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인적자원부는 2007학년도 대학 및 고교 입시부터 각종 경시.경연대회 수상실적을 반영하지 않도록 권장하고 670개 경시·경연대회 가운데 70%인 470개를 폐지하도록 유도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5일 사교육비 경감대책의 일환으로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학력경시.경연대회 개선방안'을 마련, 2년간 유예기간을 둔 뒤 2007학년도부터 적용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개선방안에서 교육과정과 연계된 특색있는 대회를 제외한 시·도교육청 경시·경연대회를 축소 또는 폐지하도록 하고 과학고, 국제고, 외국어고 등 특수목적고와 일반고 등의 고교 입학전형시 경시대회 수상실적을 반영하지 않도록 권장하기로 했다.
아울러 입시 수단화하고 있는 대학 주최 학력경시·경연대회도 한국대학교육협의회나 대학입학처장회의 등을 통해 자율적으로 축소하거나 폐지하도록 하며 수상실적을 반영하는 특기자 특별전형도 줄이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다만 국내외 권위있는 경시·경연대회 수상실적은 예외적으로 반영하도록 하되, 대학별 입학전형 세부계획과 홈페이지 등에 대학측이 반영하는 학력경시·경연대회를 미리 명시하도록 하기로 했다.
일반기관이나 단체가 주최하는 경시·경연대회에 대해서는 교육부나 시.도교육청의 후원 여부가 학생의 참여를 좌우한다고 판단, 연말까지 관련 규칙을 개정해 원칙적으로 국내외의 권위있는 대회에 대해서만 후원 명칭을 사용한다는 방침이다.
학원연합회나 언론사 등 각종 민간단체의 경시·경연대회 개최도 자제하도록 요청하고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이 주관·주최·후원하는 대회 입상실적만 학교생활기록부(학생부)에 기재하도록 각종 지침을 고치기로 했다.
교육부는 그러나 독후감 공모, 백일장, 공모전 형태의 문학상, 신춘문예, 전국체전, 국악.서예.기능 경진대회 등 입시와 직접 관련이 없고 선행학습 등 학교 교육과정에 악영향을 주지 않는 분야, 공인 외국어 능력시험, 전국 규모 경기연맹이 주최하는 체육대회, 특정 분야 소수만 참여하는 단순 경연대회는 폐지·축소 대상에서 제외된다고 강조했다.
교육부는 이번 개선방안을 통해 2002년 기준 총 670개 경시·경연대회 중 70%인 470여개 대회가 사라져 참여 학생이 58만명에서 17만명으로 줄고, 이에 따른 사교육비 절감액도 연간 7300억원에 달할 것으로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