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30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시론>‘뜨거운 감자’ 등교시간

참 아름다운 길이다. 화사한 벚꽃 길이 아니다. 불타는 단풍 터널도 아니다. 생동감 넘치는 길이다. 희망찬 길이다. 바로 청소년 학생 유치원 어린이들의 등굣길이다. 9월 새 학기를 맞이한 상쾌한 이른 아침이다.

귀에 이어폰을 꼽고 어깨에 책가방을 메고 힘차게 걷는 중고생들 여학생들의 머릿결이 찰랑댄다. 삼삼오오 떼를 지어 학교를 향해 힘차게 걸어간다. 남학생과 여학생이 정답게 이야기를 나누며 가기도 한다. 한 고등학생에게 “몇 시에 등교하느냐”고 물었다. 7시 50분이라고 했다. 몇몇 남자고등학생들은 학교 통학버스에 오르고 있었다. 시계를 보니 7시다.

한 중학교 교문 앞에서는 많은 학생들이 신호등을 기다리고 있고 등굣길 지도를 하는 선생님의 호루라기 소리와 노란 신호 깃발이 요란하다. 8시가 지나자 교문은 적막감마저 돌았다. 등교시간이 끝난 것이다. 이제 초등학교 교문이 분주해졌다. 형형색색 예쁜 가방을 메고 재잘대며 교문을 들어서는 어린이들이 세상을 밝게 꾸며주고 있다. 한 어린이가 교문 앞 근처 아파트 길에 주저앉아 울고 있다. “왜 우느냐?” “배가 아파요.” 책가방의 이름표를 보니 1학년이다.

“몇 시까지 학교에 가야 하지?” “8시 30분이요.” 전화를 해주려고 했더니 “하지 말라”며 일어나서 학교를 향해 힘겹게 걸어갔다. 초등학생 등교시간이 지나자 유치원 어린이가 손잡고 걸어온다. 같은 아파트에 사는 어린이다. 반갑게 인사를 했다. “몇 시까지 가느냐?” 고 물었더니 “9시요”라고 했다. 아직 30분전이다. 유치원 어린이가 스스로 30분 전에 등교하는 참으로 기특한 현장이다.

6․4 지방선거 후 이른바 진보성향 교육감인 이재정 경기도교육감은 “맞벌이 부부 곤란” 등 반대에도 불구하고 “학생 등교시간을 2학기부터 9시로 하라”고 지시했다. 김승환 전라북도교육감도 “30분씩 늦추어가는 점진적 방법으로 9시 등교를 추진하라”고 했다. 그러면서도 고3 학생은 일률적으로 하지 말고 학교장 자율적 판단에 맡기라고 했다. 그러나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와 반대하는 학부모 측에서는 “법치(法治)가 아닌 인치(人治)이며 자율이 아닌 강요이고 하향식 관치행정이라”며 “교육근본과 학교의 근간을 흔드는 9시 등교는 철회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바야흐로 9시 등교가 교육계의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것이다.

등교시간이 8시든 9시든 다 같이 장단점이 있다. 한 인문계고등학교장은 9시 등교에 대하여 냉소적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초중등교육법시행령 제49조에는 등교시간은 학교장의 고유권한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법 이전에 교육적 관점에서 등교시간을 조명해볼 필요가 있다. 야간 근무자가 아니라면 아침에 일찍 일어나서 활동하는 것이 근면 성실한 사람들의 일상이다. 서양격언에 '일찍 일어나는 새가 벌레를 잡는다(The early bird catches the worm)'고 했다. 등교시간을 늦출 것이 아니라 차라리 ‘하교시간’을 앞당길 일이다.

‘날이 밝자 배를 풀고 돛을 달았으나…’ 이순신의 난중일기에 나오는 구절이다. 만일 늘어지게 늦잠 자고 아침 9시에 돛을 달았다면 어찌되었을까?

세종대왕은 새벽 4시 경(寅時)에 일어나 해 뜰 무렵(平明)에 군신(群臣)의 조회를 받았다고 한다. 광화문 광장에 세종대왕, 이순신 장군 동상이 그냥 세워진 것이 아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