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경제적 이유나 배우자와의 갈등으로 인해 귀중한 목숨이 순간에 사라지는 안타까운 사건들을 보며 학교의 윤리교육 강화가 시급하다고 본다. 얼마 전 한국사회조사연구소의 '한국청소년의 삶과 의식구조’의 발표결과, 학교생활에 만족한다는 학생이 54%, 불만족스럽다는 학생은 39%였으며 점점 학년이 올라갈수록 '불만족’ 학생이 늘고 있었다. 그 원인은 '체벌’ 35%, '수업 불만’ 22%, '학교시설 불만’ 22%, '특기적성 불만’ 17% 등이었다. 1년 동안 담임과 대화를 나누지 않는 학생들의 비율이 59%나 된다는 놀라운 내용도 있었다. 이처럼 신세대 학생들이 학교생활에 많은 불만을 가지고 있고 교사들과 대화가 거의 이뤄지지 않다는 통계를 보며 교원의 한 사람으로서 훌륭한 인재를 기르기 위해 열심히 땀 흘리는 선생님들이 더 많다는 사실을 알리고 싶었다. 교사를 잘못 이해하는 사람들은 교사들이 방학을 두 번씩 거저먹는다는 말을 많이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사들은 방학 중에 각종 연수에 참여해 새로운 수업기술에 땀 흘리고 있다. 연수를 받지 않더라도 2학기 준비, 새 수업법연구, 수행평가준비, 특기적성지도, 학습부진아 안내, 체험학습 안내, 학습자료 정리 등
지난 11월 8일 교육대학 음악관에서 전국 초·중학교의 국악을 사랑하는 학생들이 한자리에 모여, 평소 학교에서 갈고 닦은 다양한 재주를 선보이는 제6회 청소년 민속경연대회가 열렸다. 이 행사를 빛내기 위해 전국에서 모인 학생들은 아침부터 무대에 출연해 사물놀이, 농악, 한국무용, 국악 등 많은 종목을 선보였다. 그리 화려하지 못한 무대지만 참가학생들은 일반배우처럼 다양한 숨은 끼를 보이며 많은 관중들에게 감탄과 눈물과 웃음이 어우러진 즐거움과 대견함을 맛본 대회였다. 공연날은 미래 희망의 등불을 본 것처럼 흐뭇했고 모처럼 우리가락에 푹 빠져 국악의 멋을 느낄 수 있었던 하루였다. 또한 앞으로는 더 수준 높은 대회가 여러 부문에서 자주 열렸으면 하는 아쉬움도 남았다. 요즘 교육부는 2007년까지 4만명의 영재를 만들기로 했고 이를 위해 일선 교사들은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민속경연대회는 미래 꿈나무들에게 창의적인 끼와 착한 효심과 자신감의 영재를 기르는 훌륭한 기회라고 생각한다. 교육부와 교사들은 이처럼 수준 높은 발표회를 많이 열어 영재교육에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이다. 한 교육심리학자는 "미래 꿈나무들이 흰 종이 위에 자신들의 다양한 재주를 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