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4 (화)

  • 맑음동두천 24.3℃
  • 맑음강릉 28.0℃
  • 맑음서울 24.3℃
  • 맑음대전 25.3℃
  • 맑음대구 26.5℃
  • 맑음울산 24.0℃
  • 맑음광주 25.1℃
  • 맑음부산 21.7℃
  • 맑음고창 23.1℃
  • 맑음제주 20.9℃
  • 맑음강화 20.5℃
  • 맑음보은 24.3℃
  • 맑음금산 24.8℃
  • 맑음강진군 26.2℃
  • 맑음경주시 28.2℃
  • 맑음거제 24.3℃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정책

마음 다쳐 떠나려는 교원들…교실도 아프다

교원 ‘감정근로’ 시대다. 학생 생활지도 붕괴, 막말하는 학부모, 선후배와의 갈등이 교원들의 감정적, 심리적 스트레스를 가중시키고, 그로 인한 질병 휴‧면직도 늘고 있다.

교원의 감정근로란 학생, 학부모, 동료교원과의 대면업무에서 자신이 실제 느끼는 감정을 참고 사회‧학교가 원하는 교사상에 입각해 감정을 관리‧통제하며 직무를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승무원, 판매원, 상담원 등 전형적인 서비스업 종사자들에게서 출발한 개념이지만 교육도 ‘서비스’가 된 현재 이미 국‧내외 연구에 따르면 교원도 감정근로자로 분류되고 있다.

이와 관련, 한국교육신문이 지난 1일~9일 전국 유‧초‧중‧고 교원 1674명에게 실시한 ‘감정근로 인식조사’에 따르면 거의 모든 교원이 자신을 감정근로자로 인식했다. 그로 인한 스트레스(분노, 우울, 자존감 상실 등)가 퇴직을 심각히 고민할 만큼 가중되고 있으며 평소 수업과 학생 생활지도에도 악영향을 미친다고 고충을 호소했다. 마음 다친 교원들로 교실까지 아픈 현실이다. 하지만 현재 교원을 위한 힐링‧치유시스템은 거의 없다.

교원 1674명 ‘감정근로 인식조사’

교원 대다수 “감정근로 스트레스 심각”
수업, 생활지도에 악영향 미친다 92%
열에 일곱 명 이상은 “퇴직해야 하나”
상담‧치유시스템 부재…정부 대책 시급


“학생부 마감을 하는데 학부모가 자신이 적은 내용을 그대로 적어달라고 노골적으로 요구하더군요. 거짓내용이 많아 안 된다고 했더니 학교로 찾아와 난동을 피우는데 참 어이가 없 었습니다.”

“교문에서 방문록을 작성하랬다고 교무실로 쳐들어 와 ‘내가 세금내서 월급받는 주제에 왜 사람을 잡느냐’고 소리소리 지르는데…도대체 교사가 봉입니까?”

“수업시간에 낄낄거리고 학습태도가 안 좋아 벌칙을 주려 했더니 ‘웃는 것도 잘못이냐’며 대들더라고요. 정말 그만둬야 하나 한동안 고민이 컸습니다.”

“학생들이 카톡으로 쌍욕을 하고 성적인 발언까지 한 걸 알고 정말 수치스러웠지만 참고 또 참는 수밖에요….”

이번 인식조사에서 교원들의 감정근로 스트레스는 생각보다 훨씬 일상적이고,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조사결과 96.5%가 ‘나는 감정근로를 하고 있다’고 답했고, 그 스트레스(분노,우울, 자존감 상실 등)가 심각한 수준이라는 응답도 78.1%에 달했다. 일부 교사의 문제로 치부될 수 없음을 보여주는 결과다.
 
감정근로 스트레스를 주는 주 대상은 역시 학생(46.5%), 학부모(21.9%)였지만 상급자인 교장(감)과 동료교원이라는 응답도 각각 14.4%, 14.0%로 나타났다.

교원들은 감정근로 스트레스가 점점 가중되는 이유에 대해 ‘수요자중심 교육 강화와 교권 약화’(45.8%)를 꼽았다. 이어 ‘학생인권조례 제정 등에 따른 학생‧학부모의 권리의식 증대’(20.9%), ‘학교‧교원 문화와 현실과의 괴리’(17.1%)를 지적했다.

문제는 많은 교원이 일상적인 스트레스를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감정근로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방안에 대해 가장 많은 40.7%의 교원이 ‘별 방법이 없어 참는다’고 답했다. 다음으로 동료‧친구‧가족과 대화를 하거나(24.8%), 영화‧운동(18.7%), 술‧담배(9.9%)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런 방법으로 스트레스가 해소되지 않는다는 교원이 56.1%로 절반이 넘었다.

그리고 풀리지 않은 감정근로 스트레스는 교실에 그대로 투영되고 있다. 수업, 생활지도 등 교육활동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응답이 91.6%로 절대 다수였다. 퇴직까지도 심각히 고려한 적이 있다는 응답도 72.2%나 됐다.

상황이 이렇지만 아직 교육당국의 대책은 거의 없다. 지난해 9월부터 부산‧대구‧전남교육청과 서울 성북교육지원청이 ‘교원치유지원센터’를 시범운영하고, 일부 시도가 집단 상담프로그램을 극소수 교원에게 실시하는 정도다. 그나마 시범운영도 올 5월이면 끝나 추가 예산 확보 없이는 중단될 위기다. 실제로 교원치유 관련 교육부 특교예산은 지난해 3억원에서 올해 2억 4천만으로 되레 줄었다.

자연 대부분의 교원은 연수‧상담 등 치유프로그램에 참여해 본적이 없다. 치유 기회를 가졌다는 교원은 단 14.0%에 불과했다. 그 이유도 ‘별 도움이 안 될 것 같아서’(31.8%), ‘그런 정보를 알지 못해서’(31.6%)라는 응답이 다수였다.

감정근로 스트레스를 예방‧치유하기 위한 교육부‧교육청 등의 연수‧상담 시스템이 충분한가에 대해서도 7.6%만이 ‘그렇다’고 답했다. 결국 교육당국의 프로그램과 지원시스템이 거의 없다보니 정보를 알 수도 없고, 참여하려야 참여하기도 어렵다는 것이다.

사설상담소나 병원을 찾아야 하나 고민한 교원이 25.8%, 네 명 중 한명에 달하는 것은 이 때문이다.
배너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