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제언> 교총 특위 활동을 마치면서
지난해 한국교총은 사상 처음으로 전자투표에 의해 회장, 부회장 러닝메이트 직선제를 실시했다. 선거제를 바꾼다는 자체가 하나의 혁신이었다. 전 회원 직선으로 선출된 ‘윤종건 회장’ 호는 교총이 안고 있는 모든 문제에 메스를 대는 개혁의지를 보이며 의욕적으로 출범했다. 그 첫 번째 중요핵심 과업으로 시작된 것이 ‘한국교총 혁신특위’ 사업이었다. 조직, 정책, 중점복지, 언론홍보혁신 등 4개 분야에 분과위원회를 두고 공모를 통해 전국에서 선발된 40여명의 혁신위원들은 지난해 12월 1차 전체회의 및 분과위원회를 시작으로 첫출발했다. 윤종건 회장과 혁신위원장인 이원희 수석부회장은 첫 회의에서 “이번 혁신위 활동은 고양이 목에 방울을 다는 것만큼 어려움이 따르더라도 결코 용두사미로 끝나지 않을 것”이라며 의지를 피력했다. 지난 7월 1일 위원회 마지막 회의에 이르기까지 그동안 혁신위원들은 교총이 안고 있는 현안과 문제점들을 검토하고 새로운 대안제시를 위해 지혜를 모았다. 지난 5,6년 동안 교총관련 회의와 워크숍에 여러 차례 참석한 경험이 있는 나로서도 이렇게 열성적인 모임은 처음이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진지한 모임이 계속됐다. 교총이 안고 있는 문제점 중 가장 역점
- 박증규 부산 혜광고 교사·교총 혁신특위 위원
- 2005-07-07 1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