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30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부자가 되는 비법? 작은 실천의 차이

교사들은 안정적인 소득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자산관리 역시 안정적으로 이뤄질 것 같지만, 이와 정반대인 경우가 적지 않다. 이는 계획성 없는 돈 관리 때문이다. 실제 상담사례를 통해 어떠한 문제가 있으며, 어떻게 개선해야 할지 살펴본다.

사례의 최 교사가 다른 친구들에 비해 11년간 모아 놓은 자산이 적은 이유는 대단한 차이 때문이 아니다. 아주 작은 차이들이 시간의 힘으로 커다란 차이를 만들었다.

얼마를 버는지도, 얼마를 쓰는지도 모른다
상당수의 교사들이 자신의 실제 소득이 얼마인지 모른다. 그 이유는 소득이 불규칙해서가 아니다. 월급이 들어올 때 월급통장 잔액조회나 통장정리를 하지 않기 때문이다. 인터넷뱅킹에 한 번만 들어가도 얼마가 들어왔는지 금방 알 수 있지만 매달 빠져나가는 돈이 많다보니 들어온 금액보다는 나가는 금액에 신경 쓰기 바쁘다.
버는 돈이 얼마인지도 모르고 돈을 쓰기 때문에 지출 관리가 제대로 될 리 없다. 빚이 늘어나는 건 어찌 보면 당연하다. 실제로 아껴 쓴다고 이야기하는 교사들을 상담해보면 기록하지 않은 데서 오는 오류일 때가 많다. 최 교사 역시 본인이 생각하고 있던 지출과 실제로 상담 과정에서 파악해본 지출액의 차이가 월 100만 원 가까이 됐다. 매주 습관적으로 이용하는 마트와 외식으로 인한 비용도 만만치 않을뿐더러 아이들을 핑계로 배달음식도 자주 시켜먹고 있었다. 사소한 통화도 귀찮다고 핸드폰을 이용하다보니 집 전화는 쓰지도 않으면서 매달 기본요금만 꼬박꼬박 빠져나간다. 가전제품의 수가 많아서 남들보다 관리비도 더 나온다.
사치를 안 한다고 해서 돈을 아껴 쓰는 것이 아니다. 매달 푼돈으로 새나가는 잡동사니 소비가 결국은 평생 푼돈만 쓰면서 돈을 모을 수 없게 만든 것이다. 돈 관리를 제대로 하려면 소득과 지출에 대한 기록은 필수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