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9 (월)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인터뷰

“나태주 시인의 위로, 지혜 나누고 싶었죠”

김예원 교사 인터뷰

팬심 담은 편지로 시작된
나태주 시인과의 인연…
나이 뛰어넘은 우정과 대화
스물두 번의 울림, 책에 담아

 

많이 닮았다. 교사라는 점이 같았고, 철학, 인문, 시에 관심이 많다는 점이 비슷했다. ‘아이는 아무 이유 없이 사랑받을 존재’라는 교육 철학이 통했다. 이름난 맛집에서 맛있는 음식을 맛보는 것보다 차라리 그 돈으로 전시회 티켓을 사는 게 낫다는 생각이 맞닿았다. 어쩜 이렇게 말이 잘 통할 수 있는지 스스로 신기해할 만큼.

 

45년생 나태주 시인, 그리고 95년생 김예원 교사(부산시교육청 소속)는 서로에게 둘도 없는 ‘친구’다. ‘오십 해의 간극’을 뛰어넘어 6년째 우정을 이어가는 중이다.

 

두 사람은 최근 에세이 ‘품으려 하니 모두가 꽃이었습니다’를 함께 펴냈다.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나눴던 수많은 이야기 중에 김 교사에게 울림을 준 나태주 시인의 말을 골라 담았다. 사랑, 죽음, 사회생활, 인간관계 등 우리가 살면서 맞닥뜨리는 질문에 대한 답을 두 사람의 대화에서 구할 수 있다.

 

김 교사는 “취업 준비를 하고 직장에 첫발을 내딛는 과정에서 시인님이 해주신 많은 위로와 조언은 큰 힘이 됐다”며 “시인님에게 받았던 격려와 위로, 지혜를 나누고 싶었다”고 말했다.

 

두 사람의 인연은 팬레터 한 통에서 시작했다. 대학생일 때 나태주 시인의 시에 푹 빠져 감사 편지를 썼다. 영문학을 공부하면서 좋았던 영시 두 편도 동봉했다.

 

김 교사는 “문득 ‘많은 사람을 위로해 주는 시인님은 제대로 위로받고 계실까?’라는 생각이 들었다”며 “글을 좋아하는 분에게는 글이 가장 큰 위안일 것 같아 시를 보내 드렸다”고 전했다.

 

“시 한 편은 번역본이 있었는데, 다른 한 편은 없었어요. 직접 번역하고 혹시라도 오역이 있을까 봐 한 줄, 한 줄, 저만의 설명을 달았어요. 그리고 크리스마스이브에 답장을 받았죠.”

 

이들의 대화에선 나이 차이가 느껴지지 않는다. 상대 이야기에 귀 기울이고 인정하고 수용한다. 서로 다른 생각도 대화를 이어가면서 중간 지점을 찾거나 상대를 존중한다.

 

김 교사는 “초등학교 교장으로 퇴임한 시인님은 어떨 땐 관리자의 관점에서, 때로는 동료 교사의 관점에서, 아빠의 관점에서 조언해주신다”고 귀띔했다.

 

“첫 출근하고 얼마 지나지 않았을 무렵, 선배 선생님이 해주신 말씀이 지금까지도 큰 힘이 돼요. 일을 계속하다 보면 도저히 못 버티겠다 싶을 만큼 힘든 순간이 올 텐데, 그때 다른 사람들은 그런 순간을 어떻게 넘기는지 지켜보라고요. 어떤 어려움을 겪든 너의 편이 돼주는 사람이 한 명은 있을 테니, 걱정하지 말라는 말씀이었죠. 시인님께 여쭸어요. 정년까지 직장 생활하면서 힘들 때 시인님의 손을 잡아 준 사람이 있었는지를요.”

 

나태주 시인은 "있긴 했지만, 오래도록 그런 사람이 없었다"고 고백한다. 대신 시에 기대 견디고, 욕심내지 않으려 했다고. 김 교사는 그동안 배려심 많고 존경스러운 동료를 만나 감사함을 느끼면서도 이내 우리 인생에서 홀로 서서 이겨내야 할 때가 훨씬 더 많다는 걸 깨닫는다. 나태주 시인이 말하는 ‘욕심내지 않기’는 이렇다.

 

‘더 나아가기 위한 특별한 과업을 하지 않는 거야. 예를 들어 내가 교장이었으니 특별한 교육청 사업을 하면 점수를 따로 더 나아갈 수 있었어. 근데 그러지 않았어. 그저 교장 자리만 지켜냈어. 무리하게 욕심내지 않고 거기까지로 만족한 거지.’

 

김 교사는 “너무 힘들 땐 잘하려고 하지 않고 오늘을 버텨보자고 생각했다”면서 “오늘을 버티고 넘기고 나면 일주일이 지났고, 또 잊히더라”라고 했다.

 

직장 일을 하면서 글을 쓰는 김 교사에게 주변에선 ‘어떻게 그렇게 할 수 있느냐’고 묻는다. 그때마다 그는 말한다. 직장에서 받은 스트레스는 글을 쓰면서 풀고, 글 쓰는 과정에서 힘이 들면 다시 학교에서 아이들을 만나 에너지를 받는다고. ‘하고 싶은 일과 해야 할 일의 선순환’이다.

 

김 교사는 “N잡러인 시인님도 때론 힘에 부쳐 보이지만, 모든 일 자체가 시인님에게 원동력이 돼주는 것처럼 보였다”고 말했다.

 

“권태감은 누구에게나 와요. 그럴 때 내가 좋아하는 일을 찾아 환기를 시키고, ‘나한테만 일어나는 일이 아니다’라고 생각해요. 즐겁게 이겨내려고 노력하죠. 시인님과 함께 세상에 꼭 필요한 책을 쓰자, 하면서 썼어요. 사회생활에 어려움을 느끼는 직장인, 진로를 고민하는 대학생, 가치관을 정립할 시기에 있는 청소년에게도 도움이 될 거라 믿어요.”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