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7 (수)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숙제 면제 쿠폰, 이 방법은 쓰지 마세요!

"선생님, 반 아이들이 너무 소극적이라 활동을 제대로 안 해요. 이제는 스티커 주고, 사탕 주고, 모둠 점수 올려주는 것도 통하질 않아요. 어쩌죠?"

"음. 원래 주다 안 주면 아이들이 잘 안 하려고 해요. 또 먹는 거나 선물은 질리잖아요. 제가 하는 것처럼 주는 대신 빼주는 걸 해 봐요. 우리 예전에 대학에서 교육심리학 시간에 배운 거 있잖아요. 활동 잘 하면 숙제나 청소를 빼주거나, 그 애가 싫어하는 활동 하나를 안 해도 되는 쿠폰 같은 거 쓰면 바로 통할 걸요."

몇 년 전 근무했던 학교에서 학년 부장 교사를 하면서 젊은 후배 선생님들과 아이들 수업에 대해 많은 이야기를 했다. 초등학교 학령기 아이들의 특성상 활동에 집중하는 시간이 짧을 수밖에 없고 담임교사 1명이 거의 모든 과목을 진행하다 보니 똑같은 수업 방식에 있어서 지루함을 느끼는 아이들이 많아졌다. 때문에 아이들의 수업에 대한 적극적 참여를 독려하는 문제는 언제나 교사들의 고민거리였다.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위한 방법

지난해부터 잠시 현장에서 떠나 대학원에서 공부를 하다 보니 나의 교직 생활에 대한 다양한 반성을 하게 된다. 특히, 이번 학기에 수강한 교육심리학 강의에서는 아이들과 교사의 미묘한 행동의 원인과 수업 동기부여, 학습 과정 등과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를 접하면서 내가 지금까지 교사 생활을 하면서 아이들과의 교육적 경험 중 많은 것들이 잘못된 것이라는 걸 깨닫게 되었다. 

앞의 서두에서 나온 이야기처럼 나는 아이들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다양한 방법을 시도해왔다. 이때 주로 썼던 방법이 '강화(reinforcement)'인데, 어떤 행동을 하도록 무언가를 주거나 제거해주는 행위를 말한다. 좀 더 일반적인 표현으로 쓰자면 보상을 주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강화는 정적 강화와 부적 강화의 두 종류로 나뉘게 된다.

먼저, 정적 강화는 학습자들로 하여금 어떤 행동을 더 많이 할 수 있도록 무언가를 주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학습정리 퀴즈를 내서 맞춘 아이들에게 스티커를 주고, 스티커를 모으면 상품을 주는 것이라든지 학기말에 숙제를 빠짐없이 해 온 친구를 칭찬하기 위해 '성실상', '근면상'을 주는 것 등이 정적 강화의 대표적인 예이다.

반면에, 부적 강화는 정적 강화와 반대로 아이들이 하고 싶지 않은 무언가를 제거 해주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수학 문제를 모두 맞힌 학습자에게 숙제를 하기 싫을 때 안 할 수 있는 쿠폰을 준다든가, 수업시간 모둠활동을 할 때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모둠에게 청소당번을 빼주는 것 등이 부적강화에 속한다.

나는 초임교사 시절 주로 정적 강화를 많이 해왔다. 아이들에게 먹을 것을 주거나 상품을 주면 효과가 바로 와서 좋았고 선물이나 상장을 줄 때 나 역시 뿌듯함을 느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적 강화는 교사의 노력 없이는 결실을 맺기 어려웠다. 매번 보상으로 사탕이나 초콜릿을 주다 보니 그것을 좋아하는 아이들 빼고는 흥미가 떨어지기 시작했고, 먹을 것이 아닌 상장이나 문구류를 줘도 모든 아이들을 만족시킬 수는 없었다. 이런 것이 계속 반복되다 보니 교사인 나도 조금씩 지쳐 갔고, 다른 방법을 찾을 수밖에 없었다.

그 때 내가 발견한 방법이 부적 강화였다. 활동에 잘 참여하는 아이들에게 청소를 빼주고, 일주일에 3번 쓰는 일기 중 1편을 안 쓸 수 있는 권리를 부여했다. 또, 체험학습에 가는 주가 되면 그 전주에 가장 성실하게 수업을 참여한 아이에게 귀찮을 수 있는 체험학습 학습지 작성을 안 해도 되는 쿠폰을 제공했다.

이 방법은 너무나도 잘 통했다. 아이들은 사탕을 하나 먹는 것보다 청소를 안 하고 집에 빨리 가는 것을 원했고, 일기 1편을 쓸 시간에 집에서 게임을 하면 더 좋았기 때문에 일기 면제 쿠폰을 얻기 위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교사인 나도 매우 편했다. 정적 강화는 교사인 내가 나름대로 아이들에게 무언가를 주기 위해 간식이나 상품을 준비해야 했고, 개인 점수나 모둠 점수를 줄 때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노력도 필요했다. 하지만 부적 강화는 아이에게 줄 강화물을 준비할 필요도 없었고, 체계적인 계획과 관리보다는 그 때 그 때 기분 내킬 때 쿠폰만 주면 되는 것이라 편할 수밖에 없던 것이다.

교육심리학 강의를 통해 얻은 뜻밖의 교훈 

나는 내가 쓰는 부적 강화의 방법이 교사도 편안하고 학생도 즐거운 '윈윈'의 유익한 방법이라고 느꼈다. 하지만 대학원 교육심리학 수업에서 강화에 대한 강의를 듣고 난 후 나의 교육방법을 반성할 수밖에 없었다. 내가 써왔던 부적 강화가 학습자에게 '0'이 되는 방법이었던 것이다.

"아이들이 의미 있게 한 가지 활동을 하게 하려고 부적 강화를 쓰게 되면 그 아이는 또 다른 의미 있는 활동 한 가지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잃게 되요. 즉, 1-1= 0이 되는 거죠."

교육심리학 교수님의 말에 나는 뒷머리를 한 대 맞은 것 같은 느낌이었다. 내가 아이들에게 '0'이 되는 교육방법을 써왔고, 심지어 다른 선생님에게도 추천했다고 생각하니 씁쓸했다. 생각해보니 아이들에게 주었던 '면제 쿠폰'의 대상은 모두 교육적으로 의미가 있기 때문에 하고 있는 활동이었다.

아이들의 일상생활을 기록하는 일기를 통해 교사가 아이를 이해할 수 있고, 아이들도 자신의 하루 일과를 되돌아보는 시간을 갖는다.

또, 청소를 통해 책임감과 협동심, 나아가 본인이 사용하고 있는 장소에 대한 애착감이 생기기도 하며, 체험학습에서 작성하는 학습지는 아이들에게 단순한 학교 밖의 공간인 박물관과 유물·유적지를 의미 있는 배움의 장소로 만들 수 있다. 이런 의미 있는 활동들을 못하게 하는 것을 상이라고 주고 있었다니... 나의 편안함과 좁은 식견으로 많은 아이들의 교육 기회를 앗아갔다는 것에 부끄러움이 밀려왔다.

"그런데, 정적 강화는 교사가 노력해서 의미 있는 강화물을 제공하면 부적 강화와는 다르게 1+1이 될 수 있어요. 원하는 활동도 할 수 있고 아이들에게 의미 있는 보상도 줄 수 있지요."

나는 수업이 끝나고 '교사가 노력해서'라는 머릿속에서 자꾸만 맴돌았다. 교수님의 강의를 통해 내가 얻은 교훈은 되도록 부적 강화를 쓰지 않아야 한다는 점과 더불어 내가 선생님이 되어 처음 교육을 시작했을 때의 진심 어린 마음을 잊은 채 살고 있었다는 점이었다.

초등학교 교실에서 1+1이 되는 교육을 위한 팁

정적 강화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학습자에게 의미 있는 강화물을 만드는 것이다. 나는 강의를 듣고, 나의 초임교사 시절을 떠올려보기로 했다. 그 때의 교육에 대한 열정을 다시 기억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예전에 수업했던 학습 자료도 뒤져보고 활동했던 사진들도 찾아보면서 내가 사용한 '의미 있는 강화물'에 대한 기억을 더듬었다. 역시나 교사 생활을 돌아보니 '1+1이 되는 교육'을 위한 다양한 활동들을 새록새록 기억해낼 수 있었다. 교사로서 경력이 쌓이면서 학교업무에 지치고, 아이들, 학부모와의 관계 속에서 다양한 일들을 경험하고 해결해내가면서 그 시절의 나를 잊고 있던 것뿐이었다. 

내가 해왔던 초등학교 교실에서의 교육 팁을 3가지 덧붙인다. 이 방법을 통해 조금이나마 아이들의 참여, 의미 있는 교육활동을 고민하는 교육자 또는 학부모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1. 적극적인 발표 또는 경청에 대한 보상으로 친구들의 발표를 듣고 심사위원이 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 이 방법은 주로 고학년(5~6학년) 국어, 사회, 도덕 등의 발표수업에 적용하기 쉽다. 발표수업의 가장 큰 문제는 아이들이 자신의 발표를 제외한 다른 친구들의 발표를 잘 듣지 않는다는 것에 있다.

따라서 심사위원이 되어 친구의 발표를 듣고, 감상평을 하게 하면 자연스레 친구들의 발표를 열심히 듣게 되고, 조리 있게 말하려고 노력한다(당시에 가수 오디션 프로그램이 유행해서 아이들 사이에서 심사위원에 대한 동경이 매우 컸다).

2. 숙제나 학습지 등을 성실하게 작성했을 때 일일 청소반장 또는 일일 급식반장 역할을 부여한다.
- 이 방법은 중학년(3~4학년)에게 매우 요긴하게 쓰인다. 이 시기 아이들에게 근면과 성실은 사회성 발달의 요소로서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청소를 할 때 무임승차를 하거나 급식시간에 질서를 잘 지키지 않는 행동을 하는 아이와 성실한 아이들 간의 마찰이 자주 생기게 된다.

상대적으로 성실함이 부족한 친구들에게 청소반장이나 급식반장 역할을 부여한다면 근면성을 가진 아이들의 행동을 유심히 관찰할 수 있고, '반장'이라는 역할에 대한 책임감이 생겨 자신도 청소를 잘 하려고 노력하고 급식시간에도 질서를 잘 지키려고 노력하게 된다.

3. 수업활동에 집중력 있게 참여하고 친구들을 잘 배려하는 학습자에게 담임교사와 식사권 또는 담임교사와 산책권을 준다.
- 이 방법은 '교사' 그 자체가 아이들에게 강화물이 되는 것이다. 아이들이 교사와 함께 있는 것을 행복해할 때만 효과를 발휘한다. 그러므로 어느 정도 아이들과 라포가 형성되는 2학기 이후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만약 아이들이 선생님을 무서워하거나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면 벌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유념해야 한다).

특히, 공개적으로 말하는 것을 부담스러워하는 소극적 아이에게 이 방법을 씀으로써 아이와 상담할 수 있는 시간을 갖게 되어 그 아이를 잘 이해할 수 있으며 무한한 칭찬을 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