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생각은> 교감 자리 칸막이 필요
내가 25여 년의 교직 생활을 하는 동안 우리의 교육 현장인 학교는 엄청난 변화와 발전을 거듭해 왔다. 교수-학습의 질적 향상은 말할 것도 없고, 최신 학습 기자재의 보급이나 교실의 냉난방 시설 등 불과 십여 년 전까지만 해도 감히 상상도 할 수 없었던 것들이 이제 일반화 되고 있다. 과거에는 중간고사나 기말고사가 가까워지면 원지를 긁는, 소위 ‘까끌판’을 확보하기 위해 새벽에 출근했던 일도 있었고, 학기말에는 생활기록부를 펜으로 기록하다가 잉크를 엎지르는 바람에 몇 장을 다시 작성한 후 다른 학교로 전출한 교사의 도장을 받기 위해 퇴근 시간에 맞추어 시외버스 주차장에서 기다린 적도 있었다. 이제 이런 이야기들은 술자리에서나 가끔 들을 수 있는 이야기가 되어버렸다. 세상은 이렇게 변했다. 그런데도 학교에서는 아직도 광복 이후 60년의 기나긴 세월 동안 유일하게 변하지 않은 게 있다. 그게 바로 교감의 자리다. 일부 학교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초·중등학교 교감 자리는 교무실 한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짐작컨대 이것은 광복 전부터 교사들의 일거수일투족을 감시하기 위해서 교감(광복 전에는 부교장이라 했다고 함)을 교무실 중앙에 앉혀 놓은 게 아닌가 한다. 그러나 지
- 박철준 경남 합천고 교감
- 2006-05-23 1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