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망대> 인문계, 실업계 나누지 말자
입시철이다. 요즘 대학입시에서 교육대학이 상한가를 치고 있다. 어느 교육대학교 총장의 말로는 요즘 교대지원 수험생의 수능성적은 의대수준이란다. 이렇게 교대가 인기학교가 된 것은 졸업 후 취업이 잘되기 때문이다. 한국인재연구원에서 2004학년도 수험생(고3 및 재수생)조사한 바에 따르면 대학에 가는 가장 큰 이유는 좋은 직장을 얻기 위해서라고 대답한 학생이 43%로 가장 많다. 여기서 교대가 상한가를 치는 까닭이 드러났다. 요즘 대학을 나와서 취직을 하기란 하늘의 별을 따기처럼 어렵다. 대학교육의 목적이 학문탐구에 있는 것이지 취직이 목적이 아니라고 하는 말은 억지소리다. 직업을 삶을 지탱하는 버팀목이다. 사람은 직업을 통하여 자신과 식구들의 삶을 유지하고 이웃과 사회에 봉사하게 된다. 옛날부터 내려오는 우리나라 전통의 직업관은 사농공상이다. 사는 지배계층으로 말이 좋아 학문하는 사람이고 실지로는 놀고 먹는 사람들로 인식되었다. 농·공·상은 생산과 산업에 종사하는 계급으로 이것만을 직업으로 인식했다. 고등학교는 인문계와 실업계로 나뉜다. 인문계는 사에 해당하는 계급이고 농공상은 실업계급이다. 아직도 아니 학생들은 갈수록 실업계 학교를 더욱 기피한다. 이것은 사
- 정근영 교육혁신위원·부산 구학초 교사
- 2004-01-29 16: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