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학술·연구

<연구하는 교직>아이들과 사진 찍으며 창의·표현력 높여요

사진활용교육 연구 나선
서울초등사진교육연구회

사진을 통한 읽기와 쓰기 교육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길러줘

교사가 찍은 사진 활용을 넘어
함께 기획하며 감정·생각 공유





“사진활용교육은 일반적인 수업과 달리 정답이 없죠. 자유롭게 상상한 것, 현재의 감정 등을 사진으로 표현하면서 자기도 모르는 내면을 발견하게 됩니다. 가족과 친구, 주변 환경을 자연스럽게 돌아보면서 창의성 신장은 물론 심리치료 효과도 얻을 수 있습니다.”(이성자 회장)

사진을 즐기는 교사들 사이에서 PIE(Photo In Education, 사진활용교육) 열풍이 불고 있다. 사진을 단순 취미로만 볼 것이 아니라 교육 현장에도 적극적으로 활용해 취미와 교육을 일거양득해보자는 것이다. 서울초등사진교육연구회(회장 이성자․이하 청영회)도 최근 PIE 연구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PIE란 미국 듀크대학 다큐멘터리연구소가 1991년 사진가이자 교육자인 웬디 이월드를 초청해 만든 교육프로그램으로 노스캐롤라이나 주 더럼 시내 초등학교 아이들에게 사진과 글쓰기를 가르친 것에서 시작됐다. ‘사진을 통한 읽기와 쓰기’라는 이 교육법은 어린이들의 감성과 지각, 학습능력을 사진을 통해 개발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1978년 창립된 청영회는 그동안 23회의 교원사진강좌를 개최하고 사진을 활용한 교수학습방법을 연구해온 교원 사진 동호회다. 이성자 회장(서울 구로남초 교장)은 “초등 3·4학년 미술교과에 사진 관련 기본 지식이 나오고 초등 5학년 실과에도 디지털 카메라에 대한 설명과 사진 파일을 컴퓨터에 옮기는 기술을 소개하고 있다”며 “사진이 교육과정에도 도입됐고 요즘은 스마트폰이나 가벼운 디지털카메라로 손쉽게 사진을 찍을 수 있어 PIE 도입이 한결 쉬워졌다”고 설명했다.

청영회 회원들은 오래 전부터 방과 후 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동아리 활동 및 각 교과 시간에 나름의 방법으로 사진 활용교육을 해왔다. PIE란 용어가 정립된 것은 2009년 조선일보에서 PIE를 도입, 서울 덕수초에서 실시한 시범수업을 공개하고 처음 선을 보이면서부터다.

김완기 청영회 고문(전 성북교육청 교육장)은 “앞으로는 교사가 찍은 사진을 자료로 활용하는 소극적인 방식이 아니라 처음부터 끝까지 아이들과 함께 작업을 기획하고 추진하면서 창의력과 자신감을 길러주는 다양한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며 “사진의 과학적 원리와 이론보다는 공동체 경험의 공유, 탐구력, 감수성 신장에 초점을 맞추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이 회장은 지난 학기 토요 방과후교실을 이용해 PIE를 실시했다. ‘나를 주제로 사진 찍기’, ‘우리학교를 소개합니다’, ‘연속사진을 이용해 이야기 책 만들기’, ‘스토리 보드 만들기’ 등 총 11차시의 수업을 진행한 뒤 8일부터 12일까지 서울 중구문화원에서 열린 제25회 청영회 사진전시회에 아이들의 작품 18점도 함께 전시토록 한 것.

서울 구로남초 김미영(3학년) 양은 “사진을 보면서 글을 쓰니까 생각도 더 잘 나고 마치 작가가 된 것처럼 상상하게 된다”면서 “전시회에서 내 작품을 여러 사람에게 설명하고 수업시간 친구들에게 발표하면서 표현력에 자신감이 생겼다”고 밝혔다. 이 회장은 “앞으로의 PIE는 단순히 찍고 표현하는데서만 그칠 것이 아니라 컴퓨터 포토샵이나 그림판 등을 이용해 재창조하는 ‘디지털 아트’ 쪽으로 발전시켜 좀 더 다양하고 깊이 있는 활용교육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PIE를 주제로 학위 논문을 내고 수업에도 적극 활용하고 있는 김용승 서울 신은초 교사도 “사진 찍고 글 쓰는 활동에만 국한될 필요는 없다”고 밝혔다. 김 교사가 개발한 모델은 SDP(Self-directed Photograph)로 학생 스스로 학습주제에 맞는 사진을 찍게 해 적극적인 수업 참여를 유도하는 목적이 있다.

예를 들어 수학 교과 ‘막대그래프’나 ‘규칙 찾기’ 단원의 경우 실생활에서 볼 수 있는 그래프, 욕실타일, 바닥, 벽돌 등에서 규칙적인 무늬를 찾아 찍어오게 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흥미를 유발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김 교사는 “수업 방해와 생활지도의 어려움 때문에 일부 학교에서는 휴대전화 소지를 금지하기도 하지만 디지털 기기를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되고 수업에 적절히 활용한다면 훌륭한 수업 도구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밖에도 재미있는 속담을 고른 후 이를 사진으로 표현해보기, 주어진 사진을 보고 스토리텔링 하기, 주어진 단어를 어울리는 장소에 배치하고 사진 찍어보기, 나만의 이야기 책 만들기 등 청영회 소속 교사들은 저마다의 방식으로 PIE를 연구․적용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처음으로 PIE 워크숍을 개최한 청영회는 올해는 보다 본격적인 조직을 구성해 연구에 나설 계획이다. 이 회장은 “연구가 성공적으로 운영되려면 먼저 사진활용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대부분의 교사들이 ‘사진’하면 비싼 장비와 전문성을 떠올리며 어렵게 받아들여 PIE를 시도할 생각조차 못한다는 것이다. 이 회장은 “사진으로 작품을 만들겠다는 강박관념을 버리고 자신을 표현하는 수단으로써, 생각의 도구로써 접근하면 얼마든지 시도할 수 있다”며 “많은 교사들이 관심 갖고 참여할 것”을 당부했다.
배너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