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5 (수)

  • 맑음동두천 10.6℃
  • 맑음강릉 19.5℃
  • 맑음서울 13.8℃
  • 맑음대전 9.7℃
  • 맑음대구 13.9℃
  • 맑음울산 13.3℃
  • 맑음광주 11.6℃
  • 맑음부산 15.7℃
  • 맑음고창 8.3℃
  • 맑음제주 14.3℃
  • 맑음강화 11.4℃
  • 맑음보은 8.4℃
  • 맑음금산 7.2℃
  • 맑음강진군 8.3℃
  • 맑음경주시 11.2℃
  • 맑음거제 12.8℃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소식

[수업이 최고다!] 창조적인 발문은 글로벌 인재육성의 필수 조건

 시대가 변하고 교육과정이 변화하더라도 변치 않는 것이 하나 있다면 그것은 바로 창의적인 인간육성이라 말 할 수 있다. 창의적인 인간을 길러내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노력이 없이는 불가능한 일이다. 그렇다면 교사들의 수업을 어떻게 진행하느냐에 따라 결정되는데 여러 가지 교수-학습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창조적인 발문이라 생각한다.

 발문에 대하여 박병학(1986)은 학생의 사고를 학습자가 의식하지 않았던 것에 대하여 문제의식을 갖게 한다든가, 사고 활동을 유발 시킨다든가, 표현활동을 촉구하는데 그 본질이 있다고 한다.

 또 산더스(Ssnders.1966)는 교사가 높은 수준의 발문을 하면 학생 역시 높은 수준의 사고력이 개발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교수학습의 효과를 증진시키고 학습자의 창의력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교사의 다양한 형태의 발문으로 학습자의 사고를 자극하여야 하고, 학습자의 응답에 대해 적절한 반응을 해 주어야 한다고 했다.

 학자에 따라 발문을 어떻게 분류하는가?

 박병학(1977)은 기억․재생적 발문과 사고발문 혹은 창조적 발문으로 나누었는데, 전자는 지식을 단순히 기억 재생하는 저차원적 사고 기능을 요구하는 발문이고, 후자는 사고 활동을 유발 촉구하는 즉 도전적인 고차원적인 사고 기능을 요구하는 발문이라고 했다.
 다시 말해서 학생들의 사고력(비판력과 창의력)을 신장시켜 주는 발문은 창조적인 발문이라고 한다.

 그렇다면 사고발문 혹은 창조적인 발문의 전략을 살펴보자.

 첫째, 비판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교사의 역할은 학습자로 하여금 비판적인 기술을 획득하고 실핼할 수 있는 학습상황을 제공해 주어야 하고,
 둘째, 창의력을 신장을 위한 교사의 역할은 학생들에게 문제해결 과정에 여유 있는 시간을 제공해야 한다고 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새롭고 획기적인 학생들의 아이디어를 수용하고, 기발한 방법으로 아이디어를 생성할 수 있도록 과제를 제시해야 하며, 수평적인 사고를 할 수 있어야 한다고 Neuman(1993)은 강조했다.

그럼 교사들이 단위 시간마다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여 학습자의 사고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첫째, 가능한 자주 그리고 여러 학생들에게 연속적으로 발문을 해야 한다.
 이용숙(1988)은 발문 및 교사의 반응 횟수가 잦을수록 학생들의 집중도 및 발표력이 높다는 사실을 증명하기도 했다.
다라서 교사는 창조적이고 효과적인 발문의 양과 빈도를 높혀야 한다.
반대로 교사의 습관적이고 맹목적인 발문을 남발할 때 오히려 학생의 사고력과 학습을 방해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고 했다.

 둘째, 수업의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발문을 해야 한다고 했다.
 이용숙(1988)은 교사의 가장 바람직한 질문을 제시했는데 그것은 바로 학생들이 무엇을 생각하게 하는 질문과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시키는 질문, 그리고 수업 구조화에 도움을 주는 질문이라고 했다.

 특히 학생들의 심층적인 사고를 유발하는 발문이 창조적인 발문과 직결된다고 본다면 다음과 같은 유형의 질문이 포함된다고 한다.
  - 근거나 이유를 묻는 질문과 사고의 과정을 묻는 질문의 조합
  - 학생들이 배운 내용을 비교하도록 하는 질문
  - 정답이 없는 질문을 하고 학생들로 하여금 질문이 성립하는가? 성립하지 않는가?를 찾게하는 질문
  - 학생들이 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를 다 따지다 보면 답을 발견하는 질문
  - 학생들에게 종합을 요구하도록 하거나 결론을 내리도록 요구하는 질문
  - 2-3명의 학생에게 답을 하도록 하고 다른 학생들로 하여금 정답을 찾도록 하는 질문
  - 학생들 각자에게 문제해결 또는 표현방법을 여러개씩 찾도록 하는 질문
  - 당연한 사실을 답변하거나 고식적인 것을 답하지 않도록 하는 질문
  - 그냥 넘어가기 쉬운 문제에 대해서 의문을 갖도록 해 주는 질문

 셋째, 수준에 맞는 발문을 해야 한다고 했다.
 현실적으로 학생의 능력에 따른 다양한 발문이 이루어지자면 여러 가지 교육적인 환경이 문제가 되고 있지만 언제까지 환경 타령만 할 때가 아니다.
 열악한 환경을 극복하려는 교사들의 의지가 어느 때 보다 요구된다.
 아울러 Taba(1967)는 교사들이 학생들의 수준에 맞지 않는 질문을 했을 때 학생들은 제대로 응답하지 못한다. 따라서 응답 수준의 괴리 때문에 그 수업은 실패로 돌아가게 되므로 학생들을 몇 개의 소그룹으로 나누어 발문을 하는 방법도 제시했다.

 넷째, 수업 단계에 따른 적합한 발문을 준비해야 한다고 했다.
 Jarolimek ■ Foster(1979)는 가장 바람직한 발문으로는 동기화를 위한 발문, 제시를 위한 발문, 발전을 위한 발문, 요약을 위한 발문, 적용을 위한 발문을 수업단계별로 적절하게 활용해야 한다고 했다.

 다섯째, 다양한 형태의 발문을 해야 한다고 했다.
 Blosser(1991)는 사실기억을 확인하는 기억․재생적 발문을 되도록 최소화하고 사고력을 자극하는 창조적 발문을 극대화 시켜야 한다고 했다.

 그런데 2000년 이전 국내연구 논문을 살펴보면
 길양숙(1995), 조연순 외(1998)에 의하면 우리나라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사고력 신장과 직결되는 평가적 사고 발문과 확산적 사고 발문은 각각 2% 미만으로 인지․기억력 발문 65.4%, 수렴적 사고발문 31.1%에 비해 거의 활용되지 못한다고 한다.
 2000년 이후의 우리 나라 초등학교 교사들의 발문은 어느 정도 향상 되었을까가 의문이다.

그동안 우리는 창조적 발문이 어느 특정한 교과에서만 활용되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제부터라도 전교과로 확산시켜 글로벌 시대 세계를 이끌어갈 창의성이 풍부한 인간육성에 힘써야겠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