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7 (토)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양

<4>日 “왜구의 주체는 조선인과 중국인”

침략성 은폐, 봉건국 대한 저항세력으로 왜곡 왜구 거점도 쓰시마 아닌 ‘제주, 북구주’로 표기   왜구  동아시아 중세사에서 왜구의 피해는 한·중·일관계사에서 중요한 쟁점이다. 왜구(倭寇)의 왜(倭)는 7세기 이전에 우리나라와 중국에서 일본을 가리키는 말이며 구(寇)는 노략질을 일삼는 도적떼라는 뜻에서 붙인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왜구라는 말은 광개토왕비문에서부터 등장하고 있지만, 보통은 왜구의 피해가 심했던 고려 말기 이후의 해적집단을 왜구라고 부르고 있다.
  왜구의 인적구성  왜구에 대한 정의는 대체로 한국, 북한, 중국, 일본이 해적집단으로 같게 서술하고 있으나 그 구성원은 다르게 보고 있다. 우리 중학교 ‘국사’교과서에는 ‘왜구는 일본의 쓰시마 섬에 근거를 둔 해적으로, 일찍부터 해안 지방에 침입하여 노략질을 하였다.’라고 서술하고 있으며, 북한의 중학교 ‘조선력사’교과서는 ‘왜구란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 동남아시아 여러 해안들에 싸다니면서 로략질을 일삼던 일본 해적의 무리’라고 기술하고 있다.
중국 역사교과서에는 “원조말기와 명조초기에 중국의 연해지구를 침략한 일본의 사무라이, 상인과 해적들을 왜구(倭寇)라고 불렀다.”고 한다. 일본의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도 ‘왜구란 조선반도 및 중국대륙 연안에 출몰했던 해적집단을 뜻한다’고 풀이하고 있다.
그런데 그 구성원에 있어서는 일본인 이외에 조선인도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심지어 14세기 중반 이후 다시 왜구의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구성원의 대부분이 중국인이었다.’고 서술하고 있다.(후쇼샤).
다만 중국교과서에 “명조중기에 해안방어가 늦추어지자 동남연해의 간상(奸商)배들은 왜구들을 끌어들여 강탈하게 하고는 장물을 같이 나누어가지곤 하였다.”고 하는 중국 간상배들을 일본 역사 교과서는 왜구로 해석하는 것으로 보인다.

일본사(三省堂, 實敎出版) 교과서에는 왜구를 “외교와 무역 관계에서 무역이 순조롭지 않을 경우 일어난 부수적인 문제”로 취급, 그 침략성을 은폐하고 있다. 심지어 왜구는 ‘고려의 피차별민’과 ‘중국인들’들도 참여한 반국가적인 집단이었다고 하면서, 마치 해적이 아니고 봉건국가의 억압에 저항한 세력인 것처럼 왜곡하고 있다.

왜구의 거점  왜구의 근거지는 막부의 통제력이 약한 변방 지역으로 고려와 가까운 기타규슈(北九州)의 섬들과 연안 지역들이었으며, 특히 쓰시마·이키·마쓰우라 섬이 중심이 되었다. 조선·중국과의 무역으로 생활해 온 이들은 상대국에 난이 일어나 무역을 할 수 없게 되면, 부대를 조직하고 해적이 되었다. 적게는 1-3척, 10인정도의 집단에서 크게는 약 400척, 3000인의 대집단이었으며, 해적들은 조선 반도와 중국 연해를 황폐화시키고 식료 등을 빼앗았으며 사람들을 납치, 노예로 팔기도 했다.
왜구는 15세기에는 쇠퇴했지만 16세기에 다시 활발해졌다. 이 당시 왜구는 명나라가 무역을 제한, 단속이 엄했으므로 무장을 하고 밀무역을 했다. 그런데 일본 중학교 역사교과서에는 왜구가 제주도와 북구주(北九州)를 거점으로 활동하였다고 서술하고 있다.(제국서원)
  왜구의 침탈  중학교 국사교과서에는 공민왕 때에 왜구가 고려에 자주 침입해 강화도까지 약탈당하고, 개경이 위협을 받을 정도였다고 하면서 “왜구의 침입으로 조세의 해상운송이 어려워져 국가 재정이 궁핍하고 되었고, 해안에서 멀리 떨어진 내륙까지 큰 피해를 입었다. 이 때 최영, 이성계 등이 나서서 왜구를 토벌하였고, 최무선은 화포를 사용하여 왜구를 격퇴하는데 큰 공을 세웠다. 이어서, 박위는 전함 100척을 이끌고 왜구의 소굴인 쓰시마 섬을 토벌하여 그 기세를 꺾었다.”고 서술하고 있다.
고등학교 국사교과서는 “14세기 중반부터 남쪽에서 왜구의 노략질이 계속되어 해안 지방을 황폐하게 하였다고 서술하고 있다. 원의 간섭 하에 국방력을 제대로 갖추기 어려웠던 고려는 초기에 효과적으로 왜구의 침입을 격퇴하지 못하였다. 주로 쓰시마 섬 및 규슈 서북부 지역에 근거를 둔 왜구는 부족한 식량을 고려에서 약탈하고자 자주 고려 해안에 침입하였고, 식량뿐 아니라 사람들까지도 약탈해 갔다.… 잦은 왜구의 침입에 따른 사회의 불안정은 시급히 해결해야 할 국가적 과제였다. 이에 고려가 적극적으로 왜구의 토벌 작전을 수행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최영과 이성계는 큰 전과를 올려 국민의 신망을 얻었다“고 서술하고 있다.

북한의 ‘조선력사’는 1350년 이후부터 왜구의 침략으로 “마을들이 불타고 재물이 약탈당했으며 많은 인민들이 목숨을 잃었다.”고 하면서 “바다가에 살고 있던 많은 사람들이 왜구의 만행을 피해 내륙지대로 옮겨 가 조선 남해안의 기름진 벌방지대는 차츰 인적이 드문 고장으로 되어버렸다.”고 서술하고 있다. 조선시대 들어와서도 왜구는 ‘조선남해와 조선서해안으로 수십 차례 기어들어 사람들을 죽이고 랍치하여 그들이 살던 집까지 불태워 버리는 만행을 감행하였다.’고 하면서 심지어 ‘일본 봉건령주들과 장사군놈들이 리조봉건정부가 무역을 할 것을 허락해 주자 그를 리용하여 우리나라의 군사비밀을 탐지하거나 왜구들과 짜고 해적행위까지 감행하였다.’고 하면서 왜구의 만행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일본사 교과서에는 왜구에 대한 서술 분량은 비교적 많은 편이다. 山川出版을 비롯한 여러 종류의 교과서에서는 ‘왜구의 약탈행위와 이로 인한 조선의 피해’라는 내용으로 왜구를 다루고 있어 비교적 객관적 으로 서술하고 있다. 왜구는 한반도 연해지역과 중국의 연해 지방을 습격, 살육과 약탈을 거듭하여 민중생활에 큰 피해를 주었다. 왜구는 가족과 무사들, 상인들로 조직하여 노략질을 일삼은 전문해적단이었다.
  왜구의 격퇴  북한의 중학교 ‘조선력사’교과서에는 고려말엽에 왜구와의 싸움에서 첫 승리를 이룩하고 역사에 소문난 1380년 8월의 진포해전을 다음과 같이 소개하고 있다.
“1380년 8월 수만명의 왜구가 500여척의 배에 나누어 타고 전라도 진포에 침입하였다. 해적의 무리들은 포구에 닻을 내리고 륙지에 기어올라 략탈을 감행하기 시작하였다. 놈들은 계룡산(충청남도 공주와 론산 사이)에 등지를 틀고 앉아 여러 고을들을 싸다니면서 갖은 만행을 다하는 한편 강탈한 곡식을 배로 실어 날랐다. 이때 놈들이 얼마나 덤벼 쳤던지 길가에 흘린 날 알만 하여도 발목이 묻힐 정도로 많았다고 한다. 고려함대에 위력한 화약무기가 장치된 것을 알 리 없었던 왜구들은 고려의 배가 수적으로 적은 것을 얕보고 덤벼들었다. 이때 고려함대가 갑자기 적들을 향하여 화포(화약을 쓰는 대포)를 쏘았다. 500여척의 적선은 흩어질 사이도 없이 몽땅 불길에 휩싸이고 짙은 연기는 진포의 하늘을 뒤덮었다. 해적 놈들은 갈팡질팡하다가 연방 날아오는 포탄에 맞아 너부러지고 더러는 불에 타죽거나 물에 빠져 죽었다.”

또한 ‘조선력사’ 교과서에는 조선시대에도 왜구를 징벌하기 위해 수군을 강화하고 왜구의 소굴인 쓰시마 공격을 단행한 이종무의 활약상을 다음과 같이 소개하고 있다.
“1419년 6월 19일 조선함대는 리종무의 지휘 밑에 거제도를 떠나 쓰시마로 향하였다. 그 다음날에 조선함대가 쓰시마의 입구에 이르렀을 때 부두에서는 쓰시마 해적 놈들이 길게 늘어서서 바라보고 있었다. 놈들은 약탈하러 갔던 자기편이 돌아오는 줄 알고 있었던 것이다. 조선함대가 불의에 놈들을 타격하자 넋을 잃은 해적 놈들은 뿔뿔이 도망쳤다. 첫 기습작전에서 성공한 쓰시마 공격군은 사람을 보내어 쓰시마 령주 놈에게 항복할 것을 요구하였다. 적들로부터 아무런 응답이 없자 쓰시마 공격군은 포구에 대한 수색작전을 벌려 적들의 배 124척을 불살라 버리고 34척을 로획하였으며 수많은 놈들을 소멸하거나 포로 하였다. 조선군대에 의하여 된 매를 얻어맞은 쓰시마 령주 놈은 마침내 항복하고야 말았다. 령주놈은 다시는 우리나라에 대한 해적행위를 하지 않겠다는 것과 조선에 잘 복종하겠다는 것을 맹세하면서 군대를 철수시켜 줄 것을 애절하였다. 적들의 항복을 받은 쓰시마 공격군은 승리의 기세 드높이 쓰시마를 떠나 7월 3일 거제도로 돌아왔다. 조선수군의 쓰시마 공격으로 치명적 타격을 받은 적들은 그후 100여 년 동안이나 감히 우리나라에 기여들 엄두를 내지 못하였다“.

일본 역사교과서는 ‘공격과 회유’라는 조선의 양면적인 왜구정책도 서술함으로써 객관성을 높이려 하고 있다. 하지만 조선의 왜구 정벌을 다루는데 “대마도(쓰시마)를 왜구의 근거지로 생각하여”라는 표현을 씀으로써 마치 본거지가 아닌데도 조선이 침략했다는 식의 기술을 하고 있다. 대마도를 왜구의 근거지라고 표현한 교과서는 그리 많지 않다.

왜구의 침입, 명(明)의 대응  14세기 중엽에는 중국에도 왜구가 자주 나타났다. 중국에서 피해가 컸던 곳은 주로 산동반도 일대였으며, 미곡을 약탈하고 사람을 납치했다.
  중국고대사교과서에는 당시 왜구의 피해상을 “1553년, 왜구는 대거 상륙하여 상해, 소주를 공략하고 심지어는 직접 남경에까지 이르기도 하였다. 그들은 도처에서 방화하고 죽이거나 강간, 약탈을 하는 나쁜 짓을 많이 하여 백 년 동안 번성하고 안락했던 곳이 시끄러운 동네가 될 정도였다.”고 소개하고 있다.

중국 초급중학교 역사교과서에는 민족 영웅 척계광(戚継光)이 유대유(兪大猷)와 함께 왜구를 물리친 것을 자세히 기술하고 있다. “원말명초에 일본의 무사(武士), 상인과 해적들이 늘 중국의 연해지구를 침략하였으며, 명조 중기에도 해안방어가 늦추어지자 동남연해의 간상배(奸商)들이 왜구들을 끌어들여 강탈하게 하고는 장물을 같이 나누어가지곤 하였다”고 서술하고 있다. 당시 명 정부에서는 젊은 장수 척계광을 절강 동부에 파견하여 왜구와 싸우게 하였다. 척계광은 왜구와 싸울 군대를 조직하였다. 엄격한 훈련을 거친 이 군대를 척가군(戚家軍)이라고 불렀으며 싸움에 용감하였고 규율이 엄하였다고 강조하고 있다.

특히 1561년 척가군은 “태주(台州)에서 왜구와 싸워 연전연승함으로써 절강의 왜구를 신속히 몰아냈다. 뒤이어 척계광은 척가군을 거느리고 복건, 광동에 가서 또다른 장수 유대유(兪大猷)와 함께 왜구를 물리쳤다. 그리하여 1565년에는 동남연해에 왜구는 완전히 소멸되었다” 설명하고 있다.
그런데 일본 고등학교 세계사(淸水書院) 교과서에는 “명의 해금정책을 시대 흐름에 역행하는 것으로 규정하고 왜구의 활동은 이러한 명의 정책을 돌파하는 사적 교역활동”이라 하여, 왜구 발생의 원인이 일본 내부의 문제가 아니라 명에 있는 것으로 서술하고 있다. 심지어 第一學習社 교과서는 왜구와 중국 특히 明과의 관계로만 서술할 뿐 13·14세기에 한반도 남부를 침입했던 왜구에 관해서는 언급조차 하지 않고 있다.

조선인, 중국인으로 국적까지 달라진 왜구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왜구의 인적구성, 활동 지역, 침탈 내용, 공격과 대응을 통해서 본 동아시아의 국제관계는 매우 복잡하고 그 해석이 다양하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14세기 중엽부터 16세기 중엽까지 동아시아 해역에서 해적활동을 함으로써 조선과 중국에 큰 피해를 가져다 준 왜구의 대부분은 전적으로 일본인이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은 고려 말 전기 왜구에는 ‘일본인 외에 조선인도 많이 포함되어 있다’고 하고, 조선 초기 후기 왜구에는 ‘구성원 대부분이 중국인이었다.’고 기술하고 있다. 이것은 왜구의 주체가 일본인이라는 사실을 왜곡, 은폐하려는 태도임을 우리는 분명히 인식해야 할 것이다. 

* 다음 회는 '임진왜란은 어떤 전쟁인가' 입니다.
/이찬희 한국교육개발원 선임연구위원
배너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