명은 순환 주기가 매우 짧다. 사회적 트렌드나 패션 그리고 지식조차도 매우 휘발적이다. 네트워크를 통해 각자의 생각을 집적시켜 해답을 찾고 또 다른 문제를 찾아 떠난다(크라우딩 솔루션이나 크라우드 펀딩을 생각해보라. 디지털족은 필요에 따라 쉽게 가상공간에서 모여서 문제를 해결하고 곧 흩어진다). 디지털 문명은 공간과 연령의 장벽을 허용하지 않는다. 수평적이라는 개념은 디지털 세계에서 가장 현실적이다. 그래서 디지털 문명은 유목민 문명과 호환성이 높다고 하는지도 모른다. 미래 위한 '학제·교육과정 개편' 논의 이런 점에서 21세기 한국 상황에 맞는 학제 개편과 교육과정 개편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초등학교 입학 연령을 1년 정도 당기는 것은 지금 상황으로 볼 때 적절하다고 생각된다. 중학교와 고등학교는 3년 편제를 유지해도 무방하겠지만, 초등학교는 5년제로도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이런 학제 개편은 교육과정 개편과 반드시 결합되어 논의되어야 한다. 주입식 서열화 교육을 극복하지 않는 한 우리나라의 창의적 교육은 불가능하다. 서열화 교육은 동일한 교육내용을 반복적으로 훈련시켜 순위를 앞당기는 데 기여할 뿐 토론을 통한 새로운 발상의 가능성을 잠식한다. 나아가 서열화 교육은 젊은이들의 사고 속에 사회적 서열화를 조성함으로써 디지털 문명과는 상반되는 역기능을 낳기도 한다. 이런 점에서 중등교육에서 학년제 벽을 해소하는 것도 디지털 문명과의 호환성을 높이는 방안의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자유학기제를 보편화하는 것도 매우 현실적이고 유용하며, 학제 개편을 통해서 생긴 2년 중 1년을 자유학기제로 운용하는 방안을 심도 있게 모색하는 것도 의미 있는 방안 중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대학입시의 서열화가 해결되지 않는 한 이 모든 노력도 서열화의 블랙홀로 빨려 들어갈 것이 분명하므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 교육개혁의 방향 보편적으로 교육은 두 가지의 목적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된다. 첫째는 동시대의 가치관에 부합하는 인성을 가진 사람을 양육하는 일 즉, 올바른 시대적 가치관을 가진 시민을 키우는 일일 것이다. 이것은 국민국가가 요구하는 교육 목표일 것이다. 둘째는 사회의 역량을 강화하는 인적 자본을 형성하는 일 즉, 사회가 필요로 하는 역량을 갖춘 사람을 키우는 일이다. 이것은 경쟁력과 관련되는 교육 목표일 것이다. 인적 자본은 개인에게 체화되는 자본으로써 센(Amartya Sen)이 강조하고 있는 자기에게 주어진 기회를 향유하고 활용할 수 있는 ‘역량(capability)’의 한 형태일 것이다. 이러한 교육의 보편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교육현장의 변화가 급선무이다. 서열화에 의한 주입식 교육현장을 보면 암담하기 그지없다. 서열이 높은 대학을 정점으로 하는 먹이사슬이 유치원까지 뻗쳐 있는 교육체계가 우리나라의 교육 현실이다. 그렇다고 해서 대학은 자유로운가 하면 그렇지 않다. 대학은 이미 오래전부터 학문의 전당이 아니라 취업 학원으로 전락해 있다. 유수한 대기업은 학기도 채 끝나기 전인 10월, 11월에 신입사원을 모집하고 합격자를 곧장 입사시켜 신입사원 교육에 들어간다. 교육은 여기서 중단된다. 기업으로써는 영어를 더 잘 하거나 기업의 위계질서에 더 잘 순응하는 단기적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디지털 문명에 적합한 창의성 교육은 실종 상태이다. 국가적 차원에서 교육개혁을 논의할 때 간과해서 안 될 것은 양극화 문제이다. 디지털 경제는 생산 영역에서의 엄청난 성과를 이룩하고 있지만, 분배 영역에서 양극화를 더 악화시킬 가능성이 크다. 디지털 경제는 스스로 산업구조를 빠른 속도로 고도화시킨다. 산업구조의 빠른 고도화로 인해 산업 취약계층이 급증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기업에서 밀려난 실업자가 재취업할 가능성은 점점 낮아지고 결국은 방대한 산업예비군으로 떨어져 나가기 때문이다. 저소득 서민계층은 높은 수준의 디지털 교육을 받지 못함으로써 디지털 문명에서 소외될 가능성이 점점 증가할 것이다. P.브라운(Phillip Brown)은 이것을 디지털 경제의 핵심적 진실이며 이러한 현상을 디지털 테일러주의(digital Taylorism)이라고 명명한 바 있다. 이처럼 디지털 경제에 있어서 인적 자본이 특정 개인이나 집단에 집중되면 사회적 양극화를 심화시킬 위험성이 훨씬 증가하게 되므로, 디지털 시대에 보편적 고등교육이 강화되어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 21세기의 지식기반사회는 디지털 문명이라고 하는 새로운 문명을 낳았다. 이 문명은 네트워크를 통해 그 어떤 시대의 문명보다 빠른 속도로 자기증식을 하고 있다. 그래서 이에 적합한 교육체계의 구축은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당연히 육체의 발육과 지식의 발달에 맞는, 그리고 지식의 속도에 맞는 학제 개편이 필요할 것이다. 학제 개편과 아울려 디지털 문명과의 호환성이 높은 교육과정의 개편 역시 중요하다. 이것은 주입식 서열화 교육을 극복하는 창의성 교육이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제안해왔던 창의성 교육이 대학입시의 서열화 파도 앞에서는 무용지물이 되고 말았다는 것을 여러 해 동안 경험해왔다. 그래서 대학입시체제의 근본적 개혁을 전제로 한 대한민국의 교육체제 전반의 대수술이 필요하다.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넘어가는 시기는 생후 첫 18개월 이후 가장 많은 변화를 경험하는 시기이다. 발달상의 변화로 오는 신체적·정서적인 혼돈 속에서 학교에서의 생활 패턴이 달라진다. 학업 난이도가 상승하고, 학습량이 증가하며, 새로운 환경(교과별로 달라지는 교사·교과별로 이루어지는 수행평가·지필평가·교과교실제·자유학기제 등)에 대한 적응을 위해 에너지의 소모가 많아진다. 이 시기의 학생들을 만나서 요즘 어떻게 지내냐고 물었다. “초등학교 때는 선생님이랑 관계가 좋았는데 지금은 좀 먼 거 같아요.” “공부가 걱정 돼요. 공부하는 방법에 대해 누군가 도와주면 좋겠어요.” “수학이 많이 달라진 것 같아요. 초등학교 때는 (수학에) 영어는 없었잖아요. 올라오니 a, b, x, z, y와 같이 용어가 많아서 헷갈려요. 수학에 왜 영어가 있는지 지금도 이해가 안 돼요.” 보통 이러한 고민은 중학생이라면 모두가 겪고 지나가는 것이니 시간이 지나면 해결될 문제로 취급되기 마련이다. 그런데 이 시기에 도움을 받지 못해서 어려움이 지속된다면, 그리고 이 시기가 향후 중·고등학교에서의 학습에 대한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시기라면 문제는 다시 점검해야 할 필요가 있다. 막연한 두려움으로 시작되는 전환기 실제 초등학교에서 중학교로 넘어가는 학생들을 따라가면서 시기별로 특성 변화를 분석해 보았다. 그림 1과 같이 학교급이 전환되는 시점에서 수학과 영어 교과에 대한 태도(교과에 대한 흥미·과제 가치감·학습의지) 및 학교행복감(교사관계와 학습활동에 대한 즐거움)이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흥미로운 사실은 첫째, 한번 낮아진 교과태도와 학교행복감은 이후에도 크게 반등하지 않는다는 점과 둘째, 실제 중학교 생활을 접하기 이전(초등학교 6학년 겨울방학 직후)부터 전환기 학생들의 특성 변화가 시작되었다는 점이다. 이러한 현상은 “중학교에서의 첫 시험으로 ‘수포자?(수학을 포기하는 자), ‘영포자?(영어를 포기하는 자)가 결정된다고 해요”라고 했던 학생과 학부모들의 인터뷰 내용과 맥락을 같이 했으며, “중학교 가면 어렵다며? 시험도 본다며? 그걸 점수로 준다며? 발표를 한다며? 성적표가 온다며? 너 중학교 가면 어려워져. 이렇게 해선 안 돼”라는 이야기를 가족들한테 가장 많이 듣는다는 학생들의 하소연을 떠올리게 했다. 전환기 학생들은 이렇듯 실제 중학생이 되기 이전부터 막연한 두려움을 느끼게 하는 환경에 놓여 있다. 누군가는 이 시기를 사교육 시장의 대목이라고까지 표현한다. 학습의 불안감을 조성하여 사교육을 시작하게 되면 향후 6년간의 고객이 된다는 것이다. 사교육 시장 통해 도움 받는 학생과 학부모 중학교 1학년을 막 경험하고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학생들이 중학교 생활에 대해 도움을 받고 싶어 하는 첫 번째는 ‘시간 관리법’이었으며, 두 번째는 ‘교과목별 공부하는 방법’이었다. 학생들은 자신에게 어떤 도움이 필요한지 구체적으로 알고 있었다. 달라지는 환경 속에서 헐떡이지 않고 자신의 시간을 어떻게 관리해야 하는지와 공부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알고 싶어 했다. 하지만 아직 학생과 학부모는 사교육 기관을 통해 도움을 받고 있다. 따라서 우리의 공교육 시스템이 어떻게 이 시기의 학생들을 충분히 지원하고 있는지, 반드시 점검해봐야 할 문제이다. 우선 초·중학교 학생들은 전환기를 겪지만, 초·중학교 교사에게는 전환기가 없다. 초등학교 교사들의 87.2%, 중학교 교사들의 82.9%가 상대방 학교급 교사와 교류할 기회가 전혀 없다고 응답하였다. 분수의 사칙연산은 초·중학교 수학 시간에 모두 다룸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은 분수의 사칙연산이 쉽지 않다. 초·중학교 교실 수업을 비교해 보니, ‘중학교에서도 또 배우게 되니까…’가 되고, 중학교에서는 ‘초등학교에서 다 배우고 왔지?’가 된다. 또한 교육과정은 연계되어 있지만, 교과서를 들여다보면 초·중학교의 차이는 확연히 드러난다. 두 번째는 초·중학교 교사를 양성하는 기관 자체가 구분되어 있다는 점이다. 학생들의 발달상의 차이를 전제로 학습의 단계에 대해 배우는 교대와 교과별 전문성이 강조되는 사대는 엄연히 다른 교사를 양성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물론 문제를 크게 생각하면 끝이 없다. 어쩌면 모든 교육 시스템을 뒤흔들어야만 해결될 수 있는 문제로 보인다. 하지만 아주 작은 실천에서 문제의 해결방법을 찾아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미리 가 보는 중학교’라는 프로그램으로 초등학교 6학년 한 학급 아이들의 손을 잡고 인근 중학교를 방문했다. 수업시간에도 들어가 보고, 선배들을 만나 이야기도 해보았다. 반대로 ‘중학교 수업 맛보기’라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중학교 선생님들을 초등학교에 모셔 와서 수업해달라고 부탁했다. 초등학생들의 질문이 빗발쳤다. 그리고 이 학생들이 실제 중학교 생활을 시작했을 때, 인터뷰를 시도했다. “그때 우리 학교에 오셨던 선생님을 보니 너무 반가웠어요”라는 답변이 돌아왔다. 중학교 선생님들은 “그때 초등학교에서 만났던 손 잘 들고 대답 잘했던 학생들을 다시 보니 기대가 크다”고 화답했다. 이들이 원하는 건 거창한 게 아니다 낯선 곳에 도착하여 여행을 시작하는 사람들이 가장 원하는 것은 숙소 주변의 식당 정보와 구경거리에 대해 상세히 알려주는 자료, 그리고 언제든 나를 도와줄 것 같은 숙소 주인의 배려와 친절함이다. 전환기의 학생들이 원하는 것도 이와 다르지 않았다. 낯선 장소에 첫발을 들인 학생들은 대부분 소극적인 자세를 취하게 된다. 주변 친구들은 어떻게 행동하는지 곁눈질하고, 자신의 행동이 너무 튀지는 않을지, 친구들은 많이 사귈 수 있을지, 매시간 바뀌는 선생님들에게 어떻게 적응해야 할지, 벌점이 있다고 하는데 어떻게 해야 벌점을 피할 수 있을지, 과목별로 수행평가가 많다는데 수행평가를 잘 받으려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등등…. 이런 고민을 하게 되는 전환기 학생들은 ‘수동적’일 수밖에 없다. 아무리 선생님이 질문할 사람 손 들어보라고 해도 좀처럼 손을 들어 질문하기란 쉽지 않다. 어느 중학교 학생들과 인터뷰를 할 때의 일이다. 공부 잘하는 학생, 중간 수준의 학생, 못하는 학생 모두가 “영어 선생님이 좋아요”라고 입을 모았다. 이유를 물어보니 영어 선생님은 끝까지 가르쳐 주기 때문이란다. 무슨 의미일까? “끝까지 가르쳐 주는 게 뭔데?”라고 묻자, 학생이 답했다. “음…. 그러니까 제가 대충 알겠다고 해도 선생님은 ‘너, 사실 모르지? 이리로 와 봐. 다시 설명해 줄게’ 이러시거든요.” 전환기 학생 위한 자료, ‘중학교 생활’을 부탁해! 2년간 수행했던 연구 기간에 비해 초·중학교 전환기 학생들이 원하는 도움이 무엇인지 쉽게 찾아졌다. 그것은 거창한 것이 아니었다. 바로 ‘긍정적인 경험’, ‘겁주지 않기’, ‘친절하게 안내해주기’, ‘끝까지 가르쳐주기’였다. 그래서 학생들의 원하는 자료를 개발한 것이 ‘중학교 생활’을 부탁해!이다. 이 자료는 초·중학교 학생과 학부모들의 걱정을 조사하고, 현직 초·중학교 교사들과의 협동 작업을 통해 전환기 학생들에게 작으나마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주요 내용은 표 1과 같다. 이 밖에도 중학교 생활을 부탁해!에는 수학과 영어 학습 지원 자료도 개발하여 제공하고 있다(표 2 참조). 2016년 현재 세계 196개국이 지키기로 약속한 유엔아동권리협약*(1989년 11월 20일)에는 아동의 권리로 생존권·보호권·발달권·참여권을 제시하고 있다. 초·중학교 전환기 학생들을 관찰하면서 특히 이 학생들의 발달권 즉, 성장함에 있어 잠재능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으며, 신체적·정신적·도덕적·사회적으로 성장하는 데 필요한 모든 종류의 교육을 받을 수 있는지 고민해 봐야 한다. 또한 참여권 즉, 자신에게 영향을 주는 일에 대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의견을 말할 수 있는 환경이 보장되고 있는가에 대해 살펴보는 어른들의 민감성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엉뚱함이 빛나는 세상이 되게 하라! ‘버리다’의 쓰임을 보자. 쓰레기를 ‘내다 버리면’ 청소를 하는 것이지만, 쓰레기를 ‘써 버리면’ 새로운 무엇이 탄생하게 된다. 따라서 ‘내다 버리는’ 것이 아닌 ‘써 버리면’ 쓰레기는 더 이상 쓰레기가 아니다. 이것이 바로 ‘창의’이다. 부정은 긍정을 위한 씨앗이다.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올라간다’는 속담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면 혼돈 그 자체이다. 하지만 생각해보라. 산에 있는 배, 근사하지 않는가? 배는 강에만 있다는 틀에 박힌 생각은 창의적이지 못하다. 바꾸어야 한다. 정치인에게서 ‘바꾼다’는 것은 배신이겠지만 예술인에게서 ‘바꾼다’는 것은 창의이다. ‘바꾼다’는 것은 상상을 재활용하는 것이다. 상상에는 정답이 없는 것이다. 창의력은 엉뚱하다고 생각하는 데서 나온다. 기존의 규범이나 규칙을 들이대고 그에 맞추려는 행위는 창의력을 죽이는 것이다. 학교 교육이 창의성을 죽이는 파놉티콘(Panopticon)과 같은 역할을 해서는 안 된다. 현재 우리가 ‘무엇’을 하고 있는가가 우리의 미래를 결정하는 것이다. 그 ‘무엇’은 보이지 않는 손인 규격화 된 삶에서 벗어난 창의적인 작업을 의미한다. 동화는 거짓말이다. 그러나 상상하게 한다 동화와 같은 삶을 향유할 필요가 있다. 동화는 영어로 ‘fairy tale’이다. ‘fairy’는 요정이라는 뜻이다. 따라서 동화는 요정 이야기로서 완전 허구이다. 그러나 그 허구를 통해 상상의 나래를 펼친다. 상상(想像)은 ‘모습(像)을 머릿속으로 생각(想)하는 것’이다. 즉, 아직 일어나지 않은 일이나 존재하지 않은 대상을 머릿속으로 그려 보는 것이다. 따라서 상상은 창의이다. 동화와 같은 말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불가능을 상상할 필요가 있다. 공상(空想)·망상(妄想)·상상(想像)의 공통점은 불가능을 가능으로 만든다는 것이다. 불가능 ‘impossible’은 가능인 ‘I’m possible’을 의미한다. 헨렌 켈러(Helen Keller)는 “낙천주의는 성공으로 이끄는 믿음입니다. 희망과 자신감 없이는 아무것도 할 수 없습니다(Optimism is the faith that leads to achievement. Nothing can be done without hope and confidence)”라고 말한다. 즉, 불가능이란 없다. 할 수 있다는 믿음이 나를 성공으로 이끄는 것이다. 고통을 통해 나를 혁신하라! 솔개는 40살 무렵부터 발톱의 노화로 사냥감을 잡을 수 없게 되며, 부리도 길게 자라 구부러지고, 깃털도 너무 자라 무거워져 날아오를 수 없게 된다. 솔개는 뼈를 깎는 고통스러운 결심을 해야 한다. 그대로 죽든지 아니면 반년이라는 오랜 기간에 걸쳐 고통스러운 갱생의 과정을 거치던지. 솔개의 갱생 드라마는 그야말로 혁신의 과정이다. 일단 솔개는 부리로 바위를 쪼아 기존의 부리가 깨지고 빠지게 하여 새로운 부리가 돋아나도록 한다. 그리고 새롭게 돋아난 부리로 사용할 수 없게 된 발톱을 뽑아낸다. 새로운 나의 변화에 대한 확신이 없으면 나는 죽어야 한다. 저마다 자신의 새로움을 위해 자기혁신을 하고 있는데 자신만이 그대로 그 자리에 있다면 도태할 수밖에 없다. 혁신(革新)의 ‘革’은 ‘가죽’이다. 자신의 살가죽을 벗겨내는 고통을 인내해야 새로운 나(新)가 탄생하는 것이다. 이것이 혁신이다. 혁신은 마음을 바꾸는 것이다. 정방향의 마음을 다양한 방향으로 전환시하는 것이 혁신이다. 불을 도둑질해서 인간에게 전한 프로메테우스(Prometheus)에게 제우스는 독수리에게 간을 쪼이는 형벌을 내린다. 그러나 불사신인 프로메테우스의 간은 다시 회복되어 영원한 고통을 받아야 한다. 독수리에게 쪼이는 심장을 가진 우리가 되어야 발전적인 창의가 이루어질 것이다.
영어 교과는 말하기 지도가 중요하다. 영어는 학문이라기보다 세계 각국 사람들과 의사소통을 위해 필요한 도구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 공교육에서의 영어 교과는 입시 위주의 읽기와 쓰기에 중점이 맞추어져 있다. 따라서 영어의 네 가지 기능인 읽고, 쓰고, 듣고, 말하는 기능을 골고루 향상하기 위해서는 의도적으로라도 듣고 말하는 수업을 계획해야 한다. 영어와 토의에 흥미와 자발성을 키우는 PMI 기법 말하기 수업이란 학생들이 단순히 교과서 본문 내용을 파악하고, 문법적인 요소를 배워서 영어로 말해보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것은 ‘읽기’와 다를 것이 없기 때문이다. 진정한 말하기 수업은 학생들이 영어로 실생활에서 경험할 수 있는 주제를 가지고 자기 생각을 표현하고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영어가 학문이 아니라 의사소통의 도구로써 사용된다는 것을 체험하고, 영어에 흥미를 느끼고 이를 통해 학교 수업이 좀 더 유의미하게 다가올 수 있어야 한다. 효과적인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해 토의수업을 선택하였다. 서로 각자의 의견을 함께 나누고 취합하는 과정에서 ‘영어’를 사용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교수·학습방법으로는PMI(Plus-Minus-Interest) 기법을 활용하였다. 즐거운 수업을 위해 해야 할 것(P)과 하지 말아야 할 것(M)은 무엇인지 스스로 탐구하고, 유익한 수업시간이 되기 위한 행동 지침(I)도 직접 만들면서 학생들은 영어와 토의에 대한 흥미와 자발성을 키울 수 있을 것이다. [PART VIEW] PMI 교수·학습의 실제 ● 단원 : Lesson 2 Fun at School ● 성취기준 1) 일상생활이나 친숙한 일반적 주제에 관한 그림이나 사진의 내용을 설명하는 간단한 문장이나 글을 쓸 수 있다. 2) 주변의 친숙한 대상의 성격이나 특성을 간단한 문장이나 글로 묘사할 수 있다. ● 학습 목표 1) Students will be able to introduce their school PPT using “There is/are” and prepositions. 2) Students will be discuss their subjects through PMI method and explain about their subjects’ PMIs. ● 교수·학습 방법 및 지도상의 유의점 ? PMI 기법이 낯선 학생들을 위해 충분한 설명과 모형(modeling)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본격적인 활동 전에 활동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해야 학생들이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다. ? 자연스럽고 활발한 수업 및 토의가 이루어지도록 전 수업에서 학교 배치도를 숙지하도록 한다. 또한 충분한 수업 정보 및 자료를 제시하여 비계(scaffolding)와 스키마(schema)가 형성되도록 한다. ? 허용적이고 수용적인 관계 및 래포(rapport)가 형성되어 편안한 분위기에서 자신의 의견을 자신 있게 개진하도록 토의 분위기를 형성한다. ? PPT 자료 및 PMI 모둠학습지 활동을 할 때 교과서에 나온 표현을 활용하되 형식적인 표현이 아니라 자신만의 이야기를 자신만의 문장으로 표현해 보도록 한다. ? PMI 중 흥미로운 수업 및 활동 구성을 위한 I(Interesting activities) 고안 시 학생들의 창의적인 생각을 바탕으로 내용을 창작해 봄으로써 학생의 상상력, 창의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 대상 : 중학교 1학년 ● 기대효과 ? 영어가 형식적이고 교과서 속의 표현에서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의 실생활과 연계하여 진정성 있는 자료를 통해 동기를 부여하고 유의미한 수업이 되어 영어의 내재화가 이루어지고 자기 효능감이 높아질 것이다. ? 1학년이 아직 중학교 학교건물 교실 배치와 수업에 익숙하지 않을 시기에 시행하여 학교와 교육과정에 쉽게 적응하도록 하는 효과와 더불어 스스로 교과수업을 설계해봄으로써 각 수업시간에 진지한 태도로 주도적으로 수업에 임하게 되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 혁신학교에서 교육의 주체인 학교·교사·학생이 같이 수업설계를 하고 평가에 대해 논의하는 등 수업설계에서 평가까지 생각해보는 기회를 가짐으로써 혁신학교의 의미를 되새길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 수업의 흐름 ? Whole class _ Greet Review(5min) - The teacher greets students with a smile and reviews the last lesson(2min). - The teacher lets students learn Today's objectives(3min). ? Group Activity _ PPT presentation(17min) - Each group presents their PPT and introduces Neulpureun Middle School and a variety of classrooms(5 groups, 12min). - Whole class discuss about the presentations together and pick the best team(5 min). ? Group Activity _ PMI(20min) - The teacher gives each group PMI worksheets and boards. - Students draw lots to pick which place or class they are going to discuss about. - Students in each group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write good things/ the things students have to do in class(P), bad things/ the things students must not do in class(M) and interesting things/ activities students can do to make the class more interesting or meaningful(I). - Each group presents their own PMI. - Whole class discuss the presentations together. ? Whole class _ Closing(3min) - Students share what they feel and what they are going to do in classes. - The teacher gives students homework.
지난 학기, 경력 4년차 S교사(영어)는 1학년 수업공개를 자청했다.학습자료를 한 아름 안고 교실로 들어온 그는 수업 시작 5분 전부터 칠판에 정갈하게 판서를 시작했다. 모둠칠판과 보드 팬 학습지, PPT 점검이 끝나자 수업 종이 울렸다.이내 S교사는 4명이 한조가 되게 모둠형태로 책상을 배열하자고 제안했다. 하지만 아이들은 마지못해 느릿느릿 움직였고 짜증을 내기도 했다. 종이 친 후 늦게 들어오는 아이들에게도 똑같이 부탁했고 같은 불평이 되풀이 돼 정작 모둠은 15분이 지나서 만들어졌다. 이후에도 사물함으로 필기구를 가지러 가거나 친구들과 웃고 떠드는 아이들로 S교사의 상냥한 수업 안내는 묻히고 있었다. 그 모습에 한 아이가 “야! 조용히 해!” 소리를 질렀다.학습지와 모둠칠판이 분배되자 여기저기서 “뭐 하래냐?” 하는 소리가 들렸다. 잠시 후 S교사는 PPT 화면에 새로운 단어를 띄웠고 정확한 발음으로 읽어주며 따라 읽으라는 멘트를 했다. 마지못해 몇몇 아이들이 따라 읽었다. 모둠칠판을 교탁 앞 칠판에 배열해보자고 하자 서둘러 옆 모둠의 내용을 베껴 모두 똑같은 답이 올랐다. 답이 같으니 특별한 피드백 없이 김이 빠졌다.수업 전 판서한 문장을 읽고 해석하는 S교사의 목소리와 발음은 완벽했지만 문법을 설명할 때쯤 조는 아이가 늘고 아예 엎드려 자는 경우도 생겼다. 그러자 S교사는 준비한 푸치니의 오페라 중 ‘여자의 마음’을 동영상으로 들려줬다. 오늘 본문 내용이 바로 푸치니의 생애에 관한 것이었고 그래서 동영상도 준비한 듯했다. 한 남학생이 “여자의 마음이네요” 흥얼거리자 S교사는 반가운 듯 칭찬했지만 대다수 아이들은 그다지 흥미롭지 않다는 반응이었다. 이내 선생님의 표정은 다시 어두워졌고 더 준비한 설명을 생략한 채 학습지 형성평가로 수업을 마무리했다.수업나눔 후 S교사는 “항상 수업준비를 2시간 이상 하는데도 수업 후 낭패감이 든다”는 고민을 털어놨다. 학생 활동중심 수업을 위해 협동학습, 토론학습 연수도 받고 수업 적용을 위해 여러 시도를 하는데도 아이들 반응은 시큰둥하다는 것이었다. 사실 수면시간을 줄여가며 애를 쓴 S교사의 수업 디자인은 완벽하고 자료도 풍성해 충분히 지지되고 격려 받을 만한 것이었다.다음 날, 나는 두 명의 아이들을 인터뷰하고 수업나눔을 시작했다. S교사의 고민을 염두에 두고 먼저 어느 지점부터 아이들의 수업이 시작되는지 살폈다. 차분히 동영상을 본 그는 15분이 지나서야 수업이 시작됐음을 알아차렸다. 이 후에도 설명할 때 듣지 않고 활동상황이 주어지면 “뭐 하래냐?”고 되묻는 등 모둠활동이 활발하지 않았고 개인 학습활동도 하지 않은 채 답이 주어지면 단어의 뜻 정도를 받아 적는 정도에 그쳤다. S교사는 자신이 준비한 모든 것을 설명하고 보여주고 나누어 줬지만 아이들의 이탈된 행동들은 묵인하고 있었다.“화를 내면 아이들이 나를 싫어해 관계가 무너질까 두려웠어요.” S교사는 더 재밌는 수업을 만들지 못한 자신을 탓하며 더 많은 자료와 더 정교한 수업과정을 구성하는데 스스로를 채찍질 하고 있었다.나는 수업 중 큰 소리로 “조용히 해!”라고 외친 명수(가명)와 은서(가명)의 인터뷰장면을 보여줬다. 명수는 “정말 정성껏 수업을 준비하시고 실력도 좋으신 걸 알지만 아이들이 듣지 않으면 무슨 소용이 있겠어요”라며 “선생님이 너무 착하신 것 같아 안타깝다”고 말했다. 은서는 “선생님이 내버려 두니까 늦게 들어오고 떠드는 애들이 자기 잘못을 잘 모른다”며 “우리가 듣든지 안 듣든지 상관없이 진행되는 인터넷 강의 같아요”라고 말했다.S교사는 충격을 받으신 듯 잠시 생각에 잠겼다. ‘인터넷 강의 같다’는 말에 그는 수업 구조는 완벽하지만 상호작용이나 적절한 개입이 부족했음을 감지하는 것 같았다.아이들이 모둠 만들기를 싫어하는 장면과 모둠활동에 참여하지 않고 베끼기만 하는 장면도 함께 보며 얘기를 나눴다. S교사는 “학습활동은 생각을 서로 나누고 확인하는 과정인데 내 수업엔 그 모양만 있고 아이들의 생각을 들어보고 돌려주는 공감과 비평이 부재한 것 같다”고 말했다. 수업나눔은 그렇게 마무리했다.좋은 수업은 완벽한 구성과 내용을 전달하는 것보다 마주보고 소통하는 상호작용에서 만들어진다. 스스로를 채찍질만 하던 시선을 아이들에게 돌려야 한다. 때로는 단호하게 수업의 질서를 제시하고 경계를 세우는 연습도 할 필요가 있다. 이는 화를 내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을 일관성 있게 대하고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방법이다.
우리나라 국민들은 교사에게 가장 필요한 능력을 초 ‘생활지도’, 중 ‘학습지도’, 고 ‘진로지도’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교육개발원이 성인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해 15일 발간한 ‘2016 교육여론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학교급 별로 교사에게 가장 필요한 능력을 묻는 질문에 초등은 49.0%가 생활지도라고 답했다. 이와 달리 중학 교사에 대해서는 35.0%가 학습지도를, 고교 교사에 대해서는 54.2%가 진로지도를 꼽았다. 초‧중‧고 교사들의 능력과 자질에 대해서는 과반(50.2%)이 보통이라고 응답했고 신뢰하지 못한다(27.8%)는 응답이 신뢰한다(22.1%)보다 높았다. 현재 초‧중‧고에 어떤 성적(A∼E등급)을 주겠느냐는 문항에는 잘하고 있다(A+B)가 12.2%에 불과한 반면 보통 45.2%, 못하고 있다 42.7%로 부정적 의견이 많았다. 학교가 잘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기 위해 해야 할 과제로는 학생 맞춤형 상담 및 학생지도(인성‧안전 활동)를 가장 많은 39.9%가 선택했다. 다음으로 수업내용과 방법의 질 개선(21.5%), 좋은 교육시설과 환경 제공(21.1%), 우수교사 확보 및 배치(10.3%) 순이었다. 현재보다 더 중시해야 할 교과는 사회(역사‧도덕 포함)라는 응답이 20.9%로 가장 많았고 교양(15.4%), 국어(14.4%), 체육(10.7%), 한국사(10.5%), 예술(7.5%)이 뒤를 이었다. 영어는 6.2%, 수학은 5.1%에 그쳤다. 현재보다 강화돼야 할 교육내용에 대해서는 초‧중학교에서는 인성교육(각각 47.1%, 39.0%)을, 고교에서는 진로교육(27.7%)을 가장 많이 주문했다. 초‧중‧고 학생들의 인성‧도덕성 수준에 대해서는 낮다는 의견이 55.3%, 보통 37.9%로 나타났다. 교육정책‧제도와 관련해서 교육벌은 찬성(75.7%)이 반대(14.1%)보다 훨씬 높았으며 고교 다양화도 찬성이 60.0%로 반대 24.9%보다 높았다. 대입 수시‧정시 모집인원 비율에 대해서는 수시 확대(31.5%) 의견이 정시 확대(29.9%)나 현재 비율 유지(22.6%)보다 높았다. 대학 서열화와 학벌주의에 대한 전망은 비관론이 우세했다. 대학 서열화는 큰 변화 없을 것이다(55.8%)와 심화될 것이다(23.8%)가 전체의 79.6%, 학벌주의는 큰 변화 없을 것이다(53.8%), 심화될 것이다(29.0%)가 전체의 82.8%에 달했다. 교육재정과 관련해 국가 재원을 가장 먼저 투자해야 할 분야로는 3∼5세 유아보육 및 교육 무상화(21.7%), 소외계층 교육지원(20.4%), 대학교 등록금 감면 또는 장학금 확대(12.8%), 초등학교 돌봄교실 운영 강화(10.6%) 순으로 많이 응답했다. 학생 수 감소와 교육재정 규모를 묻는 문항에는 교육여건을 높이기 위해 축소하지 말아야 한다는 의견이 대다수였다. 현 수준을 유지하되 지금보다 교육서비스의 질을 높이는데 사용해야 한다는 응답이 35.1%, 교육 여건을 선진국 수준으로 개선시킨 후 중장기적으로 축소해야 한다는 의견이 35.0%로 나타났다. 이번 교육여론조사는 교육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성격으로 매년 실시하고 있으며 이번 조사가 11회째다.
현재 4개 교육청에서 시범실시중인 교원치유지원센터가 올해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으로 확대된다. 또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대학수학능력시험 개편안이 7월 발표된다. 이준식 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9일 세종컨벤션센터에서 황교안 대통령권한대행이 참석한 가운데 2017년 교육부 업무계획을 발표했다. 이 자리에서 이 부총리는 “교원치유지원센터를 중심으로 ‘교육활동 침해예방→피해교원 지원→복귀 및 사후관리’를 돕도록 할 계획”이라며 “3월 전국 시·도교육청으로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교원의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관련 법령 개정 추진 의사도 밝혔다.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인 교원의 지위향상 및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특별법 개정안(교권보호법)을 늦어도 하반기까지 법제화 해 심각한 교권침해 사안에 대한 교육청의 고발의무화, 법률지원단 설치운영, 특별교육·심리치료 미이수 학부모에 대한 과태료 처분이 가능하도록 할 방침이다. 아울러 교육부는 교원의 실무역량 강화와 교육활동 보호를 위해 교원양성기관 재정지원과 교원양성기관 평가와 임용시험을 개편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밖에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개편안이 7월 발표되고 11월에는 수능영어 절대평가가 첫 시행되는 등 대입시 정책에도 큰 변화가 생긴다. 2018년 고1부터 적용될 2015개정교육과정이 문·이과 공통과목 신설을 골자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2021학년도에 첫 적용될 개편 수능 역시 공통과목 중심으로 출제될 전망이다. 교육부는 국어, 수학, 영어, 사회, 과학 등 5개 교과에 대해 통합출제 방식에 대한 다양한 안을 놓고 정책연구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5월 경 시안을 발표한 후 공청회 등의 여론수렴 기간을 거쳐 7월까지는 수능개편안을 확정한다는 방침이다. 또 2014년 발표한 수능영어의 절대평가 전환이 올해 적용됨에 따라 이에 대한 준비도 착수했다. 현행 100점 만점의 표준점수 또는 백분위 점수 방식 대신에 9개 등급으로 성적이 매겨지게 됨에 따라 변별력 저하에 따른 타 교과목의 사교육을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 상태다. 교총은 교육부 업무계획 보고 직후 발표한 입장을 통해 “교육부와의 단체교섭을 통해 요구한 교원치유지원센터를 확대한 것은 교원의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의미있는 조치”라며 “현재 국회에 발의된 교권보호법이 조속히 통과될 수 있도록 정부차원의 적극적인 노력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또 교총은 교원치유지원센터 예산 확대, 교권보호법 내 교권침해 학생 강제전학 및 학급교체 처분 포함 등을 요구했다.
많은 교사들, 특히 고교 교사들은 ‘입시’라는 장벽과 ‘배움중심’, ‘활동중심’ 등 여러 교수-학습전략으로 교실수업을 개선해야하는 과제 사이에서 딜레마에 빠져있다. 일반계고인 우리 학교 교사들의 고민도 마찬가지다. 초가을 1차 지필평가를 앞둔 어느 날, 사회 선생님의 2학년 이과 반 생활윤리 수업을 보게 됐다. 수업 전에 수업 의도나 고민에 대해 의견을 나눴는데 선생님은 시수에 비해 교과 내용이 많아 진도 빼기도 바빠 평소 학생들과 활동위주 수업보다 강의식수업을 하는 것에 고민이 있었다. 또 이과 반은 수능에서 사탐을 선택하지도 않고 성적에도 반영 되지 않아 시험에 임박해서는 수업하기가 미안하다는 말씀도 하셨다. 그래서인지 몇몇 아이들은 수학이나 영어책을 꺼내놓고 있었다. 수업이 시작되고 롤스의 정의에 대한 설명이 시작됐다. ‘원초적 입장’이니‘무지의 베일’이니‘무관심적 합리성’이니 하는 난해한 말들과 중간중간 질문이 이어졌다. 대답없는 학생들에게 선생님은 스스로 답하곤 했다.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활동하게 하는 방법은 보이지 않았다. 책상을 모둠별로 배치하거나 토론을 유도하지 도 않았다. 따라서 토론 내용을 발표하는 시간도 없었다. 그렇게 홀로 수업을 진행하던 선생님은 갑자기 “키가 180센티미터 이상인 사람만 대학시험을 치를 수 있다고 한다면 그것은 공정한가?” 라고 물었다. 잠시 침묵이 흐르더니 이내 “에이, 말도 안되요”, “00야 너는 수능 볼 자격도 없네~”라며 한 두 명이 수업에 끼어들기 시작했고 자신들의 언어로 롤스의 정의를 이야기하기 시작했다. 이후 선생님은 사회적 약자에 대한 책임과 배려가 삶속에서 얼마나 필요한가에 대해 자연스럽게 이야기를 유도했다. 우리는 이 장면을 다시 동영상으로 보며, 질문하는 순간으로 돌아가 선생님의 생각에 머물러 보았다. 선생님은 아이들은 물론 자신조차도 마음에 와 닿지 않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는 자신이 싫었다고 했다. ‘아이들이 시간 아깝다고 생각하지 않을까?’, ‘내 과목은 아이들에게 무의미한 걸까?’라는 자괴감마저 일었다고 했다. 그리고는 롤스의 정의를 설명하기 위해 아이들의 삶에 어떻게 적용할까를 고민하다 질문을 던졌는데 아이들이 웃으며 이런 저런 반응을 보이기 시작했다고 했다. 그 장면에서 선생님은 잠시 큰 한숨과 함께 침묵했다. 잠시 후 선생님은 자신의 교과지식과 삶을 연결시키고자 줄곧 해 오던 고민의 답을 찾은 것 같다며 목 맨 소리로 말했다. 선생님은 이번 수업나눔을 통해 특별한 형식의 수업만이 학생참여형 수업이 아니며 자신의 수업장면에서도 진정한 배움이 만들어지고 있는 모습을 찾아 낸 것이었다. 선생님은 앞으로는 질문을 하고 좀 더 기다려줘야겠다는 생각도 들었다고 했다. 또 즉흥 질문보다는 수업내용을 꿰뚫는 발문을 만들어 아이들과 생각해보고 대화하는 수업을 디자인해 봐야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물론 교과 지식에 해당하는 삶의 이야기를 진솔하게 나누는 것, 교과 내용과 관련해 삶의 이야기를 풀어낸다는 건 쉬운 일은 아니다. 그러자면 ‘내 삶을 학생들에게 열어 보여야 한다는 부담’, ‘입시 지식과 성격이 다른 내용을 말한다는 부담’, ‘교과와 관련된 체험을 말해야 한다는 부담’ 등 여러 부담을 껴안아야 한다. 그러나 결국 좋은 수업을 위해서는 여러 교수 및 학습 방법을 익히고 교과 지식을 탁월하게 공부하는 것보다 교사 내면의 소리에 귀 기울이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생각이다. “항상 두 마음이 싸웁니다. 입시에서 좋은 성적을 내야한다는 마음과 삶을 살아가는데 바른 가치관을 세우고 배려와 존중의 마음으로 더불어 살아가는 자세를 가르치고 싶은 마음 말입니다. 하지만 교사라면 두 번째 마음을 신념으로 갖고 지켜야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렇게 배우는 것이 시험을 망치는 배움은 절대 아니니까요.” 수업나눔을 정리하며 꺼낸 선생님의 고백에서 역시 수업의 답은 선생님들께 있다는 확신이 들었다. ‘좋은 교사란 이래야 한다’, ‘좋은 수업은 이래야 한다’는 정해진 틀은 없다. 이번 수업 나눔과 같이 학생들에 대한 시선, 교과에 대한 시선을 바꿔가며 수업 공간을 바꿔가는 것이 바로 수업나눔의 의미가 아닐까?
우리는 지금 대통령 탄핵 정국이라는 격랑의 파도 앞에 서 있다. 이웃 나라 일본에 사는 한 지인이 조그만 연하엽서에 "귀국의 정치 상황이 빨리 평온을 찾기 바란다" 기원을 적어 보내면서 힘들어 하는 우리를 위로하고 있다. 이처럼 대한민국의 상황은 결코 평화로운 상황이 아니다. 리더가 엉망인 나라로 국민의 신뢰를 잃은 지도자들의 모습이 이렇게 외국인들에게 비치고 있다. 이런 한국 사회를 어디부터 고쳐야 할 것인가? 항상 문제가 발생하면 대안을 마련하는데 고민하는 모습을 보곤 한다. 근본은 정직하고 정의로운 국민, 즉, '깨어있는 시민'을 양성하는 일이다. 그러나 아직도 우리는 ‘입시 경쟁’이라는 큰 괴물 앞에서 더 좋은 선택을 하지 못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는 어떤 인생을 살 것인가보다 국어, 영어, 수학이 중시된다. 하지만 다가오는 미래 한국사회를 조명하면서 비판의 자유와 토론의 자유를 통해 학생 스스로 답을 찾아가게 하는 새로운 교사 운동이 시작될 것을 기대한다. 그 기대는 단순한 근거 때문이다. 무릇 생명은 결코 누르는 힘에 주저앉지 않는다. 아무리 흙더미가 무거워도 밑으로 밑으로 뿌리를 내린 후에 생명은 끝내 때가 차면 고개를 쳐들고 새순을 틔우고 나온다. 그런 생명의 기운이 교사들 가슴속에 여전히 있다고 우리는 믿는다. 입시를 넘는 새로운 실천에 필요하다는 시대적 요청이 가슴속에 파고 들어서, 응답하지 않고는 견딜 수 없는 마음을 가지고 불편한 삶을 자청하는 교사들이 1000명만 있어도, 변화는 시작될 것이라 믿는다. 어디 그런 교사들 없겠는가? 이제 우리 주변에는 우리가 배워야 할 것이 너무 많이 널려 있다. 지식의 전달 방식과 체계가 다양한 시대이다. 교사만 유일한 전문가로 의지하는 함정을 벗어나야 한다. 이것이 아이들에게 매우 중요하다. 일상에서 자기를 둘러싸고 있는 것에 대한 어떤 의존성에서 벗어나게 만들어 주는 부분이다. 직접 요리를 할 수 있게 만들어 준다든지, 음악도 마찬가지다. 음악에 접근하게 만들고, 의문스러운 것에 대하여 무언가 쓰고, 뭘 만들고, 3차, 4차 여러 가지 전문가들에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가 직접 해 볼 수 있는 경험은 삶에서 굉장히 중요하다. 학생은 소비자가 아니다. 교사가 장사꾼이 아니듯이... 그럼 장사꾼은 나쁘고 교사는 고상해서 그런 것이 아니다. 상업도 다 훌륭한 직업인데, 그런 뜻이 아니다. 만남의 성격이 다르다. 어떻게 다르냐면 한쪽은 대등하다. 이를 전제로 하고 만남이 이루어진다. 적어도 교육적인 관계로 만날 때 진정한 만남이 가능하다. 무엇을 어떻게 공부할 건가를 함께 공부하면서 만들어 내는 것이다. 대부분의 선진국 성적표 속에는 교사의 전문가적 권위가 듬뿍 담겨 있다. 영국 교사는 서술 평가 속에 ‘탁월하다' 는 기록을 남긴다. 영국 대학은 교사가 ‘탁월하다’고 남긴 기록을 존중한다. 이 성적을 가지고 이 학생이 옥스퍼드대를 간다. 이를 보아 영국의 대학들이 고등학교 교사들의 평가를 매우 존중해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교사의 전문적 권위는 바로 이런 것이다. 이것은 마치 한국의 판사나 의사들의 판결문이나 처방전과 동급으로 교사들의 평가 기록을 취급해 준다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는 지금 거짓으로 뒤범벅이 된 대학이 부정한 방법으로 평가를 하여 교육에 대한 신뢰가 망가진 모습을 보니 안타까울 뿐이다. 교육이 변하려면 교사의 권위가 바르게 서야 하고 행정이 이를 뒷받치 할 때 올바른 교육행정이 이뤄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인구 560만 명(2016년), 면적 719.2 ㎢로 서울보다 약간 큰 나라, 깨끗한 나라, 태형을 맞는 나라, 껌을 씹으면 안 되는 나라 등 다양한 수식어를 가지고 있으며 아시아 금융의 허브로 불리며 세계적 기업들을 끌어들이는 나라 싱가포르. 이 나라의 힘은 어디서 나오는가? 싱가포르는 국토가 작고 천연자원이 빈약한 나라라는 점 때문에 인재 양성에 국가적인 관심과 지원이 집중되어 있다. 최근 국제교육성취도평가협회(IEA: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Evaluation of Educational Achievement)가 발표한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 변화 국제비교연구(TIMSS: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2015에서 초등학교 4학년과 중학교 2학년 학생의 수학·과학 능력이 1위로 나타났다. 래플스 인스티투션(Raffles Institution)과 화총 인스티투션(Hwa Chong Institution)과 같은 고등학교는 미국 아이비리그 대학 당국자들이 입학 설명회를 위해 매년 학교를 방문할 정도로 세계적 인정을 받고 있다. 도구과목 비중 큰 싱가포르 교육 싱가포르의 학제는 6-4-2-4/6-4-3-4제로 코스에 따라 다양하고, 초등학교 이후에는 개인의 능력과 상황에 따라 시험을 통해 중학교 4/5년, 고등학교 2/3년, 대학교 4년 과정을 선택하여 진학할 수 있다. 영어·모국어·수학·과학 등은 초등학교부터 중요시하는 반면 예체능 분야의 수업 비중은 높지 않다. 싱가포르는 능력 위주의 교육으로 유명하다. 대표적으로 초등학교 4학년 말 시험을 통해 5학년부터 실시하는 수준별 반 편성(Streaming)과 초등학교 졸업시험(PSLE)을 들 수 있다. ● 비평준화 교육의 시작 4학년 말이 되면 시험(영어·모국어·수학·과학)을 보고 성적에 따라 우수반(EM1), 일반반(EM2), 기초반(EM3)으로 나누어 5학년부터 수준별로 수업을 한다. 수준별 수업은 싱가포르 사람들에게는 우열을 나눈다기보다는 개인의 학습역량과 학습 속도에 맞는 학급 배정으로 인식되고 있다. 5학년 말이 되면 성적에 따라 우수반·일반반·기초반 사이에 학급 이동이 가능하다. 하지만 과정별 학습 수준 차이로 인해 쉽게 반을 이동하기는 어렵다. ● 초등학교 졸업시험(PSLE: Primary School Leaving Examination) 초등학교를 마칠 때는 초등졸업시험(PSLE)을 치르고 중등과정 이후에는 진로에 따라 시험 과정이 각각 다르게 진행된다. 보통 9월 말에서 10월 초에 며칠씩 실시되는 초등졸업시험은 모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며 시험에서 수석을 차지하는 학생이 신문에 대서특필될 정도로 국가적 관심 사안이다. 졸업시험은 영어·모국어·수학·과학 4과목을 본다. 학생들은 시험 점수에 맞춰 최대 6개 학교까지 지원할 수 있다. 성적이 우수한 학생은 자기가 원하는 학교에 입학할 수 있지만 성적이 낮은 학생은 교육부가 배정해 준 학교에 다녀야 한다. 시험 결과에 따라 Express 과정, Normal(Academic) 과정, Normal(Technical) 과정 학급에 배치되어 학생의 수준과 역량에 맞는 학습을 하게 된다. [PART VIEW] 평가와 보충학습 평가는 학교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1년에 2회의 큰 시험과 4개의 작은 시험이 실시된다. 주요 과목의 경우 점수별로 1~4단계로 나누어져 등급이 부여된다. 초등학교의 경우 미술·도덕·보건·음악·체육은 A, B, C로 평가한다. 수학은 나선형 교육과정에 기반을 두고 초등학교 1학년부터 기본적인 덧셈·뺄셈·나눗셈·곱셈을 배우기 시작해서 학년이 올라갈수록 심도 있게 배우게 된다. 특이한 점은 초등학교 고학년부터는 수업과 시험에서 계산기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며 도서관에서 공부하는 학생들이 계산기를 이용하여 문제를 푸는 모습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우리나라 수학시험이 머리로 계산할 수 있는 정도의 문제만을 출제한다면 싱가포르는 계산기를 써야만 해결할 수 있는 실생활과 연계된 질문들을 출제하여 문제해결역량을 키우고 있다. 초등학교 이후에는 선택형 문항 시험이 없다. 주로 서술형 문항 위주로 시험이 치러지고 풀이과정을 자세히 쓰도록 하는 문제가 출제된다. 서술형 문항의 출제는 학생에게도 부담이지만 교사들도 채점과정에서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다. 풀이과정과 답을 세밀하게 채점하는 평가 방식 때문에 채점을 위해 학생들이 등교를 하지 않는 날(Marking day)이 있을 정도다. 평가 결과 나타난 부진아를 충실하게 지도할 수 있도록 주요 과목의 보충학습과정(remedial class)이 잘 마련되어 있는 것도 싱가포르 교육의 특징이다. 방과 후 실시되는 보충학습과정은 무료로 이루어지며 학생들은 담임교사의 안내에 따라 빠짐없이 참여한다. 이는 학원 때문에 학교의 방과 후 부진아 수업을 기피하는 우리나라와는 대조적이다. 이곳의 학생들은 과목별로 주중 1회 또는 주말에 학원을 많이 다닌다. 또한 과외가 활성화되어 있어 패스트푸드점과 커피전문점에서 과외를 받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다. 그럼에도 점수가 부족한 학생은 진급이 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방과후활동(CCA: Co-Curricular Activity) 활성화 싱가포르에서는 모든 학생들이 의무적으로 방과후활동을 1개 이상 선택해야 한다. 보통 방과후활동은 1주일에 1~2번 정도 하며 부서에 따라 조금씩 다르다. 방과후활동은 보통 6년간 같은 것을 하는데 바꿀 수는 있으나 바꾸지 않는 것이 유리하다. 6년간 꾸준하게 한 가지 방과후활동을 한 학생의 경우 PSLE에서 추가 점수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방과후활동 결과가 생활통지표에 기록이 되고 상급 학교 진학에 도움이 된다. 방과후활동은 대부분 학교 교사들이 맡아서 하고 무료로 진행된다. 밴드부에 소속된 학생에게 학교에서 악기를 무료로 대여해주는 등 필요한 물품을 지원해 준다. 주지교과 중심으로 진행되는 정규교육과정 탓에 부족한 예체능 관련 활동을 CCA를 통해서 충족시켜주는 것이다. 싱가포르 교육에서 얻는 교훈 싱가포르 교육은 수준별 교육에 기반을 둔 엘리트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스트리밍(Streaming)을 통한 수준별 반 편성이나 PSLE와 같은 졸업시험은 학생들에게 뛰어난 학습역량을 갖출 것을 요구한다. 특히 수학과 과학 등의 주지교과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교육하고, 진급 단계마다 이들 과목을 중심으로 평가가 이루어져 해당 과목의 중요성이 매우 높다. 주지교과 위주로 편성되어 부족한 예체능 활동은 CCA로 보충할 수도 있다. 스포츠·게임·공연예술·클럽활동·청소년단체 등의 다양한 방과후활동은 학생들의 감성과 창의성을 신장시키는 밑바탕이 되고 있다. 한국이 비약적인 성장을 이룰 수 있었던 이유에는 교육열과 국가적 정책지원도 한몫을 했다고 본다. 자원이 부족한 나라로서 인재 양성만이 살길이라는 생각으로 교육시스템을 만들고 적용하였다. 입시제도의 경우는 학생들이 일정한 수준의 능력을 갖추고 다음 단계로 나아가는 관문으로서 두 나라 모두에서 실시되고 있다. 하지만 수준별 반 편성은 우리나라에서는 국민 정서상 우열반으로 인식되어 정규학교에서 적용하지 못하고 있다. TIMSS 2015에서 우리나라의 성취도는 1등을 차지한 싱가포르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2~4위의 높은 성취도를 보였다. 이를 통해 현재의 교육방식이 학생들의 학력향상에 기여하고 있다는 분석도 할 수 있다. 이것은 다양한 교수법을 통한 수학교육과 탐구?실험 중심의 과학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노력해 온 결과일 것이다. 공간적·문화적 환경이 다른 상황에서 싱가포르의 수준별 교육과 엘리트 교육을 우리나라에 적용하는 것은 많은 논의를 필요로 한다. 체벌과 두발 규정이 아직도 존재한다는 점도 자유분방한 우리나라 학생들의 생활방식과는 거리가 있다. 그럼에도 평가 유형 변화를 통해 사고의 폭을 넓힐 수 있는 문제를 출제하는 등 다양한 제도적 뒷받침과 노력을 한다면 학생들의 역량을 신장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학생 체벌 금지 이후 학부모 민원 늘어 학부모 민원 발생의 시대적 배경을 찾는다면 아마도 체벌 문제에서 비롯되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옛 속담에 ‘스승의 그림자도 밟지 않는다’는 말이 있다. 선생님은 모든 면에서 가르침을 주는 모범이 되는 사람이며, 감히 범접할 수 없는 인격의 권위를 지닌 존재로 인식되었다. 실제 예술인이나 장인(匠人)들의 도제식 교육은 엄격하면서도 따뜻함이 있고, 호된 질책과 묵묵히 지켜보는 스승의 사랑이 서로 돈독한 신뢰관계를 맺었다. 김홍도의 풍속화 서당도(書堂圖)에 제자가 스승으로부터 회초리를 맞는 장면이 있다. 회초리를 드는 것을 달초(撻楚)라고 한다. 과거의 회초리는 스승이 제자들을 독려하는 동기부여와 사람됨을 가르치는 상징성이 있었다. 그래서 교사가 되는 것을 ‘교편(敎鞭)을 잡는다’라고 하였다. 여기서 편(鞭)이 회초리를 뜻하지만, 시대가 바뀌고 세상이 변했다. 학생들의 체벌을 금지하는 인권조례가 제정되고, 학생 개개인의 소중한 인격과 존엄이 존중받는 시대에 달초(撻楚)나 교편(敎鞭)이라는 단어는 이제 구시대의 산물이 되어 버렸다. 1990년대 후반까지 학부모 민원 중에 학생 체벌의 문제가 제일 많았지만, 학부모들의 태도는 비교적 관대하였다. 그러나 경기도교육청이 2010년 10월 5일 학생인권조례를 공포한 것을 시작으로 2011년 광주, 2012년 서울에서 학생인권조례가 제정되어 공포되었다. 이제 체벌은 형사 처벌의 대상이 됐고 교단 현장에서 가장 무서운 학부모 민원의 대상이 되었다. 오늘날 저출산의 시대적 변화와 ‘내 자녀가 학교에서 차별이나 피해를 보는 것을 절대 용납할 수 없다’는 학부모의 인식이 다양한 민원 발생의 주된 배경이라고 할 수 있다. 학부모, 탑-다운 해결 방식 선호 학부모 민원은 ‘자녀가 다니는 학교와 행정기관에 대하여 특정한 행위를 요구하는 학부모의 의사 표시’를 의미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앞선 정보 선진국으로 학부모들끼리도 다양한 SNS로 활발한 정보교환을 통해 강력한 정보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과거의 학부모 민원은 비교적 단순한 개별 민원이 많았는데 점차 다양화, 집단화 양상의 민원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학부모 민원은 학교에 직접 해결을 요구하기도 하고, 만족스럽지 못하다고 판단되면 다시 교육청이나 교육부 등 상급기관에 동시다발적으로 민원을 제기하여 위로부터 아래로 ‘탑-다운 해결 방식’을 취하는 경향이 뚜렷해졌다. 학부모 민원의 특징을 4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자녀가 불이익을 당했다고 생각될 때 제기한다. 둘째, 학생의 말만 듣고 불충분한 정보와 오해를 가지고 판단해서 민원을 제기한다. 셋째, 학부모가 스스로 만족스럽다고 여길 때까지 지속적으로 민원을 제기한다. 넷째, 학교를 가장 힘들게 하는 민원은 학교의 내부 사정을 가장 잘 아는 학부모(교직원, 교육공무원, 교육기관 근무자 등)들이 비교적 많이 제기한다. 학생부 기록에 민감, 불만 많아 [PART VIEW]학부모 민원은 학교가 위치한 지역적 특성, 학부모 성향(학력·경제력 등), 학교급별(유·초·중·고) 특징에 따라 다양성을 갖는다. 학부모 민원의 특징에 따른 분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담임교사와 학생(학부모)의 갈등 민원이다. 학교생활과 수업에서 교사 변인이 생활태도와 학습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크다. 평소에 학생이 담임교사에 대한 차별의식을 느끼거나 불만을 갖게 되면 모든 것이 민원의 단초가 된다. 학교생활기록부 기록 내용, 자녀의 진술에 의해 발생하는 왕따와 차별 문제, 교사의 질책에 대한 불만(거친 언어표현, 비난 및 비하 발언) 등을 문제 삼는 민원이다. 둘째, 내신 성적 및 평가(지필평가, 수행평가) 관련 민원이다. 외국 유학을 다녀온 학생이나 영어권 국가에서 살다가 온 학생들이 특히 영어 평가 문제 오류에 대한 민원, 각 교과별 평가문항 출제 및 정답 오류, 과목별 수행평가(평가 기준, 평가 결과, 평가 시점)에 대한 민원, 부정행위자 처리 불만 등이다. 셋째, 학교폭력 관련(가해학생, 피해학생) 및 선도 처분에 대한 불만 민원이다. 학교폭력 가해자 처분에 대한 불만의 민원, 학교폭력 가해자와 피해자 학부모의 상호 갈등 민원, 선도처분자의 징계 수준에 대한 불복 민원 등이다. 넷째, 교사의 역량과 자질에 대한 불만의 민원이다. 교사들의 수업방법(교사중심수업, 수업장악문제 등)에 대한 민원, 성희롱성 농담과 교수용어(비속어, 욕설 등), 수업시간에 정치적 발언과 이념적 내용을 지도한다는 민원 등이다. 다섯째, 학교와 학부모의 갈등 민원이다. 교장의 소통하지 않는 태도에 대한 불만(학생, 학부모의 의견 반영 요구), 운동선수 학부모와 코치 간 갈등 민원, 학교의 교육활동에 대해 불만을 품은 학부모의 지속적 민원 제기, 학교급식에 대한 불만, 학교생활기록부의 기록 내용에 대한 불만, 학교운영위원회 학부모위원 및 학부모회 임원 자녀에 대한 관심 요청 등의 민원이다. 여섯째, 학부모(학교운영위원회 위원)와 학부모(학부모회)간 갈등 민원이다. 학교운영위원회(학부모 위원)와 학부모회 임원의 미묘한 갈등, 학교운영위원회 위원장 선출에 따른 잡음 등 자칫 학부모들의 기싸움 민원으로 학교가 곤란한 입장에 처하는 경우가 있다. 앞으로 사회가 점점 복잡해지고 발전할수록 학부모들의 요구와 민원은 더욱 증가할 것이다. 불신 풍조 만연한 사회상 학교에 투영돼 첫째, 서열 중심의 내신 평가와 경쟁 체제의 교육시스템이 민원 발생의 주된 원인이다. 학교 교육이 학생 개개인의 성장과 발달에 중심을 둔 교육보다는 치열한 경쟁과 내신등급이 중시되는 교육 때문에 민원이 많이 발생한다. 문항 출제 오류 및 성적 산출 민원,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민원 등은 대학입시와 밀접한 관련이 있어서 계속 증가할 것이다. 둘째, 우리 사회의 신뢰가 무너지고 불신 풍조가 만연되어, 이런 현상이 학교 교육에도 영향을 끼쳐 학교를 불신하는 민원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 오늘날 우리 사회가 잘못을 하고도 뉘우치지 않고, 책임을 회피하려는 도덕적 해이 현상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앞으로 법질서가 확립되고 신뢰사회가 정착이 되면, 오해와 불신의 학부모 민원은 현저히 줄어들 것이다. 셋째, 학부모들의 과열된 교육열과 지나친 경쟁의식 때문에 아주 사소한 것도 문제를 삼아 민원이 많이 발생한다. 자녀가 학교 교육 활동에서 조금이라도 불이익을 받는다고 여기면 즉시 민원을 제기하는 것이 일반적인 추세가 되었다. 넷째, 교육도 서비스라는 프로정신의 부족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학부모 민원에 대해 안이한 태도로 대처하다 결국 문제가 확대되어 수습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학부모 민원에 대한 체계적 대응과 정확한 상황 판단으로 빠른 대처와 시스템의 가동이 필요하다. 민원 해결은 친절과 공감의 태도가 기본이며, 정성을 다하여 마음을 움직이게 해야 한다. 학교장의 적극적 리더십이 문제 해결 관건 첫째, 학부모(민원인)의 입장에서 역지사지(易地思之)의 마음으로 민원을 해결해야 한다. 민원인이 무엇을 요구하는지, 정확한 의도를 파악해 경청하고 귀를 기울여야 한다. 둘째, 아무리 어려운 학부모 민원도 교장의 진정성 있는 태도와 믿음을 주면 모두 해결할 수 있다. 학교의 모든 민원은 교장의 적극적인 의지와 신뢰 리더십으로 해결이 가능하다. 평준화 지역의 기피학교인 A 고교, 배정에 불만을 품은 학부모들의 민원이 쏟아졌을 때 P 교장은 학부모들에게 학교의 비전과 자신의 학교경영 계획을 적극적으로 설명하고 실천했다. 1년 후, A 고교는 학생과 학부모가 만족하는 학교, 민원이 없는 학교로 변했다. 셋째, 민감하고 이해관계가 복잡한 민원은 신속한 해결을 위해 학교 시스템을 가동해야 한다. 아무리 작은 민원도 학교장에게 보고하고 대책을 수립하여 신속·정확·즉시 처방의 3대 원칙을 실천해야 한다. C 중학교에서 영어 지필평가 문제의 정답이 2개라는 학부모 민원을 받고, 교과협의회에서 협의한 결과, 복수정답이 아니다는 결론을 내리고 성적 처리를 마무리했다. 그러자 학부모들은 여러 관계 기관에 민원을 제기하며 반발했고 결국, 학교는 복수정답을 인정하고 성적을 다시 처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겪었다. 이는 학교장에게 신속한 보고와 정확한 상황 판단, 즉시 처리의 아쉬움을 남겼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넷째, 학교와 교장에 대한 절대적 신뢰를 갖도록 학부모들과 소통에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학부모 민원처리가 미숙하여 ‘호미로 막을 일을 가래로 막는 일’이 없도록 학교장에게 즉시 보고하고 대책을 수립하여 신속히 대처해야 한다. P 고교에서 있었던 일이다. 사회 교사가 일방적인 이념교육을 수업시간에 실시한다면서 학부모가 시민단체에 자료를 제공하였다. 학생이 수업 중 몰래 녹음한 파일을 보내서 문제가 된 것이다. 이때 H 교장이 상황을 보고받고, 즉시 시민단체가 요구하는 수준의 조치를 취하겠다고 약속한 뒤 해당 교사와 함께 각 학급마다 학교장이 직접 사과해서 민원을 조기에 해결하였다. 다섯째, 학교폭력 가해학생의 학부모가 징계양정에 불복하여 재심 요구와 행정심판을 제기하는 등 민원이 증가하므로 이에 대비해야 한다. 학교폭력 가해학생의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때문에 징계 수위를 낮춰달라는 재심 청구와 소송을 제기하는 사례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에 대한 대비책으로 학교폭력예방교육에 최선을 다해야 하며, 졸업과 동시에 삭제됨을 잘 이해시켜야 한다. 아울러 학교폭력 가해 학생과 학부모가 안심할 수 있도록 경기도교육청의 ‘삭제 예고제(졸업 때 삭제 대상자임을 밝히는 것)’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결국 모든 학부모 민원은 상대방의 입장에서 해결하는 원칙을 세우고, 초기 단계에서 신속하게 대처하여 진정성 있는 조치로 감동을 주고, 신뢰를 주는 태도로 최선을 다하면 대부분 해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