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5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제언·칼럼

이제 학생들의 행복지수와 삶의 만족도를 높여주자

사회는 학교성적 꼴찌들의 반란을 원한다.

초·중·고 청소년들은 학업 성적을 최고의 스트레스 주범으로 생각하고 있다. 고입, 대입이 결국 한줄 세우기 입시 정책으로 청소년들은 성적의 노예로 전락한 것이다. 학업성적 향상이 청소년들의 최고의 스트레스로 좌우하다보니, 행복지수가 높을 수가 없다.

 

지난 3월 14일 유엔 산하 자문기구인 지속가능발전해법네트워크(SDSN)는 전 세계 156개국을 상대로 국민 행복도를 조사한 결과를 담은 '2018 세계행복보고서'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한국은 10점 만점에 5.875점으로 57위에 올랐다. 작년에는 5.838점을 획득, 55위를 기록한 한국은 올해 점수가 약간 올랐으나 순위는 2계단 떨어졌다.

 

1위는 7.632점을 얻은 핀란드가 차지했다. 독일은 15위, 미국은 18위, 영국은 19위, 일본은 54위, 중국은 86위에 머물렀다.

 

이 보고서의 공동 편집자들은 “중남미 지역의 가족을 중심으로 한 인간관계가 큰 몫을 하고 있으며, 실제 일상에서 그리 궁핍하지 않은 생활에 따뜻한 인간관계로 인해 행복도가 높다”고 분석했다.

 

결국, 한국은 국민 행복도 조사에서 아시아 국가인 일본보다 3계단 낮고, 중국보다는 높게 나타났지만, 여전히 중남미 지역보다 휠씬 떨어진 순위이다.

 

또한, 작년 11월 15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더 나은 삶의 지수 2017’을 공개하면서 한국은 ‘삶의 만족도’ 지표에서 OECD 평균(7.3점)에서 5.9점을 얻어 조사대상국중 최하위인 31위를 차지했다. 또 어려울 때 도와줄 가족과 친지, 자신이 생각하는 주관적 건강 정도도 최하위였다.

 

그럼, 학교에서 청소년들의 행복지수를 높이면서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을 고민하게 된다. 여러 방법이 있겠지만 바로 국가수준의 교육과정(2015 개정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해답을 찾을 수 있다.

 

올 3월부터 초등 3, 4학년과 중1, 고1에 적용되고 있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도입배경은 미래사회의 핵심역량, 인문 소양과 인성교육, 교과의 학습량 적정화,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 개선을 통한 교실수업 혁신, 안전의식의 내면화, 소프트웨어의 제작 원리에 대한 이해와 프로그래밍 체험을 통한 컴퓨팅 사고력 신장 등을 위해서다.

 

수업 시간마다 엎드려 자는 학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수학과목의 기초학력 미달 비율이 점점 증가하고, 국어나 영어 역시 그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지만 수업에 집중하지 못하는 학생 비율이 높아 교육과정의 개정의 요인으로 작용한 것이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6가지의 핵심 역량은 자기관리 역량, 의사소통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지식정보처리 역량, 공동체 역량이다.

 

일선 현장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 역량은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목표로 두고 있으며, 교사들은 교육과정 운영의 기준으로 삼고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을 교육과정 재구성, 수업, 과정중심평가, 기록 등 일체화에 반영하고 있다.

 

물론, 학습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을 위해서 학교는 ‘학습부진아 등에 대한 교육 법령’으로 초·중등교육법 제28조(학습부진아 등에 대한 교육), 초·중등교육법 시행령 제54조(학습부진아 등에 대한 교육 및 시책)으로 제반 대책을 마련해 놓고는 있다.

 

즉, 학생들을 위한 수업일수와 교육과정을 신축적으로 운영하여 성격장애나 지적 기능의 저하 등으로 인하여 학습에 제약을 받는 학생, 학업 중단 학생 등의 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을 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교사는 법 제28조제5항에 따라 학습부진아 등의 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연수를 받아야 된다.

 

현장은 순차적으로 새로운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도입으로 기존의 입시 중심의 교육에서 탈피하여 학생의 적성을 살리는 교육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현장의 반응 역시 긍정적인 시그널을 보내고 있다.

 

경기 광명시의 K고교 L교사는 “교사중심이 아닌 학생중심 교육과정과 교과간 융합교육과정을 운영중이다. 학생들의 반응도 뜨겁다. 입시를 위한 주요 과목의 시수를 약간씩 감축하면서 다양한 주문형 강좌와 진로집중이수 등으로 편성·운영중이다.”고 말했다.

 

하지만, 아무리 좋은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이 도입되어도 걸림돌은 존재한다. 바로 고입·대입에 매몰된 성적지상주의와 기존보다 많은 것을 준비해야하는 교사의 마음을 움직이게 하는 것이다.

 

학생들은 본인이 원하는 상급학교 진학을 위해 반드시 성적이 필요하다. 현재 반영되는 내신성적은 완전한 절대평가 시스템이 아니다. 그러니 늘 한줄 세우기 교육으로 지향될 수 밖에 없다. 현재 ‘2019 경기도 입학전형’의 경우 교과활동상황(75%)과 비교과활동상황(25%)이 합산된 반영비율(100%)은 200점 만점으로 반영된다.

 

교사들은 말한다. 너무나 잦은 교육과정의 개정과 변경, 정권만 바뀌면 바뀌는 수많은 교육정책이, 초·중·고 교육과 대학입시정책이 상충되어 논란을 일으키는 현상을 바라보면 슬프고 안타까운 마음이 든다.

 

예전에는 학교성적 꼴찌가 꼴찌라는 낙인이 찍혀서 인생의 꼴찌로 살아간다고 알고 있었다. 하지만, 현재는 학교성적 꼴찌가 인생의 꼴찌는 아니다. 학생들은 다양한 재능을 지니고 있고, 성적은 재능 중에 한 개밖에 해당되지 않는다. 학교성적 꼴찌 학생이라도 성적 외의 다른 99개의 재능이 살아 움직이는 것이다.

 

자, 이제 우리 학생들이 행복하고 삶의 만족도가 높은 교육을 위해 교육당국은 교육과정의 정착을 위해 노력해야하며, 교사는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를 위해 수업 연구를 꾸준히 진행해야 한다.

 

행복지수와 삶의 만족도가 상승할 때, 대한민국의 교육은 새로운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할 수 있을 것이다.

배너

관련태그

학생  행복지수  삶의만족도  최하위  학업성적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