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8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학술·연구

[격려레시피] 생각을 모아 해결해요

학급 질서를 세우는 것은 아이들의 학교생활은 물론 교과 학습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일이다. 많은 교사들은 이를 위해 처벌과 보상을 하며 통제해 왔다. 그런데 시대 변화와 개성이 강해진 요즘 아이들을 감안할 때, 이는 더 이상 효과적인 훈육 방법이 아니다. 아이들의 자율성을 존중하며 민주적으로 학급 질서를 세우려 고민한다면 아들러의 ‘논리적 결과’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 
 
논리적 결과란 공동체 안에서 어떻게 행동하면 좋을지 서로 논의해 결정하고 이를 적용함으로써, 자신의 행동에 대한 결과를 스스로 책임질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설명을 이해 A교사와 B교사의 지도 사례로 살펴보자.
 
#5학년을 맡고 있는 A교사는 학생들이 습관적으로 욕을 하는 것을 보며 어떻게 고칠까 고민했다. 심사숙고 끝에 욕을 한 학생들을 하교 후 남겨 명심보감을 공책에 적고 가게 했다. 학생들은 남는다는 사실에 예민한 반응을 보였고, 남기 싫다는 생각에 욕을 사용하는 일이 점차 줄어들었다.
 
#5학년을 맡고 있는 B교사는 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급 회의를 열었다. 교실에서 욕하는 것을 개인이 아닌 학급 전체의 문제로 여기고 욕 사용을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의논해 보기로 한 것이다. 자유로이 얘기해보자는 말에 학생들은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그리고 이 과정을 통해 △욕 대신 친구를 존중하는 마음으로 서로 존댓말 사용하기 △정중한 표현으로 요청할 때만 도움 주고, 그렇지 않으면 어떠한 반응도 하지 않기라는 두 가지 교실 수칙을 정했다. 물론 이후에도 더러 욕을 하는 학생이 있었지만, 그럴 때 주변 친구들은 어떤 반응도 해주지 않았다. 그러자 답답함을 느끼게 됐고 결국 자주 욕을 하던 학생들도 점차 욕을 쓰지 않게 됐다.
 
위 사례처럼 같은 문제를 놓고 A교사와 B교사의 접근 방법은 매우 달랐다. A교사는 혼자 고민하다가 적당하게 여겨지는 방법을 학생들에게 지시했고, 학생들은 지시대로 따랐다. 학생들을 통제하기 위한 처벌적, 조정적인 성격이 강한 방법이다. 반면 B교사는 지시 대신 논의 시간을 갖고 자유로이 이야기를 나누도록 했다. 학생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용해 욕하는 행동과 논리적으로 연결된 규칙을 정했다. 학생들 스스로 자신의 문제에 대해 해결 방법을 생각하고 행동에 책임질 수 있는 선택권을 부여한 것이다. 
 
만약 어떤 학생이 욕을 한다면 다른 학생들은 결정된 내용에 따라 그 학생에게 어떤 반응도 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욕을 하지 않겠다고 선택하고 정중한 표현을 사용한다면 다른 학생들은 그 학생의 말에 귀 기울이고 도움을 줄 것이다. 즉 욕을 사용할지 말지 선택하는 것은 학생 자신이며, 자신이 선택한 행동에 책임을 지도록 하는 것이다. 심지어 그것이 자신에게 불편한 결과일지라도 말이다. 
 
B교사의 지도 방법을 통해 우리는 아들러가 제안한 ‘논리적 결과’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살펴볼 수 있다. 아들러는 인간은 자신의 자유의지에 따라 모든 행동을 선택할 수 있지만 그 행동에 책임을 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 때 논리적 결과를 활용한다면 학생들이 자신의 행동에 대해 책임지는 것을 더 효과적으로 배울 수 있다고 했다. 
 
학생들은 이런 논리적인 결과로부터 상호존중, 배려, 협력을 인식하게 되고 공동의 질서를 따를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논리적 결과를 통해 질서를 확립하면 교사와 학생 간의 불필요한 감정 소모나 힘겨루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스스로 선택한 자신의 결정에 책임을 질 수 있는 민주 시민으로 성장도 도울 수 있다. 
배너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