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실창가에서) 교감이 매를 들어야만 하는 현실
아이들을 가르치는 선생님으로서 매를 들고 교육에 임하는 것은 사랑과 이해에 바탕을 둔 진정한 교육과는 거리가 멀다는 생각에 교단생활 삼십여 년 동안 하나의 금기처럼 멀리했던 매를 기막히게도 교감이 되고 난 후 들게 됐다. 막다른 일선학교의 절망적인 생활지도 현실에 비추어 교감이라도, 아니 교감부터서 매를 들지 않으면 정상적인 학생관리가 어려운 지경에 이르렀다는 생각이 마음이 무겁다. 줄지 않는 사건·사고 백약이 무효? 하루가 멀다않고 터지는 각종 사건, 못된 몇몇 학생들의 음주․흡연 행위에서부터 준법성이 없는 아이들의 이런저런 비행과 장난 수준을 넘어선 학우들 간의 폭력 사건 그리고 학업성취나 교우관계 등 학교생활 전반에서 부적응을 보이는 학생들이 늘어나는 현실 앞에서 교직원 모두가 머리를 맞대고 해결책을 궁리해 보지만 하나같이 미봉책에 그칠 뿐이다. 학기 초에 관심을 요하는 학생을 선정해 교사들과 결연을 맺어 수시상담하고 관찰지도를 하게 하거나 사전예방에 중점을 둔 담임 중심의 생활지도 활동, 학교 차원의 교육적 훈화와 계도, 지역사회 유관기관과의 합동 교외지도, 학부모와의 연계지도 등 생활지도의 정착을 위해 좋다는 방법은 안 해보는 일이 없건만
- 전상훈 광주 지산중 교감·한교닷컴 리포터
- 2007-10-02 09: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