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한번 해보자고 큰맘 먹어 보았으나 작심삼일로 끝나는 대표적인 일 중 하나가 가계부 쓰기다. 이번 새해에는 점점 돈에 대해 불안함이 커지는 것을 극복하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가계부를 적어보자. 조금만 인내심을 발휘한다면 아마 생각보다 커다란 수확을 얻는 한 해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사실 돈에 대한 걱정의 상당수는 지금 당장 큰 일이 있어서라기보다는 알고 보면 굉장히 사소하고 단순한 데서 출발한다. 월급날을 떠올려보자. 월급날 기분이 어떠한가? 그다지 유쾌한 기분은 아닐 것이다. 하지만 과거에는 그렇지 않았다. 지금보다 가난한 시절이었지만 소득의 많고 적음에 상관없이 적어도 월급날만큼은 즐거웠다. 그래서 과거의 아버지들은 월급날에 기분 좋게 과일 한 봉지, 치킨 한 마리를 사들고 귀가했다. 돈을 많이 벌진 못했더라도 한 달 동안 고생한 대가를 받아들고 뿌듯한 보람을 충분히 느낄 수 있었다.
그러나 과거보다 소득이 많이 늘어난 지금의 월급날은 이전처럼 즐겁기는커녕 각종 결제금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당장 새해 첫 월급날도 지난달 겨울옷 구입과 송년 모임 등으로 평소보다 지출이 많았던 탓에 카드 결제금을 메우기 급급하다. 그나마 남은 돈도 대출이자와 공과금으로 금세 빠져나간다. 열심히 벌지만 가족에게 가져다주는 돈보다 은행에 가져다주는 돈이 더 많으니 즐거울 리가 없다. 실제로 월급날 통장 잔액이 며칠이나 가느냐는 질문에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씁쓸한 웃음을 짓는다.
가장 큰 원인은 신용카드 사용에 있다. 처음에는 지금 당장 지갑에서 돈을 꺼내 지출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해 주었을 뿐만 아니라, 지불결제를 한 달 유예시키면서 왠지 공짜로 원하는 것을 얻었다는 즐거움도 주었다. 그러나 한 달 지불 결제가 유예되었기 때문에 남아있어야 할 돈은 지갑 속에서 오래 가지 못했다. 공짜로 얻는 즐거움 때문에 소비가 방만해진 탓이다. 이렇게 신용카드를 일상적으로 사용하면서 이제는 신용구매가 아닌 외상구매를 하는 구조에 갇혀버렸다.
월급날의 즐거움을 없앤 두 번째 원인은 가계부를 쓰지 않는 것에서 비롯됐다. 이제는 가정경제를 기록해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진부하거나 구질구질 한 것으로 치부하는 경향까지 생겼다. 가계부를 쓰는 것이 나쁘지는 않으나 굳이 필요한 일이 아니라고 여기는 것이다. 하지만 기록하는 것과 기록하지 않는 것은 굉장히 큰 차이가 있다. “우리 집은 아낄 게 없어요, 쓰는 게 뻔해요”라고 하지만 카드 고지서가 나올 때마다 깜짝깜짝 놀란다. 쓰는 게 뻔하다면 카드 고지서를 보고 놀랄 이유가 없다. “쓴 만큼 나왔네”하고 넘어가는 것이 맞다. 고지서를 보고 놀라는 것은 뻔하지 않기 때문인 것이다.
가계부를 쓰면 새는 돈과 불안함을 동시에 없앨 수 있다 재무상담을 받은 어느 주부는 매주 가던 마트를 가지 않는 실천을 해보았다고 한다. 예산을 세워 지출하다가 마지막 주에 생활비가 너무 부족해서 큰맘 먹고 버텨보기로 했다는 것이다. 냉장고를 뒤져 식탁을 차리고 당장 급해 보였던 생활용품 구매도 조금 미뤘다.
그는 일주일간의 생활이 약간 불편하기는 했으나 그렇다고 큰 문제가 있었던 것은 아니었다고 한다. 오히려 냉장고에서 유통기한을 넘겨 쓰레기통으로 가던 것들이 사라졌고, 생활용품도 한 번 더 생각해보니 굳이 필요하지 않은 것들이 많았다고 한다. 결과적으로 냉장고를 뒤져야 하는 등의 불편함을 겪기는 했으되 예산대로 생활했다는 뿌듯함이 남았다. 굳이 쓰지 않아도 되는 지출을 그간 몇 만 원 이상 해왔다는 사실도 느껴 예산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실감했다고 한다. 약간 불편하긴 했지만 심리적으로 커다란 안정을 가질 수 있었던 것이다.
가계부는 단지 매일 들어오는 돈과 나가는 돈을 사후적으로 기록하는 금전출납부가 아니라, 미리 가정 경제의 틀을 파악하고 적절한 소비예산을 수립해 미래 재무목표를 세우는 도구이다. 가정경제가 과거와 달리 복잡해져서 머리로만 이 모든 것을 할 수 없기 때문에 기록을 통해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다.
또한 가계를 쓴다는 것은 단순히 체계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기록하면서 계속 의사결정 과정을 거치는 행위다. 즉, 미리 예산을 세우면서 필요한 지출과 불필요한 것을 가르고 충동지출을 하면서 불필요한 지출에 대해 경각심을 갖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즉, 기록을 통해 미래 재무목표를 수립함으로써 목표의식을 환기하고 당장의 한정된 소득이 미래를 위해 적절히 잘 사용되어야 함을 되새길 수 있다.
돈을 비롯한 모든 자원은 의사결정 과정 없이 사용될 경우 불필요하거나 중요하지 않은 일에 낭비되기 일쑤다. 가계부는 바로 그렇게 허탈하게 새나가는 돈을 만들지 않기 위해 필요한 도구다.
따라서 이미 충동적으로 지출한 돈을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예측하고 목표를 세우는 도구로 활용해야 한다. 그 과정에서 목표달성의 즐거운 동기부여가 전제된 상태에서 매월의 예산을 수립해 예산대로 생활하고 있는지를 점검해야 한다.
매월의 예산은 고정지출과 변동지출을 구분해서 세우는 것이 좋다. 고정지출은 매월 정기적으로 나가는 지출항목이다. 예를 들면 관리비와 식비, 교육비, 통신비, 교통비 등의 항목이다. 그에 비해 변동지출은 매월 다르게 소비되는 내역이다. 예컨대 제사나 생일, 각종 경조사와 명절 등에 지출되는 것들이다.
변동지출도 생각보다 연중 지출 규모가 작지 않다. 따져보면 거의 매달 새로운 변동지출 내용들이 있다. 미리 예산을 세워 놓지 않으면 매번 이번 한 번 만이라는 생각으로 큰돈이 새나갈 위험이 있다. 고정지출 예산은 수입이 가장 적은 달이라도 저축이 가능한 구조로 짜야 한다. 당연히 최소로 지출되도록 빠듯한 예산이 수립될 필요가 있다. 비정기 지출은 별도 통장을 만들어 예산대로 그 통장에서 꺼내 쓰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하지 않으면 가정 경제의 흐름은 저축이 불가능한 구조가 될 수밖에 없다.
이 모든 것을 기록을 통해 하나하나 해 나가다 보면 미래가 예측가능하게 굴러간다는 데서 오는 심리적 안정을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새나가는 돈들이 좀 더 중요한 사건에 제대로 쓰일 수 있기 때문에 재정적으로도 풍요로워 질 수 있다. -------------------------------------------------------------------------------------------- 1. 가계부는 금전출납부가 아니라 재무플래너! 많은 사람들이 가계부 쓰기를 실패하는 것은 가계부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 탓이 크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가계부를 돈을 쓰고 그 결과를 기록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가계부를 쓸 때는 가정 경제의 예측과 목표 수립, 목표 달성을 위한 계획 수립과 그에 따른 평가과정이 있어야 한다. 우선 최소 3년 이내의 목돈 지출에 대해서는 6개월 단위의 예측을 해야 하고, 장기적으로는 적어도 3년 단위의 커다란 재무사건들을 예측해야 한다. 그런 후, 예상되는 목돈 지출 사건들을 재무목표로 삼고 그에 맞춰 현재의 자산 부채 상황을 평가해 목표 달성 여부를 평가해야 한다.
2. 고정지출과 변동지출을 구분하자 일 년치 전체적인 가계 재무구조의 균형을 위해서는 매월의 고정지출과 연간 변동지출을 구분해서 소비지출을 파악하는 일이 중요하다. 가계부 쓰기 전에 고정지출이 최소화되도록 구조조정부터 하자. 보너스나 상여금이 없는 평달에도 저축이 가능한 구조가 균형상태이다. 연간 변동지출을 그때그때 월 소득에서 쓰려면 자금이 부족해 마이너스 통장에 의존해야 하거나 소비구조가 불규칙해져서 저축을 포기하게 된다. 따라서 변동지출 예산을 미리 수립해 놓고 그에 맞춰 자금을 따로 만들어 예산에 맞게 지출해야 한다. 이런 기준으로 매월의 소비 예산이 수립되어야 하고 그 예산에 맞춰 지출이 이뤄지고 있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매일의 지출기록을 하는 것이다. 가계 결제 시스템은 신용카드 대신 체크카드를 활용한 선결제 시스템으로 만들어 놓고 가계 재무설계를 해야 한다.
3. 잔액이 안 맞아도, 가끔 건너뛰어도 괜찮다 가계부를 쓰다보면 하루 이틀 빼먹기도 하고 그러면 뭔가 숫자가 잘 들어맞지 않게 된다. 자연스레 ‘가계부는 우리 집과 안 맞아’ 하면서 어느 순간 ‘어차피 카드 명세서에 다 나오는데 뭐’하면서 가계부를 안 써도 되는 이유를 찾기 시작한다. 신용카드를 사용하는 한 잔액 맞추는 것이 쉽지 않다. 물건은 이번 달에 들여놨는데 돈은 일 년 열두 달 빠져나가고 있으니 맞을 리가 없다. 따라서 잔액을 맞추려는 욕심은 버리자. 잔액이 안 맞는다고 해서 100만 원 넘게 안 맞는 것도 아닐 테고 어차피 대세에 큰 지장은 없다. 대신에 전체적인 현금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각 항목별로 어느 항목에 주로 돈을 쓰고 있는지 그리고 몇 월이 지출이 많고 몇 월이 지출이 적은지 등을 파악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