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제언> 근평제도 객관성 강화하자
최근 교육부는 지금까지 시행돼온 인사관리형 근무평정제도에서 교사의 실무 능력평가를 중심으로 하는 ‘교원평가제도 개선방안(시안)’을 발표했다. 새로 도입하게 될 교원평가제 시안에 따르면 빠르면 2007년부터 수업내용을 중심으로 한 능력평가로 이뤄지게 된다. 교사의 능력평가는 교장, 교감 등 관리자뿐만 아니라 학생, 학부모, 동료 교사들이 참여하는 다면평가로 이뤄지게 된다. 학생들은 학기별로 설문조사를 통해 교사의 수업내용 및 자질에 대해 평가하고 학부모들은 학기당 1회 이상의 공개수업을 통해 교사를 평가하게 된다. 그동안 교감과 교사들을 평가만 하던 교장도 평가의 대상이 된다. 교장은 학교경영 활동을 중심으로 교원, 학부모, 교육청으로부터 평가를 받게 된다. 이에 대해 교총, 전교조 등 교직단체들은 새로 도입하게 될 교원평가제 시안이 단편적이고 획일적이며 졸속적인 평가제도라고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정부는 이번 제도의 목적이 능력 위주 교원평가제 도입으로 공교육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있다고 한다. 물론 세계 여러 나라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교원의 전문가적 자질 향상을 목적으로 한 교원평가제를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 평가시안은 다분히 주관성이 내재돼 있어 평
- 윤완 경기 벌말초 교감
- 2005-05-04 1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