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부여 내산초등학교 교정에 벚꽃이 활짝 피었습니다. 가던 길 멈추고 교정으로 들어와 벚꽃 경치에 흠뻑 빠져 봅니다. 오천초등학교(교장 한상윤) 교직원들이 금주 직원 체육행사를 벚꽃구경으로 바꿨습니다. 이 때쯤 만개할 것이라고 판단한 교장선생님이 제안해서 왔는데 역시 만발한 상태였습니다. '벚꽃축제' 에드벌룬이 우리를 반겨 맞아 주었습니다.
2006-04-13 09:16현직 교감이 또 동문이 교육칼럼집을 냈다고 하니 모교인 한성대신문사에서 '자랑스런 동문' 인터뷰 요청이 들어왔다. 기자를 직접 만나 질문의 초점을 보니 교직 입문 동기, 교육 경력, 국문과 지원 동기, 학창 시절 학업에 관한 에피소드, 칼럼집을 발간하게 된 까닭, 후배들에게 주고 싶은 말, 후배들에게 주는 취업에 대한 조언 등으로 이어진다. 나도 학창시절 기자 생활을 했다며 중학교 교지에 실린 수필, 수고(水高) 학보 기자, 인천교육대학 방송실(ITBS) 보도부장 시절 이야기를 자랑스럽게 들려주니 요즘 대학은 그 때와는 사뭇 다르다고 대학 생활의 단면을 들려준다. 즉, 학보사 기자가 3D 업종 중의 하나라는 것이다. 그래서 학보사에 들어가기 위한 과거 10:1의 경쟁률은 옛날 이야기이고 지금은 겨우 2:1 정도라고 한다. 이유를 물어보니 신문 발행 때마다 시험기간과 겹쳐 남들은 시험 공부하는데 기사 작성하느라 시간을 빼앗기고, 진보 세력이 진출하여 급진적인 내용을 써야 하는데 그것도 별 반응이 없어 시들하고 광고도 받지 않아 돈도 마음대로(?) 못 쓰고…. 3D의 나머지 둘은 학생회 임원과 동아리 활동이라고 알려 준다. 그 곳에 가입하여 쓸데없이(?) 시간을
2006-04-13 09:16노래할 때에는 말 할 때보다 많은 양의 호흡이 필요하므로 폐가 최대한 확장 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다. 그러나 학생들에게는 복잡한 설명을 할 수 없고, 단지 ‘노래 할 때 가슴을 조금 높게 하고 어깨는 낮게 하며, 뱃속 깊숙이 숨을 들이마시면 배와 옆구리, 등이 불룩해지는데 내쉴 때에도 가능하면 팽팽하게 하면서 노래하라’ 고 암시하는 정도에 그쳐야지 너무 강조하여 압박감을 주면 안 된다. 숨은 많이 들어 마셨다가 천천히 내뱉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컵이 배 위에서 떨어지지 않게 하는 체험을 해 보면 숨을 어떻게 천천히 내뱉어야 하는 지를 체험할 수가 있다. 그래서 마루 바닥 위에 누워서 숨을 풍선처럼 마음껏 들이켜서 횡경막을 팽팽하게 한 후, 5초 쯤 숨을 멈추어 횡경막의 존재를 의식하도록 한다. 이것을 두 세 번 한 다음, 이번에는 음정을 붙이면서, 처음에는 허밍(Hum)으로 해 본다. 허밍을 한 다음에는 각 모음을 사용하여 숨쉬기 조정을 연습한다.
2006-04-12 18:37교내 체육대회 예선전이 시작되자 선수들을 응원하기 위한 학생들의 아이디어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학급별로 다양한 도구를 활용하여 응원하는 것도 이색적이지만 급우들끼리 단체복을 맞춰 입고 단합을 과시하는 것도 시각적인 면에서 상당한 효과가 있을 듯 합니다.
2006-04-12 18:35친구들은 모두 색종이로 오리고 붙이고 재미나게 작품을 만드는데 떠들다 걸린 친구 한명 생각하는 의자에 앉게 되었어요. 둘씩 사이좋게 앉아 공부하는 오천초등학교(교장 한상윤) 2학년 친구들.
2006-04-12 18:34수학시간입니다. '왼쪽 수만큼 스티커를 붙이고 큰 수에 O표 하시오.'라는 공부를 합니다. 스티커를 떼어서 책에다 붙여야 하는데 일단 얼굴에 붙이고 봅니다. 못 말리는 악동들. 뭘 해도 귀엽습니다.
2006-04-12 18:34새 학년 새 학기가 시작된 지도 한 달 반이 지나고 있습니다. 새 학기의 분주함도 어느 정도 가라앉고 학교에선 어느 새 중간고사를 준비하는 아이들의 모습으로 분주합니다. 교정엔 화사한 벚꽃들이 아이들을 유혹해 점심시간이면 사진을 찍으며 학창시절의 추억을 만들어 가고 있는 모습이 예뻐 보입니다. 처음 아이들과 만나면 일 년 동안 학급운영과 관련된 이야기를 시작하고 조회와 종례 때의 인사말을 정합니다. 인사말을 정한다고 하니까 이상하게 생각할지 모르나 몇 십 년 동안 무의식적으로 사용해온 인사말을 바꿀 필요가 있다는 생각이 들어 기존의 인사말, ‘차렷, 경례, 감사합니다.’를 버리고 새로운 인사말을 만들어 사용하기로 했습니다. 처음 학급에서 쓰고자 하는 인사말을 이야기할 때의 아이들 반응이 참으로 묘합니다. “앞으로 우리 반에서 쓸 인사말은 ‘감사합니다.’가 아니라 ‘사랑합니다.’로 할까 한다.” 아닌 밤중에 홍두깨라고 ‘사랑합니다.’라는 말을 하고 아이들의 표정을 살펴보자 ‘어, 저건 또 뭐야.’, ‘사랑은 뭘 사랑해.’, ‘그냥 하지 뭘 바꾸겠다는 거야.’ 등 다양합니다. 그러한 표정은 담임을 맡고 새로운(아이들이 평상시 쓰는 것이 아닌) 인사말을 정한다고…
2006-04-11 21:58환경심사를 앞두고 게시판 정리를 맡은 아이들이 열심히 노력하고 있습니다. 도와지에 예쁜 글씨를 쓰고 갖가지 모양으로 접은 색종이를 부착합니다. 하루 일과의 대부분을 보내는 교실 환경을 스스로 정리하는 것도 중요한 교육활동의 하나랍니다. 게시판은 일종의 의사소통의 장으로서 정보를 수집하고 의견을 나누는 아이들만의 공간이기에 더욱 소중하겠지요. 그래서 아이들의 손길을 거친 게시판은 그야말로 개성이 살아 숨쉬는 자유로운 공간으로 다시 태어난답니다.
2006-04-10 15:11주말에 몰아친 황사를 말끔히 씻어주는 단비가 내리고 있습니다. 강력한 황사로 인해 바깥 출입도 마음대로 못하면서 답답한 주말을 보냈으나 꿀맛같은 비가 내리는 월요일 아침은 먼지가 씻겨나간 듯 상쾌하기 그지 없습니다. 삼삼오오 우산을 받쳐쓰고 등교하는 아이들의 발걸음도 가벼워 보입니다. 황사를 씻어주는 단비처럼 갈증에 시달리는 우리 교육에도 행복한 단비가 내리길 기원합니다.
2006-04-10 09:44요즈음 아이들 책 많이 읽지 않는다고들 한다. 하지만 가끔은 그런 말들이 우리 어른들이 지어낸 공허한 말이 아닌가 싶을 때가 많다. 도서관을 새롭게 정비하고 아이들이 책을 빌려 볼 수 있는 환경을 제대로 갖춘 지 벌써 1년이 지났다. 새삼 아이들이 점심시간이나 방과 후 시간에 도서관에서 책을 빌리기 위해 줄을 서 있는 것을 보고 있으면 도서관을 맡고 있는 담당자로서 마음이 뿌듯하다. 특히 신간이나 인기 있는 책들을 서로 빌려가려고 싸우는 경우도 종종 있어, 속으로 즐거운 비명을 지르기도 한다. 제대로 읽고 쓰지 못하는 안타까움 새롭게 도서관을 꾸미면서 도서관은 단순히 책만 빌리거나 읽을 수 있는 공간에 한정시켜서는 안 되겠다는 생각을 했었다. 특히 문화적인 혜택을 받지 못하는 시골의 아이들에게 다양한 문화적 공간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는 도서관이 필요하지 싶었다. 본교와 같은 시골 고등학교에는 한글을 제대로 해득하지 못한 아이들이 종종 나온다. 물론 육체적, 정신적 질병 때문에 그런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고 제 시기에 한글을 제대로 배우지 못해 읽고 쓰는 데 어려움을 겪는 아이들도 있다. 가끔은 이런 아이들을 보면서 제때 교육을 받지 못했거나 혹은 그들
2006-04-10 08: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