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양

평창올림픽의 고장, 강릉에서 만날 사람

곧 열릴 평창 동계올림픽 준비로 강원도가 부산하다. 그 중에서도 올림픽 경기가 펼쳐지는 평창, 강릉이 제일 바쁠 것 같다. 4년 마다 열리는 올림픽은 세계 여러 나라의 운동선수들이 경쟁하는 축제의 마당이다. 그런 올림픽은 한편으로 우리에게 힘들었던 시절, 가뭄 때 비처럼, 어둠 속 빛처럼 희망을 갖게 한 행사이기도 하다. 일제강점기인 1936년 베를린 올림픽에서 손기정 선수가 마라톤 우승을 했을 때나 선진국으로 나설 수 있다는 자신감을 만들어 준 1988년 서울올림픽을 굳이 떠올리지 않더라도 말이다. 

그런 올림픽이라 경기가 열리는 기간이든, 아니든 평창, 강릉을 찾는 이들이 많다. 그곳으로 가는 길은 영동고속도로에 더해 최근에 ‘KTX 경강선(경강은 서울과 강원이 아니라 경기와 강원을 가리키는 말이라고 한다)이 생기며 조금 더 가까워졌다. 그만큼 가는 발길도 가벼워졌다. 이 가운데 강릉에 대해 얘기를 풀어본다.

천하제일의 산수, 그 보다 나은 인물

강릉 하면 떠오르는 낱말은 무얼까? 대관령, 바다, 호수. 여기에 요즘은 커피도 더할 수 있을 것 같다. 강릉을 가봤거나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이어나갈 낱말의 숫자는 훨씬 늘어날 것이다. 그런 말을 모아보면 ‘경치가 아름다운 곳’쯤 되지 않을까. 실제로 강릉을 노래한 옛 시를 보면 ‘천하제일의 산수’, 그러니까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곳으로 강릉을 꼽는 것에 주저함이 없었다. 백두대간을 가로지르는 큰 고개인 대관령을 넘었을 때 눈앞에 펼쳐지는 너른 평야와 호수, 그리고 푸른 바다의 아름다움은 ‘아’하는 외마디 탄성 외에는 달리 표현하기 어렵다.

그렇지만 강릉의 자랑거리가 산수 뿐은 아니다. 조선시대 인문지리서인 <신증동국여지승람>을 보면 ‘어린 아
이들이 책을 끼고 다니며 글 읽는 소리가 마을에 가득하다’는 ‘풍속’을 전한다. 그 덕분일까. 강릉에는 유난히 인물이 많다. 

천재보다는 ‘지식인’으로

강릉을 대표하는 인물은 널리 알려진 것처럼 율곡 이이, 사임당 신씨와 함께 교산 허균, 난설헌 허초희가 있다. 이들에게 공통적으로 붙는 수식어가 있으니 바로 ‘천재’다. 그래서 율곡을 가리켜 9번 장원급제한 천재, 허균을 일러 세상을 잘못 만난 천재라고도 한다. 하지만 본인들이 그 얘기를 들으면 어떤 생각이 들까. 이이도 허균도, 신사임당도 허난설헌도 진력을 다해 공부하고 자신의 삶을 최선을 다해 살아갔으니 말이다. 더구나 천재라고 하면 우리와 다른 세계의 사람으로 여기게 된다는 점도 문제다. 그렇게 되면 이들은 관찰의 대상이지 그들의 고민에 대해 깊게 생각해 볼 여지를 사라지게 만든다. 그런 점에서 천재 대신 공부를 많이 한 ‘지식인’으로 보는 것이 어떨까. 그래야 그들의 삶 속으로 들어가 생각해 볼 수 있을 것 같다.

오죽헌에서 만난 이이와 신사임당

오죽헌은 강릉을 대표하는 명소다. 이이를 기리는 사당도 있다. 최근에는 시립박물관도 경내에 있어서 꽤 많은 시간을 가져야 둘러 볼 수 있다. 사실 오죽헌이 유명한 이유는 한국 사람들이 모두 아는 이이와 신사임당의 집이기 때문이다. 이이와 신사임당은 세계에서 유일한 모자지간이 화폐의 모델이 된 예라고도 한다. 

그런데 막상 오죽헌에 가면 조금 막막해진다. 오죽헌이란 건물도 건축에 대한 안목이 없다면 대단해 보이지 않거니와(오죽헌은 조선전기 주택양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건축물이다) 이이나 신사임당이 훌륭한 까닭을 얘기하려면 구체적인 표현을 하기 어렵다. 그런 점에서 이 공간을 다르게 보는 것도 좋겠다. 

먼저 오죽헌은 주변에 검은(오(烏):까마귀, 검은) 대나무가 있는 집이니 주변을 살펴 오죽을 찾아보면 좋겠다. 그리고 안내판에 적힌 집의 소유권 변화를 보자. 처음에는 최씨, 그리고 신사임당의 아버지 신명화, 그리고 권씨를 지나 이씨로 바뀌었다는 내용이 있다. 조선시대에는 요즘처럼 집을 쉽게 사고팔지 않았을 텐데 무슨 일이 생긴 걸까. 바로 사위에게 물려준 것이다. 조선전기만 하더라도 혼인은 대체로 ‘장가가기’였다. 처가로 가서 가족을 꾸린 뒤 아이가 크면 친가로 돌아오는 것이다. 조선후기의 ‘시집가기’와 달랐다. 

그런 혼인의 배경에는 남녀구분이 뚜렷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그런 점에서 자매만 있던 신사임당은 아들과 다름없는 교육을 받았다. 그 덕분에 교육자로서, 예술가로서 자신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었던 것이다. 참고로 현모양처(賢母良妻)로서 신사임당은 잊으면 좋겠다. 한 사람의 인생 목표가 다른 사람을 위해 사는 것이 될 수는 없지 않을까. 더구나 우리 역사에서 현부양부(賢父良夫)란 말을 들어본 적이 없으니 말이다.

초당마을에서 만난 허난설헌
 
오죽헌에서 경포호를 건너면 초당마을이 있다. 강릉의 유명한 음식인 두부가 시작된 곳이다. 그 두부를 만든(또는 만들도록 한) 이는 이 마을에 살던 허엽이다. 유명 정치가이며 학자인 허엽의 아들로 허성, 허봉, 허균이 있고 딸로는 허초희가 유명하다. 우리에게는 허난설헌으로 알려진 인물이다. 허봉은 동생들의 뛰어난 자질을 간파하고 허균과 허난설헌에게 친구였던 이달을 소개했다. 시를 배우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재능이 시대를 넘어서면 비난과 비판의 대상이 되기 쉬운데 이들 남매가 그랬다. 허균은 중인이었던 스승에게서 시대의 모순을 봤다. 조선처럼 인재가 귀한 나라에서 서자라고 쓰지 않는 모습은 납득하기 어려웠던 것이다. 그래서 지은 소설이 서자가 주인공인 <홍길동전>이다. 소설에서 허균은 홍길동이 율도국으로 떠나도록 해 타협을 봤지만 자신의 현실은 조금 더 복잡했다. 원칙과 타협 속에서 방향을 잃으며 광해군에게도, 인조에게도 역적이 되는 모순을 만들며 처형됐다. 그나마 허균은 누이였던 허난설헌의 시집을 널리 알리며 삶의 의미에 하나를 더했다. 허균이 명에서 온 사신인 주지번에게 보인 허난설헌의 시는 중국, 그리고 일본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 

하지만 허난설헌은 15살에 조금은 경직된, 그렇지만 조선후기의 가풍으로 보면 당연한 가풍의 가문으로 시집을 가며 삶이 고단해진 것 같다. 이런 가운데 어린 자식들을 먼저 보내는 비극을 겪는다. 그가 쓴 시 ‘곡자(哭子)’가 있다, ‘나는 안다, 너희 남매의 혼이 / 생전처럼 밤마다 놀고 있으리.’ 슬픔 속에 자식들의 영혼이라도 같이하길 바라는 어미의 마음이 느껴진다. 결국 허난설헌은 27년, 짧은 생을 마감했다. 

초당마을에 가면 그런 허난설헌을 기억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 그가 살았음직한 집과 작은 기념관이다. 참고로 경포대 북쪽 사촌 해수욕장에 있는 교산이 허균이 태어난 곳이다. 여기도 물론 허균의 외가다. 

최고의 풍경, 강릉을 즐기다
사람의 향기가 물씬 풍기는 강릉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만든다. 강릉의 모습을 제대로 볼 수 있는 곳은 어디일까. 강릉의 아름다움을 오롯이 품고 있는 곳은 경포대다. 경포대에 오르면 호수와 바다가 한눈에 들어온다. 그 옆에 있는 선교장도 지나칠 수 없는 곳이다. 이 지역에서 가장 큰 규모의 집이라는 사실도 중요하지만 사랑채인 열화당, 집 앞에 꾸민 활래정은 따로 살펴볼만한 가치가 있는 건축물이다. 무엇보다 선교장을 둘러싸고 있는 야트막한 언덕과 우람한 소나무는 집의 품위를 더해준다.

동해 바다는 경포해수욕장도 대단하지만 조금 더 즐기고 싶다면 ‘정동심곡 바다부채길’이 좋다. 정동진과 심곡항을 잇는 약 3km 길로 성난 파도가 일렁이는 바다 위로 걷는 경험을 할 수 있다.
배너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