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한 심리학자가 조사한 바에 의하면 세상에는 3%의 큰 성공자(물심양면으로 뛰어나게 풍요로운 사람)가 있다고 한다. 나머지 97% 가운데 10%는 물심양면으로 비교적 여유가 있는 생활을 보내는 사람이고, 60%는 기본적으로 그날 그날 살아가는 사람, 나머지 27%는 어떤 원조가 없으면 살아나갈 수 없는 사람으로 존재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교직에 종사하는 사람은 어느 부류에 속한다고 볼 수 있을까? 교사는 물질적인 면에서 풍요는 아니더라도 풍부한 경험을 같이 공유할 수 있는 사람이 있기에 정신적으로는 풍요를 누리는 사람이 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제조업 분야는 정해진 매뉴얼에 의하여 제품을 생산하지 않으면 불량품으로 판정하여 시장에 나갈 수가 없다. 교육이라고 매뉴얼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전문성이 떨어져도 자기가 가진 능력의 범위 안에서 가르치는 것만으로도 무리없이 일과가 끝나게 된다. 가장 손쉽게 교직 생활을 하는 방법은 그저 교과서에 나온 대로 가르치는 것이다. 주위를 돌아보며 고민하지 않아도 되고, 교과서 하나 들고 들어가 수업하면 된다. 그래도 통할 수 있는 사회가 교직사회라면 누구 믿을 수 있을 것인가.
교직은 본질적으로 전문성을 강조하는 직업이다보니 일일이 간섭하는 시스템이 아니기 때문이다. 단지 문제가 크게 발생하지 않는다면 어떤 배움이 없다 할지라도 아이들은 이같은 환경에서 성장기의 소중한 1년을 마쳐야 한다니 얼마나 안타까운 일인가! 지금은 세상이 많이 달라져 아이들은 다양한 채널을 통하여 정보를 입수한다. 그 차이가 경제력에 의하여 좌우됨으로 아직도 농촌이나, 빈곤지역 아이들은 정보의 대부분을 교사를 통해서 얻는다고 볼 수 있다.
젊은 교사들은 열정만으로 교과서에 나오는 지식을 아이들에게 넣어주려고 한다. 그만큼 자신의 삶의 경험이 빈약하기 때문에 자기가 학창시절 경험한 것을 토대로 업무를 수행한다. 반면에 경험이 많은 교사는 아이들과 함께 고민하며 삶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교육 내용을 연관지으면서 지식을 전해준다. 아이들이 쓴 글을 읽으면 상황을 어느 정도 읽을 수 있다.
"선생님에게 사회를 배우면서 느낀 점은 끊임없이 변하는 세계에서 뒤떨어지지 않으려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는 점이었다. 또, 시간활용을 잘 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사회에서는 노력하는 사람에게는 반드시 노력에 대한 보답을 해 준다는 것입니다. 사회라는 두꺼운 책만 봐도 신경질이 나고 두려웠던 지난날이 생각납니다. 선생님, 선생님이 가르쳐 주신 많은 것에 감사합니다. 어쩌면 우리에게 전달되는 많은 지식보다도 선생님의 따씃한 위로의 말씀인지도 모릅니다.
선생님은 항상 저희들에게 희망과 용기를 주셨습니다. 저는 언제나 선생님의 말씀에 용기를 얻었고 학업에 열중해야지만 작심삼일이라는 말은 어쩌면 나를 두고 이야기하는 것처럼 무너져 버립니다. 아지만 이제는 그렇지 않을 것입니다. 얼마 남지 않은 중 3을 보람있게 보내고 싶은 마음 때문이랍니다."
이처럼 필자가 가르친 한 학생의 경우는 세상을 끊임없이 변하는 세상으로 개념 규정을 할 수준에 이르렀다. 세상은 끊임없이 변하지만 이를 감지하지 못하고 무감각하게 살아가는 사람들이 얼마나 많은가! 지금처럼 빠른 변화 속에서도 말이다.
교과서의 지식만 배운 아이들의 삶이 건조한 반면 풍부한 삶의 경험을 교사를 통하여 공감하면서 배운 아이들은 세상을 폭넓게 살아간다. 우리 아이들에게 시험문제 풀이용의 지식을 넣어주기보다는 그들의 인생을 폭넓게 만드는 안내자가 되어야 한다. 그리고 인생의 과정에 많은 아픔이 따르기 마련이다. 학생이 교사의 보호아래 있을 때 실패하도록 보호하는 것이 교육이다.
실패가 따를 때 어떤 것이 필요할까? 아이들은 일상 속에서 작심삼일을 실패로 인식하고 있다. 이때 위로하는 말을 지식보다도 더 소중하게 여기는 것이다. 교사는 무엇인가를 전달하면 모든 것이 전달되었다고 생각하는 착각에서 벗어나 진정으로 전달되었나를 확인하는 것이 좋은 교육일 것이다. 교사라는 직업이 단순히 지식의 전달자로만 살아가기에는 너무 아까운 존재이다. 이러한 사실은 오랜 경험을 통한 소산이라는 것도 빼놓을 수 없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