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오피니언

⑳ 든든한 지원군과 함께 라는 건… <연재 끝>

유튜버 ‘올리버 쌤’을 닮은 테오가 하루 동안의 수업을 마치고 마산초를 떠난 후 겨울방학이 지났다. 겨울방학은 뼈까지 암이 전이되어 몸을 가누지 못하는 어머니가 낙상사고를 겪고 큰 수술을 하게 되어 온통 병원에서 간호하며 보내야 했다. 어머니는 여러 후유증을 앓았고 우리는 인간의 어떤 장기가 기능을 멈추게 되었을 때 우리의 몸이 어떤 이상을 보이는지 하나하나 겪을 수 있었다. 그 시간 동안 셰인은 나에게 괜찮은 거냐고 카카오톡으로 메시지를 보내곤 했다.
 

“나는 괜찮아요, 셰인. 부모님이 아프다는 건 누구에게나 있을 수 있는 일이니까요. 일종의 홈 워크 같은 거죠.”
 “내가 염려하는 건 네 행복이야.”
 “행복해요. 엄마가 살아있다면.”
 

그렇게 전쟁 같았던 겨울방학이 끝나고 새 학기를 맞이했다. 나는 새 학기에 대한 준비가 거의 되어있지 않았다. 몸과 마음은 너무 지쳐있었다. 새 학기를 차분히 준비한다기 보다는 전장을 옮겨가며 끝없는 전투를 치러내는 기분이었다. 그래도 작년보다는 훨씬 나은 수업과 평가를 아이들에게 제공하고 싶었던 것은 내가 최소한의 책임감은 있는 직장인이라는 방증일 것이다. 그 때, 셰인이 내 옆에 있었다. 
 

나는 작년에 원어민 강사로부터 별로 배우지 못했다. 뉴질랜드 출신 원어민은 잔뜩 빚을 지고 며칠 출근도 안 하고 달아나버려서 나는 처음 가르치는 교과목을 서툰 대로 계통 없이 여러 실험을 하며 진행할 수밖에 없었다. 사실상 코 티칭은 하지도 못하고 사고 친 원어민의 뒤처리만 했어야 했다. 신규교사로서 그 과정 또한 너무 서툴고 힘들었다는 점은 굳이 덧붙이지 않아도 짐작 가능하리라.
 

셰인은 그런 상태에서 맞은 든든한 지원군이었다. 실제로 고등학교를 나와 바로 미군에 들어가 그린베레 스쿨에서 공수훈련을 받고 이라크 전쟁을 겪은 그는 주한미군 경력도 있었다고 했다. 군을 나온 후로는 제대로 공부하고 싶은 마음이 생겨 위스콘신 대학과 런던대학 대학원을 나와 결국 한국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일을 하게 되었다는 그의 인생 역경은 어딘가 ‘마스터 키튼’을 연상시키는 데도 있고 어딘가 틀에 갇혀 발버둥치는 나에게 어떤 교훈을 주는 듯하기도 했다. 
 

당장 그는 학생들에게 문화로서의 언어를 가르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왜냐면 한국에서의 학생들은 항상 시험을 잘 보는 데만 집중하고 영어를 의사소통을 위한 도구나 자신과 다른 개성과 배경을 지닌 문화의 사람들을 이해하는 체험으로 여기지 않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남들이 지적하고 틀릴까봐 걱정하는 한국의 문화에서 영어에 많은 비용을 들이지만 영어를 배우지 못하는 학생들을 바라보며 셰인은 가슴 아파했다.
 

“셰인, 한국에서는 말입니다. 부모들이 영어를 가르치기 위해 자기 자식에게 굉장히 많은 돈을 씁니다.”
 

셰인은 고개를 끄덕였다. 
 

“우리는 공교육입니다. 영어가 잘사는 사람만을 위한 도구가 되어선 정의롭지 못하지 않겠습니까.”
 

그렇게 셰인과 나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동료가 되었다. 우리들은 영어 수업과 교육에 대한 철학에 있어서 맞는 데가 많았다. 마치 거대한 적을 맞아 함께 싸운 미군과 한국군처럼 우리는 서로를 의지하며 팀웍을 이루는 동맹군이었다.
 

이것으로 박석희의 새내기열전은 끝을 맺는다. 시골학교 창고에서 SNS에 일기나 쓰던 경력 없는 새내기 교사에게 이름을 내건 고정 칼럼을 연재하게 한 한국교육신문 팀에 감사함을 느낀다. 특히 칼럼마다 멋진 일러스트를 그려준 삽화가 선생님에게도 감사한 마음을 전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