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5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월요논단] 혁신교육의 스탬프

혁신 교육에 대한 연수를 받을 때 일이다. 강사는 혁신학교에서 운영하는 생태 텃밭을 사례로 들었다. 그 순간 그 텃밭에는 ‘혁신의 스탬프’가 찍혔다. 이어 다른 학교 예를 들었다. 혁신학교가 아닌 학교를 방문했는데 교장이 텃밭 자랑을 하며 ‘우리 학교도 이미 혁신학교’라고 하더란다. 강사는 ‘학부모들만 고생했겠지요’라며 설명했다. 아쉽게 그 학교의 텃밭은 ‘혁신의 스탬프’를 받지 못했다. 혁신학교가 아닌 학교의 생태 텃밭은 학생들이 희망에 따라 분양 받아 직접 심고 즐겁게 가꾸지 않을 것이라 예단한 것이다.

혁신학교 따라 하기가 혁신인가 

‘계절 학교’ 운영을 학교 혁신의 자랑으로 내세우는 학교들도 있다. ‘계절 학교’란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 중 주로 동아리활동 시간을 모아 집중 운영하는 것을 말한다. ‘혁신의 스탬프’가 찍힌 대표적 활동이다.
 
‘계절 학교’에서는 요리와 목공 등 만들기 활동과 등반, 탁구 등 운동 활동을 몇 일간 몰아서 한다. 3일간 계속 등반이나 요리를 하는 식이다. 반면 일반 학교에서는 같은 활동을 매주 한 두 시간씩 나눠 운영한다. 여기서 무엇이 혁신인지 참으로 모를 일이다. 
 
교사들은 학생들의 기초기본학습을 위해 받아쓰기도 하고 학습지를 만들어 보충학습도 한다. 하지만 이런 활동에 ‘씨앗 학습’이라는 용어를 쓰지 않으면 ‘혁신 참 잘했어요!’라는 스탬프를 받지 못할 수도 있다. 좀 우스운 이야기지만 모임의 명칭을 ‘다모임’으로 한 학교는 혁신의 스탬프를 받고, ‘전교직원회의’를 민주적으로 운영하는 학교는 혁신으로 인정받지 못할 수도 있다.
 
학교문화혁신 정책이 있다. 시도교육청들이 혁신학교 일반화를 위해 추진하는 정책이다. 대부분 경기도 교육청이 추진한 내용을 경전처럼 본 따는 수준이다. 그러다보니 학교문화혁신 정책이 살아 움직이지 못하고 화석화 돼 버렸다. 지난 10년간 차츰 굳어져 이제는 ‘다양한 빛깔의 학교 혁신’이 가능할 지 걱정이다.
 
수업혁신도 마찬가지다. 학교에서는 오래 전부터 ‘학습자 중심으로 수업해야 한다’, ‘자유로운 수업안 양식을 도입하자’, ‘학생 활동 중심으로 수업을 바라보자’는 인식이 상식으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럼에도 ‘수업 협의회’를 ‘수업 코칭’으로, ‘수업 공개’를 ‘수업 나눔’으로 그리고 ‘수업연구회’를 ‘전문적학습공동체’라 명명해야 혁신의 스탬프를 받을 수 있다. 

혁신 교육 현장이 혁신학교일 뿐
 
심지어 10년 전 혁신 수업 유형으로 도입된 하브루타 수업이나 거꾸로 수업의 한계를 얘기하면 수업 혁신을 반대하는 교사로 몰릴 수 있다. 
 
진정 학교를 혁신하려면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 도대체 ‘혁신학교’와 ‘혁신 학교 아닌 학교’에 어떤 다름이 있는가? 
 
핵심은 민주적 소통이다. 어떤 방식으로 교사회, 학부모회, 학생회를 운영하든 학교 구성원을 존중하고 충분히 소통한다면 그게 바로 혁신 교육의 현장이다. 혁신학교에서 하는 것이 혁신 교육이 아니고, 혁신 교육을 하는 곳이 혁신 학교다. 굳이 ‘혁신의 스탬프’가 필요하다면 혁신학교 따라 하기가 아닌, 이미 여러 학교가 진행하는 다양한 혁신 사례를 찾아 진하게 찍어줄 일이다. 그것이 학교문화혁신 성공의 지름길이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