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7 (수)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초등 국어] 아이 마음 토닥토닥 : 시 수업에서 인성교육을 찾다

바야흐로 인문학이 대세이다. 고도 정보화 사회, 개인주의, 물질 만능주의에 따른 인간성 파괴를 극복하기 위한 해결방안은 무엇일까? 가장 절실한 것은 자신의 중심을 잡고, 자신의 위치를 지키며,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살기 위해서 자신을 알고, 이를 통해 상대방을 이해하고 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마음가짐과 태도를 갖추는 일이다. 이에 발맞추기 위해 인성교육진흥법이 공포되었고, 학교에서는 인성중심수업이라는 새로운 수업문화를 통해 아이들에게 어릴 때부터 인문학적인 소양을 길러주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교육현장에서 우리 아이들의 인성 함양을 위해 이처럼 노력하고 노심초사하는 까닭은 무엇일까? 아이들을 둘러싼 환경이 그들의 마음을 너무나 황폐하게 하고 있기 때문이다. 요즘 아이들은 물질적으로는 풍요하지만 정신적으로는 참 삭막한 환경 속에서 하루하루 살아가고 있다. 정말 ‘다람쥐 쳇바퀴 돌 듯’ 학교와 집, 학원을 오가며 가족과 친구보다는 컴퓨터 게임과 스마트폰으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고 있다. 인간적인 소통과 따뜻한 공감보다는 과중한 공부와 스마트 기계 문명에 중독되어 있다. 여유 없이 늘 바쁜 아이들을 보면서 비록 가난했지만 인간미 넘치던 ‘가슴 따뜻한’ 나의 어린 시절을 돌아본다.

학교를 마치면 친구들과 삼삼오오 모여 놀고, 텔레비전도 없어서 라디오를 들었지만 이야기 속의 인물을 상상하고 마냥 즐거워했던, 작은 것이라도 가족과 친구와 나누던 그때 그 시절이 그리워진다. 가정과 학교에서 인문학적인 자양분을 충분히 제공받지 못한 채 무한경쟁으로 내몰린 학생들이 과도한 학업 스트레스로 인하여 학교폭력에 빠지거나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것을 보면 정말 안타깝다.

그렇다면 이런 환경 속에서 어떻게 인문학적 소양을 갖춘 아이들을 길러낼 수 있을까? 학생들에게 지도할 수 있는 기본적인 인문학 영역은 철학·역사·문학이다. 철학은 삶의 깊이가 약하고 인생 경험이 부족한 초등학생들과 공유하기에는 다분히 어렵고, 역사는 시간을 되돌려 그 시대를 통찰하고 이해하기까지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 하지만 문학은 누구나 공감 가능한 인간 삶의 표현이며, 학생들과 진실하게 소통하기 쉬운 좋은 수업 자료이다. 문학 중에서도 시 수업은 가장 쉽고 즐겁게 인문학적인 소양을 아이들에게 함양시켜줄 수 있다고 자신한다. 그래서 아이들이 인간에 대한 이해, 역지사지, 남을 배려하고 나와 인격이 다른 사람을 공감할 줄 아는 가슴 따뜻한 인간미를 가지길 소망한다.

시를 통해 인문학적 소양 기르기
과연 시 수업을 통하여 어떻게 인문학적인 소양을 길러 줄까? 나는 수년간 아이들에게 시를 읽어 주고 시 수업을 함께 하면서 어떻게 하면 시로 아이들의 삶을 말과 글로 표현하며 울림이 있는 행복한 시 수업을 할 수 있을까 많이 고민하였고 지금도 고민 중이다. 다소 진부하게 들릴 수도 있겠지만 시는 사전 과제나 읽기를 위한 별도의 시간 확보 없이도 길이가 짧아서 텍스트 제공과 동시에 여러 번 읽고 음미함으로써 공유가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교과서의 시가 아이들의 삶을 제대로 담을 수 없거나 지극히 교훈적이고 어려우며 기교적인 경우가 있다. 이럴때는 아이들의 삶의 모습을 진솔하게 다룬 생활 동시를 활용하여 자신의 이야기를 시에 담아 쏟아낼 수 있도록 재구성하였다. 이를 통하여 아이들에게 친구에 대한 이해, 역지사지, 남을 배려하고 나와 인격이 다른 사람을 공감해 보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었다. 아이들은 시의 세계에 풍덩 빠져 자신의 경험을 술술 시에 담아 냈고, 자신의 이야기가 담긴 시를 통해 자신의 삶을 들여다보는 ‘따뜻한 소통이 이루어지는 시 수업’이 진행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
배너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