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5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양

교실에서 벌어지는 일들



흔히 교실은 세상의 축소판이라고들 한다. 그렇다면 그 작은 세상에서 일어날 법한 몇 가지 사건들에 대해 잠깐 상상해 보도록 하자. (1)학교에서 가장 똘똘한 학생들이 대대적이고 조직적으로 컨닝을 도모함. (2)반 친구들끼리의 작은 다툼이 학부모의 거대한 싸움으로 번짐. (3)교사도 답을 찾지 못할 곤란한 질문을 집요하게 던져서 난감하게 만듦. 
 
교실이라는 세상을 매일 보살펴야 하는 선생님들로서는 두통을 일으키는 상황이겠지만, 다행히 실제가 아닌 무대 위 세상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들이다. 6월에는 공교롭게도 교실을 배경으로 일어나는 일을 소재로 삼은 작품들이 많은데, 이 글을 읽는 선생님들의 세상은 이번 달도 평화롭기만을 간절히 바라면서, 우리 사회의 민낯을 비추는 거울 같은 연극을 하나씩 들여다 본다.
 
첫 번째 컨닝 사건이 벌어지는 연극 <모범생들>의 배경은 한 명문 외고. 주인공인 네 명의 학생은 자타공인 ‘범생이’로, 공부뿐만 아니라 어른들의 세상이 돌아가는 원리에도 눈이 밝다. 이들은 사회 상위계층에 진입하겠다는 목표 하나로 성적을 올리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학력고사에서 컨닝을 모의하던 이들의 계획은 다른 학생들에게도 퍼져나가 결국 반 전체가 연루되지만, 여러 명의 이해관계가 충돌하면서 결국 컨닝은 실패로 돌아간다. 무거운 처벌을 받게 될 처지에 놓인 학생들은 한 친구를 희생양으로 삼아 위기에서 벗어나고, 무사히 졸업해 사회 엘리트 집단의 일원으로 성장한다. 
 
작품은 비틀어진 교육 현실과 비인간적인 경쟁 사회의 자화상을 그려내며 우리 사회 성공만능주의의 민낯을 보여준다. 동시에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맹목적인 성공을 좇는 것이 과연 사회가 요구하는 것인지, 또 그것이 정당한 행복인지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이 때문에 작품은 ‘백색 느와르’라 불리기도 하는데, 이는 우리 사회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잔인한 폭력을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자신이 진정 원하는 것인지도 알지 못한 채 무작정 신분상승의 욕망을 채우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등장인물들의 모습은 어떤 느와르 영화의 액션보다 치열하게 느껴진다. 
 
애들 싸움이 어른 싸움이 되다 못해 급기야 ‘대학살’급으로 번지는 사건은 연극 <대학살의 신> 이야기다. 열 두 살 난 소년 두 명이 작은 다툼을 벌이다 한 친구의 앞니가 부러지고, 이들의 두 부모가 만나면서 연극은 시작된다. 고상하고 우아하게 시작한 만남은 점차 유치찬란한 설전으로 이어지고 결국 삿대질, 물건 던지기, 눈물 섞인 진흙탕 싸움으로 치닫는다. 등장인물들의 우스꽝스러운 행태에 관객들은 폭소를 터뜨리다가도 어느 순간 교양이라는 가면 속에 가려져있던 가식과 위선이라는 자신의 민낯을 만나게 된다. 
 
아무리 그래도 코미디 연극의 제목을 이렇게 살벌하게 지을 필요가 있었는지 거부감이 든다고? 이는 ‘대학살’이 오래 전 역사에서나, 혹은 머나먼 대륙의 후진국에서나 벌어질 수 있는 이야기가 아니라 교양과 예절로 깔끔하게 포장돼 있는 우리 삶 가까운 곳에서도 얼마든지 벌어질 수 있다는 경고의 의미를 담고 있다. 인간 내면의 이기심과 폭력성 등 파괴적인 욕망은 언제든지 대학살의 신(神)을 불러올 수 있다는 작가의 강력한 메시지 전달법이라고 이해하면 좋을 듯하다. 작품에는 뮤지컬계의 ‘국민 배우’ 남경주와 최정원이 부부로 출연하고, ‘삼둥이 아빠’ 송일국이 이들과 싸움을 벌이는 학부모 역을 맡아 찰떡같은 연기 호흡을 선보일 예정이다. 
 
연극 <신인류의 백분토론> 무대는 엄밀히 말하면 교실이 아닌 토론장이다. 그러나 그곳에서 펼쳐지는 치열한 토론은 어떤 수업보다도 강렬한 지적인 자극을 준다. 연극은 ‘창조론과 진화론 중 어떤 이론이 더욱 타당한가’를 놓고 토론을 벌이는 형식으로 전개되는데, 실제 TV 토론 프로그램 녹화장에 온 착각을 불러일으킬 정도로 디테일한 설정이 흥미를 준다. 세트장 곳곳에 놓인 비디오카메라는 출연자들의 얼굴을 실시간으로 촬영해 극장 안 디스플레이에 내보내고, 배우들은 실제 학계 전문가들이 아닐까 의심될 정도로 현실감 넘치는 연기를 선보여 혼란(?)을 가중시킨다. 각각의 주장에 대한 근거로 제시하는 영상, 다양한 이야깃거리를 포함한 풍부한 자료는 진부해 보이는 토론주제마저 신선하게 만든다. 
 
이들의 이야기에 따라 ‘인류가 어디서 왔는가’를 고찰하다 보면 어느새 ‘인류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로 고민의 방향이 바뀌어 감을 느낄 수 있다. 극의 마지막에 관객은 방청객이 아니라 학생이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는데, 그렇다면 관객들을 가르치고 있는 사람은 누구일까? 이 ‘숨어 있는 선생님’을 찾는 것에 연극의 메시지가 있다. 답을 쉽사리 예상하기 어려운 하나의 거대한 수수께끼를 기꺼이 즐겨 보시기를. 김은아 공연전문매거진 ‘씬플레이빌’ 에디터 

<모범생들> 6.4-8.27 | 대학로 드림아트센터 4관
<대학살의 신> 6.24-7.23 | 예술의전당 자유소극장
<신인류의 백분토론> 5.19-7.9 | 대학로 아트원씨어터 3관



배너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