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0 (금)

  • 맑음동두천 13.3℃
  • 맑음강릉 19.0℃
  • 맑음서울 14.0℃
  • 맑음대전 12.9℃
  • 맑음대구 12.9℃
  • 맑음울산 16.2℃
  • 맑음광주 13.5℃
  • 맑음부산 16.4℃
  • 맑음고창 9.9℃
  • 맑음제주 14.0℃
  • 맑음강화 10.9℃
  • 맑음보은 8.9℃
  • 맑음금산 8.7℃
  • 맑음강진군 10.0℃
  • 맑음경주시 10.6℃
  • 맑음거제 12.8℃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현장소식

고향을 다시 생각한다


필자는 인천에서 태어나 스물 일곱해를 살다가 결혼과 더불어 타향에 살게 되었다. 남편도 인천이 고향이지만 일 관계로 여러 지역에서 지내게 되었고 덕택에 필자도 여러 곳의 문화와 생활을 접하게 되었다.

필자에게 고향이라는 것이 큰 의미가 있었던가?

고향과 타향을 의식하게 된 날들은 그리 멀지 않다. 일하는 여성으로서 직장과 가정 사이에 해결해야 할 일들로 바쁘기도 했었고, 타인의 왕래가 잦았던 지역에서 살았던 때에는 외국에서 사는 듯한 차별을 느낄 수가 없었으므로 이제까지 생각해본 적도 없었던 고향을 되새길 이유는 없었다.

한국이 단일민족이라는데 동의하지도 않고, 특히 외모와 문화가 다른 외국인들과의 결혼으로 다문화 사회로 가고 있다고 하는 요즈음 필자는 외국인이 아니더라도 한국내에서 한국인임에도 불구하고 출신지역이 다르다는 이유로 인종차별에 버금가는 차별이 있음을 의식한다. 따라서 외국인이 한국에서 일시적 거주가 아니라 영구 거주를 하려고 할 때에 그 어려움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겠다. 그 강도가 미국, 유럽 또는 일본 등과 얼마나 차이가 있을까? 개인의 그 사람을 보기보다 그 사람 주변의 배경을 중시하는 문화적 속성으로 볼 때 더 심할 것이라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필자는 요즈음 고향을 생각한다. 고향이라고 남다른 추억이 있는 것도 아니고, 앞 집 옆집이 서로 들고나며 집집의 수저의 개수까지 아는 조그마한 시골도 아닌 대도시이므로 향수를 느낄만한 것도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더러 사는 곳이 ‘내 터전이다’라는 의식이 조금씩 바뀔 때가 있다. 부인과 사별을 하였는데 아이 셋을 키우며 함께 살아줄 새 부인을 찾다 할 수 없이 베트남 신부를 맞아들인 가장이 주변의 눈초리가 버거워 베트남으로 이민을 갈 생각을 하고 있다는 TV방송의 인터뷰는 충분히 이해가 된다.

미국이라는 나라는 수많은 문제점이 있다 할지라도 그 곳에서 살고 싶다고 전세계에서 위험을 무릎쓰고 들어가는 이유 중 하나는 자신이 살고 있는 그 곳에서 잘살려고 열심히 노력하면 인정을 해주고 노력에 따른 보상이 비교적 공정하기 때문일 것이다. 공정한 시스템의 덕택으로 미국은 현재 세계 제일의 부강한 나라가 되어있는 것이다. 미국이라는 나라는 인재에 대한 욕심이 무척 많다고 한다. 어느 나라 어느 구석에 뛰어난 재주를 가진 사람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 데려갈 방법을 찾는 단다. 유비도 제갈공명을 데려가려고 ‘三顧草廬’를 하였고 제갈공명은 어려움과 분함이 있었어도 촉나라를 지키기 위해 생의 마지막까지 노력하였다.

각각의 지방자치단체들이 저마다의 색깔로 자신의 고장을 빛내고자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이 때에 내 지역에 살고 있는 외지인, 외국인은 사는 터전을 가꾸는 하나의 시민을 너머 그나 혹은 그의 조상이 살던 지역을 연결시켜주는 귀중한 인사가 될 수 있다. 한국에서 살던 삶을 정리하고 미국으로 간 화교들을 미국에서 만났었다.

한국의 상권을 장악하던 화교들은 5.16 이후 하나 둘 한국을 떠났고, 남아있는 화교들은 많은 어려움 속에서 살았었다. 가난한 나라에서 외국인, 즉 화교가 많은 재물과 토지를 소유하고 있었으므로 당시의 정부로서는 어쩔 수 없는 측면이 있었을 지도 모른다. 필자의 친구는 아버지는 중국분, 어머니는 한국분이었는데 정원외 입학생으로 같은 대학에 다녔었다. 한국 친구들과 어울리면서 책을 잡히지 않으려고 무척 노력을 하였었다. 대학생인 자신의 생일잔치를 퍽 대단하게 준비하고 친구들을 불렀었다. 친했던 필자가 왜 그렇게 격식을 차려 준비하느냐고 물었을 때 ‘초라하게 보이고 싶지 않다’고 하였다.

필자의 친구를 제외하고 그 아래 두 동생들은 모두 대만대학을 다녔다. 두 동생들은 방학 중에 대만의 대학생들이 한국 대학생들을 만나고 싶어한다고 하여 한국 대학생들과의 만남을 주선하였다. 덕택에 필자는 대만대학생들의 학교생활, 방학 중의 일정을 알 수 있었다. 대만의 학생들은 방학 중에 한국에 올 때에는 약초를 가지고 와서 여비를 충당하고, 중국 음식점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며 한국을 경험하고, 일본에 가려면 한국에서 김과 명란젓 등 일본 사람들이 좋아하는 먹거리를 가지고 가 여비로 보태고 일본에 있는 중국 음식점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며 일본을 체험하고, 미국이나 유럽에 갈 때에도 화교네트워트를 이용하여 적은 여행비용으로 고루 세계를 경험하고 다닌다고 하였다. 실용주의 정신과 동포애적 우애가 강하게 느껴졌다.

필자의 친구도 필자에게 대만과 중국이 서로 화교를 우대하니 자신과 함께 방학 중에 중국을 다녀오자고 하였었다. 필자의 친구와 같은 화교들은 한국과 중화문화권을 연결시켜주는 다리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가슴에 맺힌 한이 얼마나 쌓여있는 지 이제라도 풀어주어야 하지 않을까.

어디에서 낳고 자랐는가가 왜 그리 중요한가? 그 자리에서 열심히 터전을 일구어 자유롭고 부강한 살고 싶은 도시를 만들어가는 사람들이 중요하지 않을까? 그 고장에서 낳고 자란 인연을 지연, 학연, 혈연과 연결하여 배타와 거세의 무기로 사용하면서 잘사는 곳을 만들려고 한다면 가능한 일인가? 우려하고 경계해야 할 일이지 않을까? 아직도 한 지역에서 나서 자라 바로 옆 고을로 시집장가를 가 외부로 나가 사는 일이 드믄 사람들이 있을 정도로 이동이 많지 않은 한국 사회에서 의식의 변화를 주문하는 것은 시기상조인가? 몽테스키외의 견해에 의거하여 생각해본다면 지역에 연고가 없는 사람은 도덕적으로 더 견실하고, 보다 열심히 일하여 인정받으려고 하므로 그 사회가 부유하고 잘 유지되도록 한 몫을 한다.

고향은 어린 시절 함께 정을 나누며 지난 세월이 곰삭은 추억이 되어 어렵고 힘들 때 잠시 되돌아 삶의 활기를 찾아주는 윤활유의 기능만으로 충분해야지 그리워서 못견뎌 수십년 살던 땅을 버리고 돌아가는 곳이 된다면 그 개인에게도 또 그 지역에게도 좋은 일일 수는 없을 것이다.

고향을 절절히 느끼고 살지는 않지만 아직도 그 자리에서 살고계시는 친정부모님과 친지들, 어린 시절의 필자를 기억하는 이웃과 못 본지 30년이 되었어도 만나자마자 얼굴을 알아보는 친구들이 있는 곳에 대한 편안함과 그리움으로 세계 속의 도시로 뻗어나가려는 필자의 고향을 바라보며 보다 더 성숙되게 발전하기를 기원해 본다. 널리 인재를 구해야지 협소함과 지리멸렬함에 갇혀서 웅비의 꿈을 접지 않기를, 또한 세계 유수의 도시를 경쟁상대로 무한발전하기를 바라며 희망을 적어보았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