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교육> 학운위가 교장 공개채용
학교장 선임제도에 대한 개편 논의가 활발한 상황에서 영국의 학교장 선임제도는 나름대로의 시사점을 제공한다. 물론 한국은영국의 학교처럼 운영 성패에 따라 존폐가 결정되는 심각한 사정이 아니어서 영국의 학교장 선임제도가 주는 시사점에 한계가 있겠지만 이해집단간의 주장이 엇갈린 상황이라면 '절충'의 실마리를 찾아볼 수도 있을 것으로 본다. 영국의 교육전문주간지 'TES'(www.tes.co.uk)의 3월 28일자 신문을 검색하면 각 학교 학운위가 낸 교장직 구인광고가 무려 263건이나 나온다. 여기에는 학교 소개와 교장 응모자에 대한 자격, 그리고 보수가 명시돼있다. 그런데 그 '응모 자격'에 어떤 경력 연한이나 자격 증서를 '못박아 두지' 않는다는 게 매우 독특하다. 경력 1, 2년의 초임 교사도 가능하며 현직 교장들은 보통 3∼6개월 전에 전직을 위한 사직 의사를 학운위에 통보하면 된다. 정부 차원에서도 '교장직 지원 자격'과 관련해 어떠한 '규제적' 제도를 만들지는 않는다. 하지만 학운위의 심사과정에서 교장 응모자들은 학교별 '기준'과 '조건'에 의해 걸러진다. 영국의 학교운영위원회는 교장직 지원자를 면접 채용한다. 학운위가 한 명을 선임해 교육청에 통보하면
- 최봉섭 런던 Sandhurst Junior School 학교운영위원
- 2003-04-10 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