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기고> 미국산 쇠고기는 위험한가
미국 쇠고기 수입을 반대하여 길거리에 몰려나온 시민들의 우려에 대해 정부당국은 특단의 대책을 세울 필요가 있다. 특히 처음 청계천에 모여든 시민들의 반대모임에 중·고등학생들이 50~60%를 차지한다고 하니 걱정이다. 이들은 미국산 쇠고기가 수입되면 돈 많은 사람들은 안전한 한우 쇠고기만 먹을 것이고, 학교 급식을 받는 자신들은 자기의 의지와 상관없이 광우병에 걸릴 위험이 높은 값싼 미국산 쇠고기를 먹게 될 것이 아니냐고 우려한다고 들었다. 어떻게 보면 단순한 생각 같지만 확률이 아주 희박할지라도 광우병을 자신의 문제로 여겨 이들이 공포감을 갖고 있다면 정부는 어떤 형태로든 풀어주어야 할 의무가 있다. 지금의 광우병 쇠고기 사태는 과학적 진실은 따로 있는데 정부가 신속하고 명확한 해명을 하지 못해 국민의 오해를 키운 결과라고 생각한다. 광우병의 역사는 영국에서 시작되었다. 소나 양을 도축하면서 버려지는 머리나 등뼈 등의 부산물을 갈아 만든 육골분을 소사료에 섞여 먹인 것이 화근이 되었다(1972). 영국의 소들이 미치기 시작했고 1986년 정식으로 학계에 보고되었으며 소해면상뇌증(Bovine Spongyform Encephalopahty; BSE)이라는 학술적
- 이영순 서울대 수의과대 교수, 전 식품의약품안정청장
- 2008-06-16 1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