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월요논단] 수석교사 정원 확보부터

지식정보화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미래인재상이 새롭게 요구되면서 공교육 수업 패러다임이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다. 엄밀히 말하면 공교육 정상화를 통한 수업 본질로의 화려한 귀향이라는 표현이 더 맞을 듯싶다. 

수업혁신 견인할 전문가 부족
 
수업혁신은 단편지식 암기와 문제풀이 중심으로 이뤄진 비본질적 수업에서 벗어나 사고력 중심 수업의 본질로 돌아가자는 말이다. 시도교육청이 다양한 이름의 수업혁신 시스템 구축에 많은 예산을 쏟는 이유 또한 수업 본질 회복이 미래인재 양성의 질을 결정하는 핵심 열쇠라고 보기 때문이다. 
 
그러나 많은 예산을 쏟아붓고도 교실 수업의 질 개선을 위한 2차 포스트 수업혁신은 거의 이뤄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주된 원인으로 교단문화가 교원의 본질적 임무인 교수연구활동보다는 관리행정분야에 대한 관심으로 비대하게 고착화 된 점을 들 수 있겠다. 그러다보니 2차 포스트 수업혁신을 견인할 교수학습전문가가 턱없이 부족해 변화를 이끌어갈 동력 자체가 부족한 것이다.
 
수업혁신을 위한 새로운 교원 자격으로 등장한 수석교사는 관리행정을 임무로 하는 교장·교감 직렬과는 다른 교수연구 직렬의 새로운 자격이다. 직접 수업을 담당한다는 점에서 교사와 같다고 할 수 있으나 교사와 수석교사에게 수업의 성격과 결은 분명 다르다.
 
수업혁신은 일반적인 교사 수업의 문제점과 그에 따른 개선의 필요성이 분명하게 전제돼 있는 용어다. 수석교사는 바로 이러한 교사의 수업혁신을 위해 교수연구활동에 대한 질적 지원 임무를 수행해야 한다는 의미다. 교사가 운영하는 일반 수업은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배당받은 양적 차원의 수업 시수라면, 수석교사에게 있어 수업은 교사의 양적 수업에 대한 질적 개선을 위한 차원으로 결이 다르다고 할 수 있겠다. 
 
그런데 현재 수업혁신 정책은 정책 내용은 있으나 이를 수행할 수석교사라는 인적자원은 활성화되지 않은 채 추진되고 있다. 그러다보니 현장에 뿌리내리지 못하는 앞뒤가 맞지 않는 엇박자 정책이 되는 것이다. 새로운 정책이 도입·실행될 때는 우선 이를 이끌어나갈 수 있는 우수한 인적자원부터 확보해야 한다. 
 
제도 정착을 위한 진정성 보여야

그리고 제도적 정착에 필요한 행·재정적 지원 시스템이 동시에 작동해야 한다. 
 
지금의 수업혁신을 주도할 동력인 수석교사의 선발 확대와 정원 확보 없이는 제 아무리 화려한 슬로건을 내세운다한들 정책에 대한 진정성을 얻기 어렵다. 
 
모든 정책의 생명은 일관성과 진정성에 달려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교육부와 각 시도교육청은 수업 혁신을 주도적으로 이끌 수석교사의 정원과 선발을 확대해야 한다. 법으로 명시한 수석교사의 취지와 역할을 제대로 살리기 위해서라도 이를 서둘러야 한다. 그것이 정책의 진정성을 증명하는 길이다. 
 
수석교사가 법률에서만 존재하고 현장에서는 자리를 잃어가는 일이 생겨서는 안될 것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