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고> 유비쿼터스 사회에 대비하자
1990년대 초 선진국들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정보사회를 구현하는데 국가의 운명을 걸었다. 그 결과 인터넷은 급속도로 지구촌으로 확산되었다. 그리하여 인터넷은 인류문명의 흐름과 인간 삶의 패러다임을 바꾸어놓고 있다. 이러한 역사적 시대적 변화의 물결을 맞이하여 한국교육신문은 첫째, 역사와 시대적 변화의 흐름을 과학적으로 읽고 미래를 정확히 예측하여 사회적 교육욕구를 채워줄 뿐만 아니라, 둘째, 미래 교육 욕구를 창출하고 이끌 수 있는 전문지가 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한국교육신문은 교육계의 여론을 수렴하고 때로는 새로운 여론을 창출하고 선도하여 바람직한 교육한국의 백년대계(百年大計)를 수립 실천하는데 이바지해야 할 것이다.우선 시대적 변화의 흐름을 살펴보면, 현재 우리가 경험하고 있는 디지털정보사회의 특징을 다양화, 세분화, 전문화, 정보화, 쌍방향화로 규정할 수 있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교육 욕구는 다양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다양한 사회계층의 사람들이 다양한 교육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이들이 원하는 교육 분야도 점점 더 세분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를테면, 자치단체가 운영하는 문화강좌만 보아도 산업사회의 그것과는 사뭇 다르다는 것
- 안동근 한양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 2004-05-17 1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