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7 (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동아시아 평화를 위한 역사교육의 과제

한국이 솔선해 동아시아 역사인식의 공유를 목표로 내걸고 지역 내 상호의존의 역사를 청소년 교육의 대상으로 끌어들인 것은 여러모로 값진 시도라고 평가할 수 있다.

지난 2006년 한국정부는 고등학교 역사교육에 ‘동아시아사’를 선택과목으로 신설하기로 결정했다. 그에 따라 이제까지 다양한 논의와 교과서 집필을 거쳤고 마침내 2012년 새 학기부터 이 과목을 교육현장에 적용하기로 했다. 준비과정에서 관련 교과서가 과연 한국사를 넘어서 보편적인 동아시아 지역의 역사를 정리해낼 수 있을 것인가를 둘러싸고 교육계 안팎으로 수많은 문제점이 논의된 바 있다.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역사관점을 갖는 계기
한국사를 연장시킨 교류사나 관계사가 아닌 포괄적인 지역사가 가능할 것인가, 각국의 역사를 나열하는데 그치지 않을까, 동남아시아 국가 가운데 베트남만을 포함시키는 것은 학문적으로나 외교적으로 물의를 일으키지 않을까 등의 의문과 우려가 제기됐다. 현실적으로 이 과목은 한국의 주체성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에서 가능한 한 지역의 보편성을 살리는, 이른바 ‘한국식 동아시아사’로서 출발하게 됐다. 이 문제점에 대해서는 당분간 국내외로부터 많은 비판이 제기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점에도 불구하고 한국이 솔선해 동아시아 역사인식의 공유를 교육 목표로 내걸고 지역 내 상호의존의 역사를 청소년 교육의 대상으로 끌어들인 것은 여러모로 값진 시도라고 평가할 수 있다. 무엇보다 분쟁과 갈등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는 것처럼 보이는 동아시아 지역에서 평화를 위한 높은 차원의 역사교육이 중요하다는 것은 모두가 느끼고 있다. 이 과목이 교육현장에 적용되면서 청소년들이 보다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역사 관점과 현실 인식을 갖게 되기를 바란다.

평화로운 지역공동체 구축을 위한 반면교사
돌이켜보면 동아시아 지역의 현대사는 15년 간에 걸친 일본의 침략전쟁이 끝나면서 시작됐다. 연합국은 점령기구를 통해 일본사회에 새로운 질서를 끌어들였다. 극동군사재판에서 전쟁범죄자들을 심판하고 군국주의의 사상을 무력화시켰으며 천황 신격화 움직임을 철저히 금지시켰다. 그러나 냉전이 심화되고 한국의 6.25전쟁이 발발하면서 일본사회의 민주화 시도들은 중단되거나 후퇴됐다. 이러한 상황에서 1951년 9월 샌프란시스코에서 대일강화조약이 체결됐고 이듬해 4월 이 조약이 발효되면서 일본은 주권을 회복하게 됐다.
한편 중화민국은 1945년 8월 난징에 주둔해 있던 일본군 총사령관에게서 항복을 받았다. 그러나 전후 일본군의 무장 해제와 점령지 정리 등을 둘러싸고 공산당과 국민당 사이에 긴장이 고조됐다. 1946년 6월 국민당 군대가 본격적으로 공산당 지구를 침공하면서 전면적인 내전으로 확대됐다. 국민당 군대는 1949년 12월 중국 대륙에서 쫓겨나 타이완으로 후퇴해 중화민국 정부를 유지했고 중국 공산당은 1949년 10월 베이징에서 중화인민공화국 수립을 선포했다.
베트남에서는 1945년 8월 일본군이 패배하자마자 베트남독립동맹이 하노이를 지배했으며 9월에는 호치민을 주석으로 하는 베트남민주공화국을 수립했다. 그러나 식민 종주국 프랑스는 베트남의 독립을 인정하지 않고 전쟁 전의 지배권을 되찾기 위해 베트남 남부에 군대를 파견했다. 이리하여 베트남의 새로운 정부는 국가 독립을 지키기 위해 1946년 말부터 프랑스 군대에 맞서 전쟁을 시작해야 했다.
이렇게 새로 만들어진 동아시아 국가들은 갈등과 분쟁을 겪는 가운데 새로운 국제질서에 적응하면서 독립 국가를 발전시키고 유지해 왔다. ‘동아시아사’ 과목의 교육 과제는 바로 이러한 과거를 평화로운 지역공동체 구축을 위한 반면교사로 삼게 하는 일이다. 그리고 오늘날 세계적으로 놀라운 경제성장을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남아있는 사회적 불평등을 타파하고 친환경 경제체제를 구축해 이 지역을 풍요로운 공간으로 만들어가는 지혜를 생성하게 하는 일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