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한 명의 ‘천재’에서 ‘그룹씽킹’으로

왜 우리나라에서는 노벨상 수상자가 나오지 않는 걸까? 아니 나오지 못하는 걸까? 가까운 나라 일본에서는 지난 3년 연속으로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였다. 이를 보고 우리 정부는 한껏 조바심을 내고 있는 것 같다. 지난 10여 년 동안 노벨상을 위해 정부가 많은 지원을 했지만 이웃 일본을 부러워만 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 창조경제의 상징인 구글과 페이스북 같은 기업을 만들어 보고자 엄청난 창업 지원금을 쏟아 부었지만 아직 성과는 요원하기만 하다. 삼성과 현대라는 글로벌 기업이 있기는 하지만 가업을 이어받은 기업들 아닌가. 페이스북처럼 젊은 사람의 창의적 아이디어로 세워져 창업자 자신이 CEO로 있는 기업은 극히 드물다. 도대체 이유가 뭘까?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은 영재들 간 협업(collaboration)의 부재와 실패에 대한 사회적 관용의 부족에서 찾을 수 있다.


창의는 집단의 소통에서 나온다
페이스북이나 구글과 같은 기업을 생각해 보자. 이들 기업을 보며 우리는 늘 단 한 명의 천재가 있었기에 가능했을 것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 이들 기업들은 한 명이 아니라 두 명 혹은 서너 명의 협업을 통해 가능했다. 페이스북은 마크 주커버그(Mark Elliot Zuckerberg)뿐만 아니라 더스틴 모스코비츠(Dustin Moskovitz), 크리스 휴스(Chris Hughes) 등 공동창업자가 있어 창의적 아이디어가 더 큰 효력을 발휘할 수 있었고, 구글 역시 세르게이 브린(Sergey Brin)과 래리 페이지(Larry Page)가 공동으로 창업을 하였다. 애플도 역시 그렇다. 스티브 잡스(Steve Jobs) 혼자가 아니라 스티브 워즈니악(Steve Wozniak)이라는 훌륭한 공동창업자가 있었다.


탁월한 창의적 산출물이나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그것은 바로 그룹씽킹(group thinking)이다. 그 동안 우리가 간과하고 있었던 것이 바로 이것이다. 창의(創意)란 집단의 구성원들의 논의와 소통의 과정을 거쳐 당면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시리어스 플레이(serious play)를 통해 드러난다. 이 과정에서는 예상치 못한 결과가 나온다고 하더라도 서로 받아들일 수 있다는 신뢰와 책임의 분산이 가능하다. 창의적 활동을 하려면 늘 위험에 직면하게 되고 이에 대한 실패의 책임이 뒤따르는데 이것을 극복할 수 있는 장치가 없다면 아무도 위험한 도전을 하려 들지 않을 것이다. 그런데 우리의 학교나 사회는 어떤가? 남의 실수를 용납하거나 위험을 감수하려는 분위기가 아주 미약하다. 즉, 한 번의 실수를 용납하지 않는 분위기로 인해 실패자가 되는 사람들이 너무 많다. 위험을 감수하고 미지의 세계로 뛰어 들어가는 것이 바로 창의이고 창의적 발상의 구현이 아닌가.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